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케이블교량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주기 엔지니어링 및 가설공법 개발6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21SCIP-B119960-06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건설/교통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건설/교통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케이블교량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주기 엔지니어링 및 가설공법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도로공사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노한성
소속 한국도로공사 직위 부처장
기관 대표번호 15882504 FAX 02-371-3266
총 연구기간 2016-09-26 ~ 2021-11-25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1-01-01 ~ 2021-11-25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6차년도 3,890,000,000 211,900,000 1,498,164,000 1,710,064,000 5,600,064,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국토교통부 VC-10 사업단 중 하나인 ‘초장대교량사업단’ (’08~’15)을 통해, 케이블교량의 설계, 재료, 시공 및 유지관리 분야에 대한 핵심기술 자립화 달성
- 사업단을 통해 개발된 개별 요소기술단위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다수의 케이블교량 건설현장에 실용화 성공
- 단,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및 수주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최신 기술?시장 트랜드를 반영한 추가 연구개발을 통해 기존 기술의 고도화, 경제성 제고 및 기술 적용범위 확대 등 필요
- 특히,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기획, 관리, 개념/기본 설계 분야 등) 기술력 확보를 통해, 단순도급형 시공 위주의 수주에서 과감히 탈피 필요

○ 최근 국내 대규모 SOC 건설사업 축소로 인해 케이블교량 내수시장은 정체상태이나, 해외시장은 동남아시아 등을 중심으로 지속 성장중(’25년 37조원 규모로 성장 예상)
- 단, 신생 건설강국인 중국의 저가 진출 전략, 일본의 대외원조사업을 통한 동남아시장 선점 및 기존 기술강국인 유럽?미국 사이에서 국내 건설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기술 경쟁력 제고가 핵심
- 또한, 대외원조(ODA, EDCF 및 AIIB 등)와 연계한 케이블교량 건설사업(미얀마 우정의 다리, 베트남 도로 건설사업 등)이 증가 추세임에 따라, 우리나라도 그간 프로젝트 수행 실적을 바탕으로 주도적 사업 참여 필요
※ VIP 베트남 순방 시 ‘딴번-연짝 도로건설사업’의 EDCF 지원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13.09), 제13차 한-베트남 경제공동위원회에서 유상원조 도로건설사업의 성공적 추진 결의('14.09)

○ 해외 케이블교량 발주환경을 반영하여 국내 건설업체의 진출 지원을 위한 통합 솔루션 확보 및 제공 방안 마련 시급
- 최근 케이블교량 발주시 계획~설계~시공~운용 등 전주기 영역의 패키지 엔지니어링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 추세
- 이러한 케이블교량 발주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간 기술자립을 위해 추진한 다년간의 연구개발, 프로젝트 수행 등을 통해 축적된 국내 기술력을 경쟁기술과 비교?분석하여 우수성 입증 필요
- 또한, 그동안 확보된 단위 개발기술들을 통합 적용하고 실제 케이블교량을 대상으로 적용성, 경제성 등에 대한 검증을 통해, 해외 프로젝트 발굴?수주 지원을 위한 기술의 패키지화도 필요

○ 케이블교량 재난?재해 위험도 평가 및 레질리언스 확보기술 개발 통한 안전 제고 및 글로벌 시장 진출기반 마련 필요
- 제2 진도대교 병렬진동, 이순신대교 와류진동 및 서해대교 낙뢰로 인한 케이블 화재 발생 등 운용중 케이블교량의 안전 강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
- 우리나라가 케이블교량 기술자립 단계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선도그룹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위재난(폭발, 비행체 충돌, 화재 등) 및 자연재해(강풍, 강진 등)에 선제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가 필수
- 특히, 케이블교량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국내는 물론 해외의 다양한 극한환경에서 발생가능한 재난?재해 유형에 대한 대응체계 적기 확보 필요

○ 케이블교량 상부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취약한 하부구조에 대한 경제적이고 안전한 시공을 위해서는 신뢰도 기반 엔지니어링 기술력 확보 시급
- 우리나라의 경우 지반특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한 하부구조 설계 기술력이 부족하여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설계하는 경향이 많으며, 이로 인해 공사비 상승을 초래하는 등 해외 기술선진국 대비 기술 및 가격 경쟁력에서 열위
- 국내는 물론 해외의 다양한 지반특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해석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신뢰도 기반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가 글로벌 시장 진출 및 기술선도를 위한 선결 과제
- 또한, 해상 교량 건설공사 공사비의 약 30%를 차지하는 하부구조(기초) 시공을 위한 원가절감 노력 병행 필요
최종목표 케이블교량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주기 엔지니어링 및 가설공법 개발
(케이블교량 글로벌 경쟁력 및 안전 강화 기술 개발)

