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BIM 기반 냉난방에너지해석 및 절약계획서 작성을 위한 도구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 과제번호 10TRPI-C055127-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건설 환경설비 기술 | 건축환경 설비기술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BIM 기반 냉난방에너지해석 및 절약계획서 작성을 위한 도구 개발
주관연구기관 (주)디.씨.에스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이진천
소속 (주)디씨에스 직위 대표이사
기관 대표번호 02-415-1653 FAX 02-414-6747
총 연구기간 2010-09-10 ~ 2010-11-30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0-09-10 ~ 2010-11-30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24,000,000 2,000,000 14,000,000 16,000,000 4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정부의 공공부문의 건설공사를 중심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 발주가 늘어나고 있으나 아직은 국내 환경에 적합한 라이브러리 및 필요한 툴이 구축되지 않아 국내 환경에 맞는 BIM 설계를 위한 환경 구축에 있다. 이를 위해,
1) BIM으로 설계된 건축 모델로부터 건물 냉난방 에너지 해석(부하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냉난방 에너지 해석 프로그램인 RTS-SAREK과 연동하는 도구를 개발한다.
2) BIM 모델로부터 건물의 외피 데이터를 추출하여 건물 에너지성능지표(EPI)를 자동산출하여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작성하는 도구를 개발한다.
최종목표 1. 건물 냉난방에너지해석용 데이터 추출 및 연동
BIM 건축 모델로부터 냉난방에너지해석을 위한 건축의 기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냉난방에너지해석 프로그램(RTS-SAREK)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2. 건물 에너지성능지표(EPI) 자동산출 및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BIM 건축 모델로부터 외피 데이터를 추출하여 건물의 에너지성능지표(EPI)를 자동산출하여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작성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에너지절약형 건물 설계의 효율화를 도모한다.
3. BIM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데이터 호환용 도구를 개발한다.
연구내용 및 범위 1. 건물 냉난방에너지해석용 데이터 추출 및 RTS-SAREK과의 연동
-. 내용: BIM 건축 모델로부터 냉난방에너지해석을 위한 건축 데이터를 추출하여 국내에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냉난방 에너지해석프로그램인 RTS-SAREK과의 연동되도록 한다.
-. 범위: 건축 모델이 BIM으로 작성된 경우, 자동으로 추출한 냉난방 에너지 해석용 데이터를 BIM 모델에서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추출한다. 건축 모델에 열관류율 데이터가 없는 경우는 설계자가 열관류율을 직접 정의할 수 있도록 한다.
2. 건물 에너지성능지표(EPI) 자동산출 및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도구
-. 내용: BIM 데이터로부터 건물의 외피 데이터를 추출하 에너지성능지표(EPI)를 자동산출하고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작성하는 도구를 개발한다.
-. 범위: 건물의 위치(지역) 및 용도 등 프로젝트와 관련된 기초 정보를 읽어 들인 후 건물의 외피를 추출한 후, 각 요소에 열관류율을 정의하여 에너지성능지표를 산출하여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작성한다.
3. BIM모델에서 추출한 데이터 및 냉난방에너지계산(부하계산)에서 나온 산출물을 이용하여 다른 에너지관련 프로그램에 연계되는 도구를 개발한다.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1. BIM 설계시장 및 에너지관련 정책의 조사 및 분석
2. BIM 설계 및 에너지관련 시장규모를 파악하여 마케팅 방법을 모색한다.
3. 개발하고자 하는 도구의 개발환경을 분석하여 개발 방향을 확정한다.
구체적인 개발 및 사업화에 앞서 개발환경의 분석, 사업화를 위한 정부정책 방향, 시장조사를 통해 시장 접근방법을 모색한다.
1. 개발환경의 분석: BIM 설계도구의 개발환경(API) 및 제약 조건을 분석한다.
2. 시장조사 및 분석: 사업화 대상 시장에 대한 조사와 시장의 접근방법을 기획한다.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1. BIM 모델로부터 건물 데이터 추출 기술: 건물 냉난방에너지해석과 에너지성능지표(EPI) 산출을 위한 데이터는 물론 향후 다른 용도의 데이터 추출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2. 데이터 공유: BIM 모델의 데이터뿐 아니라 에너지 계산을 위한 기초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1. BIM 모델로부터 건물 데이터의 활용: BIM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계산뿐 아니라 유지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에너지관련 계산에 의한 효과: 최근에는 건물설계 시에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에너지 계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설계시간의 단축은 물론 저에너지 소비형 건물을 설계함으로써 친환경 녹색성장 정책에 부응하고 외국산 프로그램의 수입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데이터 재사용: 프로그램이 다르더라도 에너지 계산을 위해 입력하는 데이터는 공통적인 부분이 많다. 이 점에서 데이터 공유 도구의 개발을 통해 입력시간의 단축은 물론 향후 추진될 정책 및 개발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활용방안 1. 냉난방 에너지해석데이터 추출 및 연동: 국내에서 표준화될 정도로 사용하고 있는 냉난방에너지해석 프로그램인 RTS-SAREK의 새로운 버전에 BIM 모델로부터 추출한 데이터를 연동하여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2. 건물 에너지성능지표(EPI) 산출 및 에너지절약계획서 작성
건축사무소와 설비설계사무소를 중심으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홍보 활동을 벌여 BIM 모델에서 직접 정확하고 신속히 에너지성능지표(EPI)를 산출하고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3. 에너지 데이터 공유 도구: BIM 모델 데이터는 물론, 냉난방에너지해석 및 에너지성능지표의 입력 데이터와 결과 데이터를 다른 에너지 계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공개한다.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부하계산 에너지 해석 에너지 성능지표 캐드
영문 BIM Load Calculation Energy Calculation EPI CAD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디씨에스_기술가치평가.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