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선제적 장애예방 및 유지보수 효율화를 위한 궤도 상태평가 시스템 및 유지보수 기술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철도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17RTRP-B113566-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철도교통기술 | 궤도토목기술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건설 교통 | 철도교통기술 | 철도시스템 유지관리기술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기계 | 측정표준 시험평가기술 | 신뢰성 비파괴평가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선제적 장애예방 및 유지보수 효율화를 위한 궤도 상태평가 시스템 및 유지보수 기술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철도공사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권세곤
소속 한국철도공사 직위 차장
기관 대표번호 042-615-4656 FAX 02-361-8542
총 연구기간 2016-04-29 ~ 2019-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7-01-29 ~ 2017-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3,890,000,000 136,397,000 1,096,938,000 1,233,335,000 5,123,335,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1) 연구개발의 필요성
□ 추진배경
○ 레일은 차량과 궤도를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인터페이스로써 레일품질관리는 열차안전운행에 중요한 사안이다. 차량의 반복운행과 통과톤수 증가로 레일에 변형이 발생하는데 사전점검과 예방보수를 통해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있으나, 최근 철도 운송 수요 증대로 인한 철도 총연장 길이의 증가와 철도의 고속화로 궤도 (레일, 침목, 도상, 체결구 등) 성능평가 기법 및 궤도강성 검측장비 개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 따라서 국내 철도운영기관에서도 레일절손에 따른 중대사고에 대한 선제적 선로장애 예방을 위하여 레일 결함탐상 검측 기술에 대한 요구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각 철도운영기관의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레일탐상 검측시스템 제공이 가능하도록 검측시스템 개발에 관한 독자적 기술 확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탐상장비 노후(초음파 탐상 한계, 수입의존 등)에 따른 레일결함 관리 문제(예방보수 지연, 결함진전 예측 불가 등) 해소를 통한 예방보수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레일탐상 핵심기술 국산화 기술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 현황 및 문제점
○ 최근 철도 운송 수용 증대로 인한 활발한 건설사업 추진 등 전 세계적인 철도 총연장 길이의 증가와 철도의 고속화로 인한 열차 운행횟수 및 통과톤수 증가는 철도 레일의 결함 발생 및 진전을 가속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선진 철도 운영국에서도 레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지불하여 보다 신뢰성 있고 개선된 레일 결함 검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국제 철도 연맹(UIC)에서는 레일 결함 분류 코드 UIC 712R을 제정하여 레일 결함에 대한 국제 공통의 체계적인 관리를 시도하고 있다.

○ 국내에서도 국가 철도망 확충 계획 등을 통한 철도 총연장의 증가,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 호남고속철도 개통 및 KTX-II의 도입으로 대표되는 철도차량 운행의 고속화, 고유가 등으로 인한 철도 운송 수요 증대 등으로 인해 레일 결함 발생 요인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레일 결함 탐상 고속화의 어려움과 국내 철도시장수요 한계로 레일탐상 시스템에 대한 별도의 연구개발 움직임이 아직 미흡하여 해외의 탐상기술 및 장비에 전량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 초음파 레일탐상 검측시스템 특성상 레일과의 마찰 및 궤도틀림으로 인한 초음파 소재의 파손 또는 시스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나, 전량 수입품으로 고장시 제작사의 과다한 유지보수 비용 청구 및 부품조달 등에 따른 장기간 고장수리로 인한 검측공백이 발생하여 레일유지관리에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 국외 레일결함 검출 비율을 보면, 비파괴검사(NDT, Hand Held) 및 순회점검(Visual Inspection)을 통해 95.29%의 레일결함 검출이 가능하며, 신호(Signalling)에 의한 결함검출까지 포함하게 되면 약 99%이상의 레일결함 검출이 가능하고, 0.38%의 레일결함이 열차탈선에 의해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열차탈선에 의한 레일결함 검출이 전체 레일결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을 지라도 열차탈선으로 인한 철도사고 시에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한 비파괴검사의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 최근 코레일에서 발생한 레일절손 장애에 대한 통계분석 자료를 보면 ‘11~’15년 시설분야 선로장애 총 23건으로 이중 레일절손에 의한 장애가 16건(70%)이며, 레일절손 장애로 인해 77개 열차 평균 5~20분 지연운행(최대지연 : KTX 23분, 일반열차 107분)된 사례가 있다. 이처럼 레일절손에 의한 열차운행 장애가 지속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중대사고 발생 가능성 및 위험성이 상존하나 점검 장비 사용 한계 및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므로 레일결함에 대한 집중관리가 요구된다.