○ 해외 케이블교량 시장 진출 확대 및 재난?재해 대비 안전 제고를 위한 고부가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
- 케이블교량 전주기 기술 솔루션 개발
- 케이블교량 신뢰도 기반 재난?재해 대응기술 개발
-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신뢰도 기반 설계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 비용절감형 해상 교량기초 가설공법 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 (1세부과제) 케이블교량 해외진출 통합 솔루션 개발

○ (1-1) 해외 케이블교량 대상 신뢰도 기반 비교설계를 통한 경쟁력 분석 및 통합 솔루션 개발
- 해외 케이블교량 대상 국내외 신뢰도 기반 설계기술?기준을 활용한 비교설계 및 개발기술(초장대교량사업단 및 본과제 연구성과 등)을 적용한 적용성?경제성 분석
※ 해외 케이블교량 : 발주 예정 또는 계획 중인 2개 교량 이상
※ 국내외 신뢰도 기반 설계기술?기준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케이블교량편(한국), AASHTO-LRFD(미국) 및 Euro-code(유럽) 등 상호 비교
- 해외 케이블교량 대상 미래형 케이블교량(신형식, 2km+급 철도병용교 등) 컨셉 개발(개념설계 등)
※ 해외 케이블교량 : 발주 예정 또는 계획 중인 2개 교량 이상
- BIM 기반의 케이블교량 전용 전주기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BMS, WIM, 기후환경, 재난?재해, RISK 데이터 등 활용)
- 케이블교량 개발기술 통합 관리 및 활용 지원 시스템 개발 등

○ (1-2) 국내 케이블교량 분야 현안 해결, 한계 극복 및 글로벌 선도 등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 및 지원(추후 공모)

□ (2세부과제) 케이블교량 재난?재해 위험도 평가 및 레질리언스 확보기술 개발

○ (2-1) 인위재난 대비 극한거동 분석 및 신뢰도 기반 방재기술 개발
- 인위재난(폭발, 충돌, 화재 등)에 대한 상부구조 주요 부재요소별 극한성능 평가기술 개발
- 인위재난 시나리오별 교량시스템 붕괴 위험도 평가 및 방재시스템 개발
- 케이블교량 운용중 빅데이터(계측데이터) 활용 신뢰도 기반 상태평가 기술 개발 등

○ (2-2) 자연재해 대비 신뢰도 기반 위험도 평가 및 레질리언스 상시 확보 기술 개발
- 자연재해(강풍, 강진 등) 상황 신뢰도 기반 케이블교량 사용 위험도 평가 및 저감 기술 개발
- 이상진동 대응 케이블교량 동특성 평가기술 및 자연재해 발생시 사용성 관리기술 개발
- 인위재난·자연재해 유형별 케이블교량 레질리언스 상시 확보 및 복구기술 개발 등

□ (3세부과제)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신뢰도 기반 설계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 (3-1)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신뢰도 기반 설계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 해외 지반특성?지반정수 평가기술 및 토압확률모델 개발
- 타정식 현수교 앵커리지 거동평가 및 설계기술 개발
- 대형 연성기초의 비선형 거동을 고려한 설계기술 및 연약지반 대구경 항타말뚝 지지력 평가기술 개발
-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신뢰도 기반 설계지침 개발 등

□ (4세부과제) 대형 원형강재 활용 해상 교량기초 가설공법 개발

○ (4-1) 대형 원형강재 활용 해상 교량기초 가설공법 개발
- 가물막이 및 해상작업 플랫폼 설계기술 개발
- 고내력 슬림화를 위한 신재료 활용 및 구조단면 설계기술 개발
- 구성요소간 밀폐?분리?결합 설계기술 개발
- 급속 조립 및 해체 기술 개발
- 관입?인발 설계 및 시공 기술 개발(수직도 확보 등)
- 가물막이 내부 급속 차수 및 시공장비 작업성 확보기술 개발
- 국내외 해상 교량 건설현장 대상 테스트베드 적용?운용을 통한 성능검증 등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6차년도 케이블교량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주기 엔지니어링 및 가설공법 개발
(케이블교량 글로벌 경쟁력 및 안전 강화 기술 개발)

