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제고유번호 | 17RTRP-B072484-05 | 
				
					| 연구사업명 | 철도기술연구사업 | 
				
					| 연구과제명 | 철도 소음/진동 저감기술 개발 | 
				
					| 총 연구기간 | 2013-12-27 ~ 2019-01-26 | 
				
					| 연구책임자 | 고효인 | 당해년도 참여 연구원수
 | 9명 | 당해년도 연구비
 | 정부 : 3,305,000,000 원 기업 : 1,105,335,000 원
 계 : 4,410,335,000 원
 | 
				
					| 총 연구기간 참여 연구원수
 | 27명 | 총연구비 | 정부 : 20,245,000,000 원 기업 : 8,601,868,333 원
 계 : 28,846,868,333 원
 | 
 				
				
					| 연구기관명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등록 발간번호 | 11-B551201-000123-01 | 
				
					| ISBN | 979-11-89761-68-4 | 
				
				
					| [철도 선로변 지속가능 저소음화 기술개발]?	철도 선로변 수음지에서의 소음 저감 기술 개발 - 레일 음향조도 및 진동 저감기술 - 친환경 고효율 선로 방음기술  - 강교량 소음/진동 저감기술 - 선로변 저소음화 기술 실증 연구[전동차 소음 저감 기술개발]?	현차적용시 80km/h 주행시 실외 소음 81dBA 만족 및 110km/h 터널 주행중 실내소음 80dBA 만족 가능한 저소음 장치 개발(견인전동기, 구동기어, 출입무, HVAC) 및 전동차 소음 저감 기술 개발[철도 스퀼소음 저감기술 개발]?	급곡선부 스퀼소음 해석모델 및 저감방안 개발?	역사 내 제동 스퀼소음 해석 및 저감기술 개발[역사 구조물 소음/진동 저감기술 개발 ]?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소음?진동이 심한 기존 선하역사에 대하여 철도운행의 지장 없이 시공할 수 있는 방음?방진시스템 기술을 적용하여 진동 5dB(V), 소음 3dB(A) 이상 저감을 달성하고, 철도역사의 형식, 구조,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인체반응 기반의 합리적, 과학적 소음?진동 기준 및 평가기준의 개발  - 차량-궤도-교량과의 인터페이스를 고려한 기존 선하역사의 구조적 분류와 이에 따른 진동저감시스템의 해석모형 및 설계기술 개발  - 기존 선하역사 구조?형식별 진동저감 설계기술, 제품 및 시공기술의 개발  - 철도운행의 중단없이 급속시공이 가능한 프리캐스형 플로팅 슬래브궤도 시스템의 해석, 설계기술, 방음?방진시스템 및 시공기술의 개발  - 철도시스템을 고려한 역사의 구조형식, 공간기획 별 체감진동 및 청감이 고려된 역사 소음?진동 기준 및 평가기준의 개발 | 
				
					| 색인어 | 한글 | 철도 소음 진동 | 레일 소음 | 저상 방음벽 | 철도 방음터널 | 철도 강교량 | 
				
					| 영문 | railway noise,vibration | rail noise | low height noise barrier | railway tunnel | railwaysteelbridge | 
				
					| 최종보고서 | 총괄 보고서2019_발간배포용_시스템.pdf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