○ UIC 712R Rail Defects, UIC 725 Treatment of Rail Defects, ARTC-Engineering(Track) Rail Defect Standards TES 02에서는 레일 손상유형을 표준화(CODE)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손상유형별 유지보수방법을 제시하여 선제적 레일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나, 국내 선로유지관리지침 제21조 및 별표 8에서는 국외 지침을 바탕으로 고속철도 레일결함에 대한 관리 기준만을 제시하고 있고, 일반철도에 대한 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고속철도에서 적용하고 있는 레일결함 관리 기준에 대한 국내 적용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일반철도에서도 적용 가능한 레일결함 관리 기준을 과학적으로 산정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최종목표 □ 1세부
○ 독립측정용(2km/h 이상), 차량탑재형(60km/h 이상) 레일 내외부 결함탐상 검측시스템 개발
- 초음파 모듈 : 표면하부 결함 크기 2 mm 이상 검출
- 와전류 모듈 : 표면결함 크기 3 mm 이상 검출
○ 레일탐상시스템 통합 운영 S/W 개발
○ 검측 시스템 시운전시험 및 차량개조 설계 및 개조
○ 레일결함 검측시스템 성능평가 기준 및 절차개발
□ 2세부
○ 레일결함(headcheck, squats, internal crack) 진전예측 모델 개발
○ 레일결함 상태평가 및 관리를 위한 레일결함 유지관리기준(안) 개발
(선로유지관리지침 제21조 및 별표 8 개정(안) 제시)
□ 3세부
○ 레일축력, 레일온도 측정 검측 장치 개발
○ 레일 축력 및 온도 하이브리드 측정 검측 시스템 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1세부과제] 레일결함 탐상 검측시스템 개발
○ 레일결함 탐상용 종파 및 사각 초음파 센서 개발
○ 레일결함 탐상용 다채널 와전류 센서 개발
○ 레일결함 탐상용 초음파 및 와전류 검사 시스템 개발
○ 초음파 및 와전류 레일결함 평가 알고리즘 개발
○ 레일결함 검측시스템 개발
- 검사속도 : 독립측정형 2 km/h 이상, 차량탑재형 60 km/h
- 초음파 모듈 : 표면하부 결함 크기 2 mm 이상 검출
- 와전류 모듈 : 표면결함 크기 3 mm 이상 검출
○ 레일결함 검측용 테스트 베드 구축
- 독립 측정용 및 차량 탑재형
○ 레일결함 검측시스템 성능평가 기준 및 절차개발
○ 레일결함 상태평가 통합관리운영시스템 개발

[2세부과제] 레일결함 진전 예측 모델 및 유지관리기준 개발
○ 국외 레일결함 관리기준 및 수립 배경 조사
○ 레일결함 모사 실내피로시험 및 수치해석
○ 레일결함 유형별 장기 모니터링 및 평가
- 레일결함 유형별 현장조사 및 계측개소 선정
- 레일결함 유형별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레일결함 진전 특성 평가
○ 레일탐상 검측모듈 기반 레일결함 유형별 현장계측 및 성능평가
- 하이브리드 레일탐상 검측모듈 기반 레일결함 현장계측 및 성능평가
○ 레일결함 진전 예측모델 개발 및 검증
- 실내피로시험, 수치해석, 현장계측 결과를 바탕으로 한 레일결함 진전 예측모델 개발 및 검증
○ 표준화(CODE)기반 레일결함 유지관리기준(안) 개발
- 선로유지관리지침 레일검사기준 제21조 별표 8 개정(안) 제시

[3세부과제] 장대레일 종방향 레일축력 측정장치 개발
○ 비파괴 방식의 장대레일 축력/온도 측정 장비의 목표성능 및 사양 선정
○ 레일 축력 및 온도 측정/평가 알고리즘 개발
○ 레일축력 및 레일온도 측정 모듈 개발
○ 레일축력 및 온도 하이브리드 측정 시스템 개발