○ 해외 케이블교량 시장 진출 확대 및 재난?재해 대비 안전 제고를 위한 고부가 핵심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
- 케이블교량 전주기 기술 솔루션 개발
- 케이블교량 신뢰도 기반 재난?재해 대응기술 개발
-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신뢰도 기반 설계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 비용절감형 해상 교량기초 가설공법 개발
□ (1세부과제) 케이블교량 해외진출 통합 솔루션 개발

○ (1-1) 해외 케이블교량 대상 신뢰도 기반 비교설계를 통한 경쟁력 분석 및 통합 솔루션 개발
- 해외 케이블교량 대상 국내외 신뢰도 기반 설계기술?기준을 활용한 비교설계 및 개발기술(초장대교량사업단 및 본과제 연구성과 등)을 적용한 적용성?경제성 분석
※ 해외 케이블교량 : 발주 예정 또는 계획 중인 2개 교량 이상
※ 국내외 신뢰도 기반 설계기술?기준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케이블교량편(한국), AASHTO-LRFD(미국) 및 Euro-code(유럽) 등 상호 비교
- 해외 케이블교량 대상 미래형 케이블교량(신형식, 2km+급 철도병용교 등) 컨셉 개발(개념설계 등)
※ 해외 케이블교량 : 발주 예정 또는 계획 중인 2개 교량 이상
- BIM 기반의 케이블교량 전용 전주기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BMS, WIM, 기후환경, 재난?재해, RISK 데이터 등 활용)
- 케이블교량 개발기술 통합 관리 및 활용 지원 시스템 개발 등

○ (1-2) 국내 케이블교량 분야 현안 해결, 한계 극복 및 글로벌 선도 등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 및 지원(추후 공모)

□ (2세부과제) 케이블교량 재난?재해 위험도 평가 및 레질리언스 확보기술 개발

○ (2-1) 인위재난 대비 극한거동 분석 및 신뢰도 기반 방재기술 개발
- 인위재난(폭발, 충돌, 화재 등)에 대한 상부구조 주요 부재요소별 극한성능 평가기술 개발
- 인위재난 시나리오별 교량시스템 붕괴 위험도 평가 및 방재시스템 개발
- 케이블교량 운용중 빅데이터(계측데이터) 활용 신뢰도 기반 상태평가 기술 개발 등

○ (2-2) 자연재해 대비 신뢰도 기반 위험도 평가 및 레질리언스 상시 확보 기술 개발
- 자연재해(강풍, 강진 등) 상황 신뢰도 기반 케이블교량 사용 위험도 평가 및 저감 기술 개발
- 이상진동 대응 케이블교량 동특성 평가기술 및 자연재해 발생시 사용성 관리기술 개발
- 인위재난·자연재해 유형별 케이블교량 레질리언스 상시 확보 및 복구기술 개발 등

□ (3세부과제)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신뢰도 기반 설계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 (3-1)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신뢰도 기반 설계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 해외 지반특성?지반정수 평가기술 및 토압확률모델 개발
- 타정식 현수교 앵커리지 거동평가 및 설계기술 개발
- 대형 연성기초의 비선형 거동을 고려한 설계기술 및 연약지반 대구경 항타말뚝 지지력 평가기술 개발
-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신뢰도 기반 설계지침 개발 등

□ (4세부과제) 대형 원형강재 활용 해상 교량기초 가설공법 개발

○ (4-1) 대형 원형강재 활용 해상 교량기초 가설공법 개발
- 가물막이 및 해상작업 플랫폼 설계기술 개발
- 고내력 슬림화를 위한 신재료 활용 및 구조단면 설계기술 개발
- 구성요소간 밀폐?분리?결합 설계기술 개발
- 급속 조립 및 해체 기술 개발
- 관입?인발 설계 및 시공 기술 개발(수직도 확보 등)
- 가물막이 내부 급속 차수 및 시공장비 작업성 확보기술 개발
- 국내외 해상 교량 건설현장 대상 테스트베드 적용?운용을 통한 성능검증 등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1세부과제) 케이블교량 해외진출 통합 솔루션 개발

○ 국내외 신뢰도 기반 설계기술?기준을 활용한 비교설계 및 개발기술을 적용한 적용성?경제성 분석 대상 해외 케이블교량
- 후보지 조사 및 발굴 보고서(발주 예정 또는 계획 중인 2개 교량 이상) 등
- 적용성?경제성 분석 보고서

