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건설분야 기술제품의 검증을 위한 성능기반 표준실험절차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17CTAP-B132914-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안전 유지관리 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시설물안전 유지관리 기술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설계 해석기술 | 교량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건설구조재료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건설분야 기술제품의 검증을 위한 성능기반 표준실험절차 개발
주관연구기관 (재단)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정대성
소속 (재단)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직위 본부장
기관 대표번호 031-324-1071 FAX 031-323-2087
총 연구기간 2017-06-01 ~ 2021-05-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7-06-01 ~ 2017-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478,000,000 0 0 0 478,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건설분야 기술?제품에 대한 성능평가 기반의 실험절차를 표준화함으로써 성능?안전성에 대한 객관성 확보 필요
-(연구인프라 기반 강화) 국토부는 R&D 성과 창출 지원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장비인프라(H/W)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나 실험?분석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여, R&D 성과(기술?제품)의 검인증 부실로 우수성을 증명하지 못하여 상용화?실용화 지연 우려
-국토교통분야 시험표준/실험?분석방법 개발 환경 개선 및 시험인증산업의 역량강화 필요
-“범부처 참여형 국가표준 운영체계”(국가정책조정회의, `15.07)에 따라 산업부에서 전담하던 표준 개발 운영 업무를 각 소관부처로 이전 추진 중으로, 국토부에서 토건분야 KS 업무를 전담하게 되면 민간의 단체표준과 국가표준간 연계?시너지 극대화 가능
-국토교통 분야 성능평가 시험기반을 구축(실험절차?규격 개발 등)함으로써, 시험?실험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국토교통 기술력 제고와 시험능력 향상 기대
최종목표 ? 최종목표 : 건설분야 기술?제품의 검증을 위한 성능기반 실험절차?방법 등을 표준화함으로써 국토교통 관련 기술에 대한 신뢰성 및 활용성 제고
? 세부목표1 : 건설분야 표준 실험절차 개발 및 공동활용 체계 마련
? 세부목표2 : 건설분야 실험시설의 시험인증서비스 강화
? 세부목표3 : 단체표준 실험절차의 보급 및 확산을 통한 시험?실험산업 기반 조성

* 본「실험절차표준화연구단(가칭)」은 “건설분야 시험?실험산업의 역량 강화 및 성능평가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중장기 비전으로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건설분야 기술?제품에 대한 표준실험절차 개발”을 최종목표로 설정
연구내용 및 범위 ? 1 세부과제(구조?내진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1-1. 건설분야 단체표준 개발 및 공동활용 시험서비스 강화
S-1. 단체표준 30건 (※표준실험절차서 중 추후 선정)
S-2. KOLAS 인정 16건 (※단체표준 중 추후 선정)
S-3. 전략 보고서 2건

1-2. 교량 구조 및 받침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A-1. 교량 거더 동적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2. 거더 및 보의 휨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3. 교량 바닥판-거더 합성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4. 케이블 인장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5. 케이블 피로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6. 받침 정적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7. 받침 동적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8. 하이브리드 시뮬레이션 표준실험절차 개발

1-3. 모멘트 골조 및 교량 신축이음장치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A-9. 건축 보-기둥 접합부 휨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10. 건축 기둥 압축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11. 고무형 신축이음 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12. 핑거형 신축이음 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13. 레일형 신축이음 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1-4. 비구조·수직부재 및 기초연결부 내진시험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A-14. 내진시험 입력하중 결정을 위한 표준산정방법 개발
A-15. 내진시험결과 표준분석방법 개발
A-16. 보강/비보강 수직구조부재 내진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17. 기초-구조물 연결부 내진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18. 건축용 마감벽체 및 천장재 내진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19. 통신 및 전력설비 내진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A-20. 소방설비 내진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 2 세부과제(재료?지반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2-1. 콘크리트 및 PSC정착장치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B-1. 콘크리트 강도의 조기추정 표준실험절차 개발
B-2. 콘크리트 열팽창계수 측정 표준실험절차 개발
B-3.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 및 압축크리프 표준실험절차 개발
B-4 PSC 정착장치의 정하중지지 및 하중전달 표준실험절차 개발
B-5.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부분 단면 보수재료 품질기준 및 표준실험절차 개발

2-2. 굳지 않은 콘크리트 단위수량 및 화학저항성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B-6. 굳지않은 콘크리트 단위수량 측정 표준실험절차 개발
B-7. 콘크리트 화학저항성(황산염) 측정 표준실험절차 개발