○ 축력측정 장치 성능평가 및 기술설명서 개발

[기술개발 방향]
○ 철도레일 결함탐상 관련 최신 기술 조사 및 기술정보 수집 : 국내의 경우 초음파 및 와전류를 이용한 철도레일 결함탐상 기법개발은 거의 미흡한 실정임. 따라서 철도레일/시설 관련 연구 전문기관인 코레일, 초음파/와전류 측정/시험연구 주요기관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다양한 비파괴평가 기법에 대한 연구경험이 축적된 성균관대학교 비파괴평가 연구팀, 국내외 전문기관 등과의 기술교류 등을 철도레일 결함탐상 기술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함. 또한 초음파/와전류를 이용한 철도레일 결함탐상 및 상태평가 기술을 아래와 같이 단계별로 적용하여 기술수준을 향상시키도록 함
○ 레일결함 검출을 위한 독립형검측 및 차량탑재형 검측장비를 개발에 필요한 검사기술은 초음파와 와전류 기술을 조합하여 와전류 기술은 표면결함을 검출하고 초음파 기술은 표면 하부의 결함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함. 이를 위하여 1차년도에는 책정된 연구비를 고려하여 레일결함 검출에 필요한 센서 및 시스템의 설계인자들을 도출하고 실험실 수준에서 초음파와 와전류 시험 시스템을 구축하여 결함검출 방법을 도출함. 2차년도에는 독립형 검측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초음파 및 와전류 센서를 개발함과 동시에 전용 구동보도 및 신호처리 보드를 개발한 후 독립형 검측장치의 시제품을 개발하고 평가함. 3차년도에는 시제품 형태로 개발된 독립형 검측장치의 완성도를 향상시켜 레일검사 현장에 곧바로 투입할 수 있는 완성품을 개발함. 동시에 차량탑재형 검측장비 개발에 필요한 연구를 수행하여 고속 환경에 적합한 센서 구동 보드 및 신호처리 회로를 개발함. 4차년도에는 개별적으로 개발된 고속 검사용 부품들을 조합하여 최종 시스템을 완성하여 현장시험을 수행함과 동시에 실용화 연구를 수행함
○ 표준화(CODE)기반 레일결함 관리기준은 유럽,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수립되었으며, 국내의 경우에는 국외 기준을 그대로 준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임. 이에 따라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선로유지관리지침 제21조 별표 8에 대한 수립배경 조사 및 국내 철도환경을 고려한 기준 수립 추진
○ 국제 표준규격(UIC 721, UIC 725)과 연계될 수 있도록 표준화(CODE)기반 레일결함 유지관리기준 개발 추진
○ 철도 관련 영역의 학계 전문가 중 레일 축력 및 온도 측정/평가 알고리즘 개발, 레일 축력/온도 모듈 장비 개발 시의 지원 연구 등을 수행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1세부-주관연구기관 : 한국철도공사]
① 개발 목표 : 독립형 검측장비 현장형 테스트 베드 구축
[1세부-공동연구기관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① 개발 목표 : 레일 결함탐상 독립형 초음파 검사시스템 개발
[1세부-공동연구기관 : 샬롬엔지니어링]
① 개발 목표 : 독립형 검측장치 제작 및 성능시험
[1세부-공동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① 개발 목표 : 수동형 레일 탐상 와전류 신호처리 기술 개발
[1세부-공동연구기관 : (주)엘라켐]
① 개발 목표 : 초음파 센서 전면정합층 내마모 소재 제작 및 평가
[2세부-협동연구기관 : 한국철도공사]
① 개발 목표 : 도상결함 탐지 모듈, 노반결함 측정 장비에 대한 인터페이스 검증
[2세부-공동연구기관 : 투아이시스]
