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LNG 기화기가 포함된 20FT급 초저온 저장용기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21CTAP-C158019-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원자력 | None | None 적용분야 에너지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LNG 기화기가 포함된 20FT급 초저온 저장용기 개발
주관연구기관 금강정밀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황철호
소속 금강정밀 직위 차장
기관 대표번호 051-262-4896 FAX -
총 연구기간 2020-04-13 ~ 2022-04-30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1-01-01 ~ 2022-04-30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211,000,000 28,000,000 42,500,000 70,500,000 281,5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본과제에서는 별도의 저장탱크 및 재기화설비가 없는 지역이라도 Potable ISO Tank Container에서 독립적으로 액체상태의 LNG를 재기화시켜, 현장에서 바로 연료로써 사용할수 있는 독립형태의 LNG용 저장용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즉, LNG용 ISO Tank Container 측면에 Compact형 기화기장비를 내장하며, 동시에 LNG용 ISO Tank Container에 IoT기능을 접목하여, 탱크 및 배관내 설치된 센서에 의해 유량, 압력, 온도등을 실시간 확인 및 제어할수 있는 통합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함께 접목하고자 한다.
최종목표 - 기화기가 내장되고, LNG의 유량, 압력, 온도등을 모니터링할수 있는 독립형 LNG용 ISO Tank Container의 제작기술
- 구조적 안전성과 신뢰성을 가진 LNG용 ISO Tank Container 개발, LNG용 압력용기에 Compact하게 장착, 사용할수 있는 친환경 고효율의 기화기 개발, 이를 통합 관리
할수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시제품을 제작하여 성능시험을 수행함,
- LNG를 독립적으로 기화시킬수 있는 기화기설비를 내장한 독립형 LNG용 ISO Tank Container 개발, Compact형 기화기 제작기술 개발, 이를 통합관리 할수 있는 모니터
링 시스템 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기존의 LNG용 ISO Tank Container는 자체 재기화설비가 없기 때문에, 탱크내 LNG의 이송을 위해 별도 LNG 저장탱크 및 기화기가 있는 설비로 이동하여,
연료를 이송한뒤, 저장탱크 설비에서 재기화시켜 기체상태로 최종 연료로 사용할수 있다.
본과제에서는 별도의 저장탱크 및 재기화설비가 없는 지역이라도 Potable ISO Tank Container에서 독립적으로 액체상태의 LNG를 재기화시켜, 현장에서 바로 연료로써 사용할수 있는 독립형태의 LNG용 저장용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기화 단계에서는 엔진등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열원으로 활용허요 액화상태의 LNG를 기화시키고자 Compact형 기화기장비를 내장하며, 동시에 LNG용 ISO Tank Container에 IoT기능을 접목하여, 탱크 및 배관내 설치된 센서에 의해 유량, 압력, 온도등을 실시간 확인 및 제어할수 있는 통합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함께 접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기화기장치가 내장된 독립형 LNG용 ISO Tank Container를 개발 및 이를 모니터링할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하고자 한다
(LNG를 독립적으로 기화시킬수 있는 기화기설비를 내장한 독립형 LNG용 ISO Tank Container 개발, Compact형 기화기 제작기술 개발, 이를 통합관리 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초저온 저장 용기 제작 기술 및 시제품 제작
- 초저온 저장 용기용 기화기 기술 개발 및 시제품 제작
- 초저온 저장용기의 모니터링 기술 개발 및 시제품 제작
: 개발 대상제품의 개발계획서 작성 및 관련 기술분석
: 개발 대상제품의 국제 CODE 및 개발 방향 확정
: Tank Container보호용 Frame 구조해석
: LNG용 ISO Tank Container 제작
: Compact형 기화기 최적 설계
: 재기화 시스템의 공정설계
: Tank Container에 내장형 기화기 제작
: Tank Container 및 기화기 초저온 테스트 설비구축(초저온, 진공도 시험)
: Tank Container에 내장형 기화기 제작
: LNG용 ISO Tank Container용 모니터링 시스템(Software, Hardware) 제작
: TankContainer 및 기화기 초저온 테스트 설비구축(초저온, 진공도 시험)
: ISO Tank Container 성능평가(내압, 진공)
: LNG용 기화기 성능평가(내압, 유량)
: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및 작동검사
: 개발시제품 전체조립 및 최종 시험
: 통합조립 및 시제품 성능평가 진행, 검사보고서 작성, 보완내용 확인
(정량적 목표항목)
: 최종보고서 검토 및 작성. 제출
: 사업화를 위한 메뉴얼 작성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 초저온 저장 용기 제작 기술 개발
- 초저온 기화기 제작 기술 개발 및 시제품 제작
- 초저온 용기 및 기화기시스템 테스트 JIG 제작
: Multi Layer Insulation 고 진공 기술 개발
: 초저온 용기 구조 및 열해석 성능평가
: 초저온 재료 특성 평가 및 요건분석
: 시뮬레이션을 통한 설계 최적화
: 저장 용기 열·유동 해석 취약점 분석
: 일체형 면상 발열 기화기 기술 개발
: ICT 접목 수요자 멀티 확인 서비스 기술 개발
: 선행 기술조사 및 초저온 저장용기의 재료 선정 및 기계적 특성평가
: 초저온 재료의 인장 및 충격시험
: 초저온 저용 용기 제작을 위한 Design Concept 확정
: 초저온 저장 용기 최적설계 및 제작 기술개발
: 단열성능 및 진공도 특성 평가 및 설계
: CSC, ASME Sec. VIII-I을 적용한 초저온 저장 용기 최적설계
: 초저온 Tank용 Frame 최적설계 및 구조해석 및 강도평가
: 초저온 저장 용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위한 구조 및 열적 거동 해석
: 설계된 초저온 용기의 구조 / 열해석을 통하여 신뢰성 확보 및 최적설계