○ 해외 케이블교량 대상 국내외 신뢰도 기반 설계기술?기준 적용 비교설계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케이블교량편(한국), AASHTO- LRFD (미국), Euro-Code(유럽) 등 적용 비교설계 성과품 등

○ 국내 개발기술(초장대교량사업단, 본과제 연구성과 등)을 적용한 해외 케이블교량 기술 적용성, 확장성 및 경제성 분석 보고서

○ 해외 케이블교량 대상 미래형 케이블교량(신형식, 2km+급 철도병용교 등) 컨셉 및 개념설계
- 후보지 조사 및 발굴 보고서(발주 예정 또는 계획 중인 2개 교량 이상) 등
- 미래형 케이블교량 개념 설계안 등

○ BMS, WIM, 기후환경, 재난?재해, RISK 데이터 등을 활용한 BIM 기반의 케이블교량 전용 전주기 통합 관리시스템
- 케이블교량 전용 전주기 통합 관리시스템
- 국내 시범적용교량 선정 및 시스템 구축
- 케이블교량 전주기 통합 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매뉴얼 등

○ 케이블교량 개발기술 통합 관리 및 활용 지원 시스템

○ 국내 케이블교량 분야 현안 해결, 한계 극복 및 글로벌 선도 등을 위한 요소기술

□ (2세부과제) 케이블교량 재난?재해 위험도 평가 및 레질리언스 확보기술 개발

○ 케이블교량 상부구조 극한성능 평가 SW, 매뉴얼 및 예제집

○ 인위재난 시나리오별 케이블교량 붕괴 위험도 평가 S/W, 매뉴얼, 및 예제집

○ 케이블교량 재난?재해 대응 방재시스템
- 케이블교량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안)
- 케이블 피복재 등 내화성능 강화재료

○ 케이블교량 상태평가를 위한 운용중 빅데이터(계측데이터) 저장, 분석, 가시화 및 의사결정 시스템 SW
- 케이블교량 상태평가, 주요 부재 수명예측, 부재별 보수·보강 의사결정 지원 등

○ 신뢰도 기반 케이블교량 성능평가 기준(안) 및 적용예제

○ 케이블교량 자연재해 상황별 신뢰도 기반 사용 위험도 평가 S/W, 매뉴얼 및 예제집

○ 케이블교량 이상진동 대응 최적 데이터 획득, 동특성 식별, 상태평가 S/W 및 운용 관리지침(안)

○ 재난?재해 유형별 케이블교량 상시 레질리언스 평가 인덱스 및 S/W

○ 재난?재해 유형별 케이블교량 레질리언스 확보, 대응 및 복구 지침(안)

○ 케이블교량 재난?재해 위험도 평가 및 레질리언스 확보 기술의 실교량 적용 및 검증
- 테스트베드 구축, 검증 및 결과보고서 등
※ (1-1) 과제 수행에 필요한 자료, 기술 등 공유?활용

□ (3세부과제)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신뢰도 기반 설계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 신뢰도 기반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설계지침(안)
- 지반정수 산정을 위한 토압 확률모델, 토압 산정 계수, 하부기초 저항계수 등 신뢰도 기반의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한계상태 설계지침(안)(목표수준: 설계수명 200년, 신뢰도 지수 β=3.5 등)
- 대심도 연약지반 부마찰력 적용 설계지침(안) 및 설계 예제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케이블교량편 개정(안) 등

○ 비선형 해석을 이용한 현수교 앵커리지, 대심도 연약지반 대구경 항타말뚝 및 대형 연성기초 Prototype 설계 성과품(해외 케이블교량의 대형 앵커리지 및 하부기초 대상)
- 해외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대상 신뢰도 기반 해외 설계기준 및 국내 기술 적용 Prototype 설계를 통한 적용성?경제성 분석보고서
- 해외 강진지역에서 지반 부지효과를 고려한 지진가속도 평가 보고서 및 동적 설계 예제
- 폐색효과를 고려한 대심도?대구경 항타말뚝의 지지력 산정?분석 보고서 및 설계 예제
- 상부 및 하부기초 상하 접합부 설계절차 및 설계 예제 등

○ 해외 현지 실험 Data를 활용한 토압분포 DB 및 대구경 항타말뚝의 지지력?지반정수 평가 지원시스템
- 국내외 지반종류별 지반정수 및 토압분포 DB
- 지지력 및 지반정수 평가 지원시스템(해외 특수지반 포함) 등
※ (1-1) 과제 수행에 필요한 자료, 기술 등 공유?활용