① 개발 목표 : 도상결함 검측 모듈 시작품 제작
[2세부-공동연구기관 : 승화정책기술연구소]
① 개발 목표 : 콘크리트도상 균열 검측 시스템(ARTIAS) α버전 개발
[2세부-공동연구기관 : 배재대학교]
① 개발 목표 : 콘크리트궤도 노반결함 및 상태평가 시스템 시작품 제작
[3세부-협동연구기관 : ㈜성신알에스티]
① 개발 목표 : 차량규격 및 시스템사양 도출 (개념설계)
[3세부-공동연구기관 : 한국철도공사]
① 개발 목표 : 차량제작 요구사항 의견수렴 및 현장 유지보수 현황 조사
[3세부-공동연구기관 : 카이스트]
① 개발 목표 : 궤도점검차량의 유한요소를 이용한 진동해석 및 진동측정평가
[4세부-협동연구기관 : 대원대학교]
① 개발 목표 : 레일내부결함 진전 예측
[4세부-공동연구기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① 개발 목표 : 레일결함 유형별 장기 모니터링 및 평가
[5세부-협동연구기관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① 개발 목표 : 콘크리트궤도 노반 복원/보강 기술 요소기술 성능평가
[5세부-공동연구기관 : 케미우스코리아]
① 개발 목표 : 노반 보강용 주입장비 개발
[5세부-공동연구기관 : 동양대학교]
① 개발 목표 : 철도 노반/원지반 급속 보강 주입재 개발 및 주입 공법 분석
[5세부-공동연구기관 : 지승구조건설]
① 개발 목표 : 콘크리트궤도 복원공법 성능개선
[6세부-협동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① 개발 목표 : 레일 축력/온도 측정 및 중립온도 도출 알고리즘 개발
[6세부-공동연구기관 : ㈜케이엠티엘]
① 개발 목표 : 레일 축력 측정 모듈 실시설계 및 개발
[6세부-공동연구기관 : ㈜에이베스트]
① 개발 목표 : 레일 온도 측정 모듈 실시설계 및 개발
[1세부-주관연구기관 : 한국철도공사]
□ 독립형 검측장치 테스트 베드 구축
[1세부-공동연구기관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레일결함 탐상 초음파/와전류 탐촉자 제작
□ 레일결함 검사용 위상배열 초음파 시험
□ 독립형 검측용 다채널 초음파검사 장치 제작 및 장착
□ 초음파 검사 결함검출 기준 도출
□ 레일탐상용 초음파/와전류 센서 성능평가
□ 레일결함 해외 검사기준 분석
[1세부-공동연구기관 : 샬롬엔지니어링]
□ 독립형 검측장치 제작 및 검측모듈 장착
□ 독립형 검측장치 통합 제어 프로그램 개발
□ 레일 검사프로그램 개발
[1세부-공동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수동형 레일탐상 와전류 FEM 시뮬레이션 최적 탐촉자 측정 주파수 도출 및 이를 이용한 FEM 시뮬레이션
□ 수동형 레일탐상 와전류 신호처리 기술 개발 결함형상 진단 및 판별 알고리즘 개발
[1세부-공동연구기관 : (주)엘라켐]
□ 내마모 소재의 제작 및 평가
[2세부-협동연구기관 : 한국철도공사]
□ 알파버전의 검측장비 테스트 베드 구축
[2세부-공동연구기관 : 투아이시스]
□ 차량탑재형 도상결함 탐지모듈 시작품 개발
[2세부-공동연구기관 : 승화정책기술연구소]
□ 이미지 위치정보의 정확도 검증 및 이미지 위치검지 시스템 연계 방안 도출
□ 균열길이와 폭, 패턴 인식 알고리즘 개발
□ 이상개소 지정 및 평가 알고리즘 개발
□ UI화면 디스플레이 기능 설계
[2세부-공동연구기관 : 배재대학교]
□ 콘크리트 궤도 노반침하 측정용 MDD 파일럿 모형 제작
□ 콘크리트 궤도 하부 강성평가 시험장비(WAK) 제작
□ 콘크리트궤도 도상결함(뜸) 측정 시스템 제작
[3세부-협동연구기관 : ㈜성신알에스티]
□ 차량시스템과 검측모듈간 인터페이스 분석
□ 개념설계 (탐상트로리 시스템 개발/동력시스템 개발/대차 서스펜션 및 시스템 개발)
□ 성능검증 방안 수립
□ 장납기 주요부품에 대한 개발추진
[3세부-공동연구기관 : 한국철도공사]