: 초저온용 밸브의 특성 및 자료조사(특성, 물성 및 장단점 비교정리)
: 초저온에 사용되는 재료 및 용접시험/분석
: 확정된 초저온 재료의 용접법에 따른 용접 특성시험 / 분석 및 제작 WPS 적용
: 초저온 압력용기 제작(절단, 제관, 용접등)
: LNG 기화기 장치 사전조사 및 기계적 특성평가
: 기화기시스템의 배관 열전달, 팽창 구조해석
: 초저온 재기화설비 제작을 위한 Design Concetp 확정
: LNG 기화기 시스템 최적설계
: LNG 기화 시스템 Train 공정 설계
: Air Heated heat exchanger 설계 및 제작(제관, 밴딩, 용접등)
: 검사 조건 및 CODE 사전조사
: LNG 연료 공급 시스템 DEMO 설비 설계
: 성능 Test를 위한 검사 설비(JIG) 제작
: 육·해상 이동용 20ft급 저장 용기는 공간의 제한적이므로 액화천연가스의 단열성능 확보를 위한 진공 단열 구간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성능을 확보하도록
설계 되어야 하며, 구조적 취약 부분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보완
: 컨테이너 타입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용기의 경우 제작 공정 대다수가 용접으로 진행되며, 제작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용접 절차 설명서를 작성하여,
제작상의공정절차서 작성
: 시뮬레이션을 통한 1㎥급 컨테이너 타입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용기 구조 안전성 평가
: 1㎥급 컨테이너 타입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용기 내압 해석 수행
: 컨테이너 타입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용기가 유체에 의한 압력을 견디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KGS, KS 규격을 근거로 하여 내압 해석 수행 후, 설계에 대한
평가 수행
: 설계 및 제작 시 설명서 작성으로 사업화 준비
: 작동 환경 및 작동유체를 고려한 소재 및 계기류 선정
: 저장 용기의 단열성능 향상을 위한 진공 단열 구조 설계 및 취약 예상 부위를 고려한 설계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기화기를 포함하는 Potable LNG용 Tank Container는 국내에서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품폭으로, 기술개발에 성공한다면, 국내 LNG Tank
Container 제작기술 및 국산화에 상당한 진척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화기를 포함하는 독립형 LNG용 Tank Container는 Compact한 디자인으로써 규모를 소형화할수 있음
- 기술 개발 시제품인 독립형 LNG용 Tank Container는 설계 압력 3.3MPa, 설계온도 최대 ?196℃까지 사용 가능하도록 고려한 사양 검토 및 제작을 하여, 계절
변화에 대응할수 있는 기술개발을 통하여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됨
- 제품개발 완료 이후에도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문헌 및 특성을 파악, 분석하여 독자적인 기술 개발 역량강화 방안 수립예정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천연가스(LNG)를 저장, 이송, 사용등을 하는 가스 플랜트 산업은 기술 및 노동 집약적 산업이므로, 경제적 및 산업적 측면에서 파급효과가 매우 큰 산업
할수 있다. 또한 가스 플랜트는 매우 다양한 기자재가 사용되기 때문에, 국내 기업이 관련장비를 수주하고, 관련 기자재를 국내 기업이 공급할 수 있다
면, 국가적으로 매우 많은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산업이라고 할수 있다.
- 하지만, 현실적으로 가스 플랜트의 설계 및 기자재를 대부분 해외 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LNG용 Tank Container에서도 대부분 외산제품으로 사용하
고 있어, 관련산업이 성장하더라도 국가 경제에 크게 기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 따라서, 본 과제에서 이러한 악순환을 극복하고 가스 플랜트 시장 진출을 위해 기화기가 포함된 Potable LNG용 Tank Container의 개발을 추진하고자 하
며, 개발 및 시장 진출에 성공할경우 매우 큰 경제적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 가스 플랜트 산업의 핵심기술과 기자재는 그 국산화율이 매우 낮으며, 국내에서는 가격이 비교적 낮은 제품 위주로 제작 및 기자재를 공급하고 있는 실정
이다.
- 본 연구과제를 통해 기화기를 포함하는 독립형 LNG용 Tank Container를 개발하고, 가스 플랜트 시장에 진출한다면, 관련산업의 국산화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활용방안 LNG의 주요 수입국인 한국 및 전 세계적인 LNG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와 동시에 LNG 관련 기술의발전과 생산기지의 다변화, 경쟁체제의 가속화에 따른 가격하락 등으로 LNG의 거래가 2018년 3.8억 톤에서 2035년 6억톤까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이에 따라 산업용 및 주거용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관련 기술 및 초저온용 시설, 장비등의 큰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특히, 비용의 문제로 대규모의 저장 및 벙커링 설비나 LNG 수송 배관망을 형성할 수 없는 도시와 떨어진 산업단지 및 지방이나 도서산간 지역에서는 Potable LNG Tank Container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할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리적 특색으로 LNG 배관망이나 관련설비등 기반시설을 갖출수 없는중동지역이나 섬으로 이루어진 동남아시아지역에서도 그 수요가 크게 늘어날것으로 예상된다.
중소형 열병합발전소, LNG연료 차량, 중소 LNG연료 추진선, 도서산간 지방의 도시가스용으로 LNG ISO Tank Container의 시장진출이 가능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초저온 저장용기 엘엔지 탱크 컨테이너 기화기 장치 엘엔지 연료 공급 시스템 모니터링 시스템
영문 Cryogenic Storage Container LNG Tank Container Vaporizer LNG Fuel Gas Supply System Monitoring System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