□ (4세부과제) 대형 원형강재 활용 해상 교량기초 가설공법 개발

○ 대형 원형강재 활용 해상 교량기초 가설공법 설계기술
- 대형 원형강재 설계모델 및 S/W
- 수리-지반-구조 통합 안정성 해석모델
- 시공 단계별 가설공법 안정성 해석 S/W
- 석션압을 이용한 대형 원형강재 관입 및 인발 설계 S/W
- 대형 원형강재 가설공법 설계 매뉴얼 등

○ 대형 원형강재 활용 해상 교량기초 가설공법 설치 및 해체 기술
- 대형 원형강재 가설공법 시공시스템 구성장비
- 대형 원형강재 운반 및 거치 매뉴얼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케이블교량 통합 솔루션(계획, 설계, 시공, 안전 및 운영관리 등 연계) 기술 확보로 국내 케이블교량 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해외 진출 확대 가능
- 중국의 저가진출, 일본의 해외 원조사업을 통한 동남아시장 선점 및 기존 기술강국인 유럽?미국 사이에서 고전하고 있는 국내 케이블교량 산업의 해외 진출 확대로 미래먹거리 및 일자리 창출 가능

○ 예기치 못한 재난?재해에 능동적이고 합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케이블교량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대국민 안전 확보, 국가 주요 시설물의 예방적 자산관리 및 해외의 다양한 극한환경 진출 기반 마련 가능

○ 상부구조 대비 기술력이 취약하고 공사비 과다지출의 원인으로 지적되어 온 하부구조 및 지반구조물에 대한 신뢰도 기반 설계엔지니어링 기술 개발을 통해, 케이블교량 통합 설계역량 확보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

○ 공사비 절감이 가능한 신형식 해상 교량기초 가설공법 확보를 통해, 국내 건설기업의 가격경쟁력 제고 및 해외 시장 점유율 향상에 기여 가능
활용방안 ○ 해외 케이블교량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신뢰도 기반 설계기술?기준 적용 비교설계 성과품 및 경쟁력 분석 보고서
- 해외 케이블교량 관련 대외원조(ODA, EDCF, ADB, AIIB) 사업 등에 국내 기술정보 제공, 현장적용 지원 및 수혜국의 발주자료로 활용
- 해외 케이블교량 관련 PPP, BOT 사업 등 발굴?추진을 위한 기술정보 제공 및 국내 건설기업의 대상국 사업 비딩 자료로 활용
- 글로벌 케이블교량 시장에서 국내 기술력 입증, 홍보 및 성과확산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BMS, WIM, 기후환경, 재난?재해, RISK 데이터 등을 활용한 BIM 기반의 케이블교량 전용 전주기 통합 관리시스템
- 국내 시범적용교량에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케이블교량에 확대 적용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

○ 케이블교량 재난?재해 대응 관련 지침(안) 및 기준(안)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케이블교량편 반영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
- 케이블교량 관리주체에 운용관리 기준으로 제공?활용
- 케이블교량 재난?재해 대응 및 복구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케이블교량 극한성능, 위험도, 레질리언스 등 평가를 위한 S/W, 매뉴얼 및 예제집
- 개발기술(S/W 등) 실시, 이전 등을 통한 실용화

○ 케이블교량 방재시스템
- 개발기술(내화재료 등) 실시, 이전 등을 통한 실용화
- 케이블교량 화재 위험도 등급에 따라 필요한 방재시스템 구축 및 운영 가이드라인 제공

○ 신뢰도 기반 케이블교량 하부구조 설계지침(안)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케이블교량편 반영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

○ 국내외 지반종류별 지반정수 및 토압분포 DB, 해외 특수지반 특성에 따른 지지력?지반정수 평가 지원시스템
- 해외 케이블교량 사업 주체(발주처, 설계사, 시공사 등)에 지반정보, 지반 지지력 및 지반정수 평가결과 등 제공

○ 대형 원형강재 활용 해상 교량기초 가설공법
- 기초 가설 전문업체에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 추진
- 풍력타워 등 해상 대형 구조물의 기초 시공공법으로 확대 적용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케이블교량 글로벌경쟁력강화 토탈솔루션 재난재해대응 하부구조설계/시공
영문 Cable bridge Global Total solution Hazard Foundation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케이블교량글로벌연구단-총괄(한국도로공사)-최종보고서-2201.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