□ 궤도점검차량 관련 해외벤치마킹 모듈 적용사례 조사
□ 차량개발에 필요한 현장의견 및 현재 애로사항/유지보수 현황 조사
□ 차량제작에 필요한 각종 규격사항 조사
[3세부-공동연구기관 : 카이스트]
□ 검측모듈이 측정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에 대한 조사 및 정보 수집
□ 작업현장에서의 차량에 대한 진동 및 소음의 원인 파악
[4세부-협동연구기관 : 대원대학교]
□ 레일내부결함 모사 실내피로시험 및 분석
□ 레일내부결함 모사 수치해석
□ 레일내부결함 진전 예측 모델 제시
[4세부-공동연구기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레일결함 유형별 장기 모니터링
□ 레일표면결함(headcheck) 개소 현장계측 및 평가
[5세부-협동연구기관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개발 목표로 선정된 재료, 장비 등에 대한 요소성능 검증을 위한 실내시험 및 수치해석적 평가
[5세부-공동연구기관 : 케미우스코리아]
□ 이질 재료 동시주입장비 및 시스템 개발
[5세부-공동연구기관 : 동양대학교]
□ 철도 노반/원지반 급속보강 주입재료(침투주입, 맥상주입) 개발 및 상황별 주입공법 개발
[5세부-공동연구기관 : 지승구조건설]
□ 콘크리트궤도 복원을 위한 재료 및 시공법 개선
[6세부-협동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신레일(New Rail), 마모된 레일(Worn Rail)의 잔류응력 분포 측정
□ 신레일(New Rail), 마모된 레일(Worn Rail)의 비파괴 응답특성 분석
□ 실측된 레일 대표온도, 열화상 카메라, 열전도 해석, RAB(Rail temperature, Ambient condition, Ballast condition)_D/B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레일온도 평가방법
□ 레일 축력 및 온도 측정/평가 알고리즘 도출
□ 실내 성능시험을 위한 시험 규격 및 절차서 선정
□ 실내 성능시험
[6세부-공동연구기관 : ㈜케이엠티엘]
□ 레일축력 측정 모듈 개발을 위한 실시설계
□ 레일축력 측정 모듈 제작
□ 레일축력 측정 실내 성능실험 장치 개발
□ 레일축력 측정 모듈 실내 성능실험 수행
□ 실내 성능시험 결과를 토대로 레일축력 측정모듈 보완점 도출
□ 레일축력 및 온도 하이브리드 측정시스템 기본설계
[6세부-공동연구기관 : ㈜에이베스트]
□ 레일온도(Rail Temperature), 대기조건(Ambient Condition), 도상조건(Ballast Condition) 과의 상관관계 도출 시험 및 RAB_DB 구축
□ 레일 온도 측정 모듈 실시설계 및 개발
□ 실내 성능시험 결과에 따른 레일 온도 측정 모듈의 정밀도 개선
□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한 운영노선의 Yard Test 장소 섭외 및 선정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레일 결함탐상 검측기술에 대한 독자기술 확보를 통한 국산화로 철도시설물 유지보수를 위한 검측 기술을 확립하고, 고가의 외산장비를 대체하고 외화절감 및 해외의존도 감소
○ 맞춤형 차량탑재형 레일탐상차, 독립측정형 레일탐상장비를 병행 운용함으로써 레일결함 점검주기 단축 및 정밀 결함 탐상을 통한 선로유지보수 분야 검측장비 활용성 제고 및 선제적 예방 유지보수 가능
- 레일결함 발견율 향상(기존 33% → 개발 90% 이상)
○ 레일 내/외부 탐상을 통해 복합적인 레일결함에 대한 유지관리 기술 현장 적용을 통한 선제적 레일유지관리 가능
○ 열차운행횟수 증가와 고속화로 인한 철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철도시설물 진단기술을 확보.