2-3. 지반 축소모형실험 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B-8. 지반조성방법 표준실험절차 개발
B-9. 지반물성 상사비 결정 표준실험절차 개발
B-10. 모형지반 물성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B-11. 지진시 액상화 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B-12. 토류구조물의 동적거동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B-13. 기초 구조물의 동적거동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B-14. 해양기초 구조물 성능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 3 세부과제(내풍?수리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3-1. 교량·빌딩 내풍안정성 및 시설물 풍하중 평가 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C-1. 축소모형시험 표준실험절차 개발
C-2. 건축물 내풍안정성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C-3. 교량 내풍안정성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C-4. 교통표지판 풍하중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C-5. 신호등 풍하중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C-6. 방음벽 풍하중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C-7. 입간판 풍하중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3-2. 파압·파력 및 구조물 안정성 평가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C-8. 실험파 설정 표준실험절차 개발
C-9. 반사계수 및 전달계수 측정 표준실험절차 개발
C-10. 월파량 측정 표준실험절차 개발
C-11. 파압 및 파력 계측 표준실험절차 개발
C-12. 경사식구조물 안정성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C-13. 직립식구조물 안정성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C-14. 연안침퇴적 평가 표준실험절차 개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 (최종목표)연구단 총괄운영 및 대외기관 대응 전략 수립 [연구단 총괄 운영 및 대외기관 대응]
? 표준실험절차개발 체계 마련
? 총괄 자문위원회 구성
*시험기관 협의회 및 산학연 전문가) 및 운영
? 단체표준제정을 위한 전문가 기술위원회구성 및 운영
*(TC, 실험절차안 review)
? 연구단 성과관리체계 마련 및 연차별 자체평가 수행

[건설분야 표준실험절차 개발 및 공동활용 체계 마련]
? 표준실험절차서에 대한 신뢰성 제고(검증) 방안 수립
*실험절차서,가이드라인,예제매뉴얼 등)
? 세세부별 전문가 TC review를 통한 단체표준 제정(안) 작성
? 국내외 관련 시험표준 및 기준과 부합성 검토
? 공청회를 통한 관련기관(기업 등) 의견 수렴 및 반영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1 세부과제
① 단체표준 제정, KOLAS 인정 확대, 실험절차의 보급 및 확산 전략 수립
- 표준실험절차서를 기반으로 한 단체표준 제정 30건
- 제정된 단체표준 및 기존 시험규격을 반영한 KOLAS인정 및 공인 시험범위 확대 16건
- 건설분야 시험기관에 대한 단체표준 실험절차의 보급 및 확산을 위한 전략 보고서 등 2건
② 교량 구조 및 받침분야 표준실험절차서 개발 8건
③ 모멘트 골조 및 교량 신축이음장치분야 표준실험절차서 개발 5건
④ 비구조·수직부재 및 기초연결부 내진시험분야 표준실험절차서 개발 7건

? 2 세부과제
① 콘크리트 및 PSC정착장치분야 표준실험절차서 개발 5건
② 굳지 않은 콘크리트 단위수량 및 화학저항성 표준실험절차서 개발 2건
③ 지반 축소모형실험분야 표준실험절차서 개발 7건

? 3 세부과제
①교량·빌딩 내풍안정성 및 시설물 풍하중 평가분야 표준실험절차서 개발 7건
② 파압·파력 및 구조물 안정성 평가분야 표준실험절차서 개발 7건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기대효과
① 건설분야의 시험?실험 역량 강화 및 시험·실험산업 기술경쟁력 제고
② 국내 시험?연구기관 등의 연구역량 제고 및 실험품질 향상으로 R&D성과 및 건설신기술의 실용화?사업화 가속 기대
③ 성능검증 분야에 대한 실험 프로세스의 표준화를 통해 국토교통기술의 체계적인 검증시스템을 정립함으로써 기술수준 향상 및 기술실용화 증대
④ 시험?실험분석 능력 고도화를 통한 건설신기술 품질 제고
⑤ 건설분야 핵심원천 기술 개발 및 성능 검인증을 국내에서 수행함으로써 기술 및 외화의 해외유출 방지가 가능하며 해외의 실험수요 유치 가능
⑥ 단일 실험기준 정립을 통해 건설분야 성능검증 실험의 시험방법, 절차, 용어 등에 대한 이중규격 사용에 따른 혼란을 방지
⑦ 고부가가치 산업인 시험·실험인증산업의 육성 및 인프라 강화를 통한 시험서비스분야 일자리 창출 기대
⑧ 건설기술분야의 공통기준이 되는 기술표준화를 통해 WTO/TBT 협정을 준수하고 무역상 기술장벽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
활용방안 ? 활용계획
① 시험기관들의 신뢰성 있는 시험성적서 제공을 위해 R&D 성과(기술?제품)의 성능 검증실험에 활용
② 건설분야 시험기관과의 협력체계 기반 마련을 통한 표준실험절차서의 공유 및 활용 촉진
③ 시험규격·분석법 등 시험기관 및 연구자의 연구개발 능력 향상에 활용
④ 정부 혹은 협회, 학회 등의 주도로 실험방법 절차를 표준화하여 관련 시험기관들이 이를 공통으로 활용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국토교통표준실험절차서 단체표준 KOLAS인증 성능검증실험 표준실험 DB구축
영문 Land and Transport Standard Test Procedure Group KOLAS Performance Verification Test DB of Standard Test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