○ 각종 검측장치와 관련된 산업용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에 대한 전자, 소프트웨어, 자동제어 모니터링 설비업계의 기술수준 향상 기대
○ 자동화 및 실시간 검측데이터를 활용한 검측시스템 구현으로 새로운 유지보수 체계 기틀 마련 및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함으로 고부가가치 철도시스템 국내 및 국외 시장에 대한 기틀 마련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KTX 개통 이후 궤도분야의 유지보수인 레일관리, 자갈관리 및 선형관리 비용이 증가하였으며, 향후 고속화가 진행될수록 궤도의 안전관리 및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됨
- 국외 도입시 많은 비용(차량형 40~50억, 독립형 0.5~1억)이 소모되는 레일탐상 검측시스템 대한 국산화 가능(기존 제품 구배비용 약 30% 절감)
○ 세계 수준의 독립측정형 하이브리드 레일결함 탐상 장비 자체기술력 확보 및 국내 시장 판매 실적 등을 바탕으로 해외시장 진출 가능
○ 차량형 및 독립형 검측장비의 장애 및 고장 등으로 인한 과다한 수리비용 지출 방지 및 검측중단 사례 방지
- 2015년 코레일 선로점검차 고장 → 6개월 운행중단 , 수리비 10억 지출
○ 장애 조기 진단 및 선제적 조치에 따른 열차 지연 사고 방지(레일절손 지연사고 발생의 경우, 열차 지연에 따른 승차권 환불 금액)
○레일 결함탐상 및 상태평가 기술개발로 적시의 선로유지보수 및 예방 보수를 통한 양호한 레일상태 관리가 가능하며, 철도차량 운행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확보에 기여
○ 일반/고속/도시철도 등 철도운영기관 기술 적용을 통한 철도 시설물 관리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 향상 기대
활용방안 □ [1세부] 레일결함 탐상 검측시스템
○ 본 연구개발에서는 레일결함 탐상 검측시스템을 개발하고, 개발된 시스템이 목표 속도(차량탑재형 60km/h 이상, 독립측정형 2km/h 이상)에서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여부에 대한 현장적용 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독립측정형 검측시스템의 경우 고속?일반?도시철도에서 기존에 사용중인 탐상장비에서 발견된 결함개소에 대한 검출능력 및 정확도 검증을 위한 현장시험을 2차년도 하반기부터 시행하여 고도화 작업을 시행할 예정이며, 차량탑재형 검측시스템은 3차년도 하반기부터 코레일에서 운용중인 검측차량 또는 장비에 장착 및 성능시험을 통해 검측시스템에 대한 보완 및 고도화를 진행하여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비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운행할 차량에 관계없이 부착할 수 있도록 검측시스템을 개발하여 검측전용차량 뿐만 영업운행 차량에 탑재하여 검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요처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예정이다.
○ 국내 철도운영기관에서 사용중인 레일탐상 검측시스템의 경우 전량 국외 수입품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 탐상장비의 잦은 고장으로 인한 과다한 유지보수 비용청구 및 장기간 수리로 인한 검측업무 공백발생 등으로 검측시스템의 국산화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내용년수 초과로 인한 신규 장비의 수요가 매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기술개발이 완료되는 2020년 이후 차량탑재형의 경우 5대의 신규 장비의 수요, 독립측정형의 경우 2018년 이후 31대의 신규 장비의 수요가 예상됨에 따라 기존 검측시스템 대비 검측성능 향상 및 저렴한 가격의 장비를 개발하여 기술홍보 및 설명회를 통화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와전류, 초음파 핵심기술은 철도분야 레일 뿐만아니라 열차의 차축 및 차륜, 전차선 내부 및 표면 결함을 검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검측대상에 특성에 적합하게 시스템을 개선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 [2세부] 레일결함 유지관리기준
○ 국내 철도운영기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레일관리기준은 초음파 탐상에 따른 레일내부 결함 관리기준으로 와전류 검측에 따른 표면직하부 관리기준과 레일 내외부 복합적인 결함에 대한 기준이 없는 실정으로 선로유지관리지침 개정 후 철도운영기관(한국철도공사) 레일유지관리 기준으로 활용
○ 레일결함 유지관리기준의 실 수요처인 한국철도공사가 본 연구단 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참여하여 의견수렴 및 적용성 검토를 시행하기 때문에 실제적인 적용이 가능

□ [3세부] 장대레일 종방향 축력 측정 장치
○ 비파괴 장대레일 종방향 레일 축력 측정 장치는 개발 완료시에 신뢰도 및 객관성이 입증이 되므로 국내 및 국외에 특허 출원을 실시하여, 개발 기술에 대한 보호를 우선적으로 실시 한여 우수한 기술이 해외에 유출되는 것을 막고, 이를 응용 하여 세계 시장에 판매 하고자 하는 국내 기업에 적극적으로 기술이전을 실시하여 사업화 추진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레일결함탐상 레일축력 초음파 와전류 레일유지관리기준
영문 rail-damage detection axial force of rail ultrasonic eddy current rail maintenance criterion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_연구단_20201203.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