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 글보기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에 대한 과제고유번호, 연구사업명,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당해년도 참여 연구원수(총인원수, 내부인원수, 외부인원수), 당해년도 연구비(정부연구비, 기업연구비, 계), 총 연구기간 참여 연구원수(총인원수, 내부인원수, 외부인원수), 총 연구비(정부연구비, 기업연구비, 계), 연구기관명 및 소속부서, 참여기업명, 참여연구기관명, 위탁연구, 내용, 색인어, 관련첨부파일 정보 제공
과제고유번호 17TLRP-B079203-04
연구사업명 교통물류연구
연구과제명 노동의존 물류환경 개선을 위한 하역, 운반 보조장비 기술개발
총 연구기간 2014-06-30 ~ 2018-06-25
연구책임자 이석 당해년도
참여 연구원수
7명 당해년도
연구비
정부 : 683,000,000 원
기업 : 288,100,000 원
계 : 971,100,000 원
총 연구기간
참여 연구원수
26명 총연구비 정부 : 5,904,000,000 원
기업 : 2,520,100,333 원
계 : 8,424,100,333 원
연구기관명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록 발간번호 -
ISBN -
[1세부]
○ 적재효율 및 하역편의 향상을 위한 ① 운송장비용 모바일 랙(Mobile-Rack) 기술, ② 진공압축(Vaccum) 방식 간편 하역 보조 장비 기술의 국산화가 최종 목표
- 운송장비용 모바일 랙은 차량 화물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상하역 작업 편의성 제공 및 상하역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운송장비용 모바일 랙(Mobile-Rack)을 국산화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최종목표

총 적재능력 : 10% 이상 향상
층당 적재 능력 : 200kg
적재 대상화물 지원 랙 형태(가변형 박스 타입)
가변 랙 무게 : 기존대비 경량화

- 진공압축식 간편 하역 보조장비는 물류창고 상하역장에서 물류현장 노동자들이 무거운 화물을 빠른 시간에 안전하게 상하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하역 보조 장치인 접이식(Telescopic) 컨베이어 벨트와 진공압축식 리프트 장비 기술 개발이 최종 목표

이동 가능 중량 : 80kg
리프트 핸들러 이동 범위 : 수직 1.5m, 수평 180도 회전 이동
장비 가격 : 기존 제품 대비 80% 이내 수준

[2세부]안전한 중량물 취급을 위한 350KN급 에어쿠션 이송장비 기술
- Air skid/pallet coushion/air caster 설계 및 제작 기술
- 350kN급 에어베어링 패드 및 공기필터 설계 및 제작 기술
- 에어베어링 턴테이블 설계 및 제작 기술

이송가능 중량 목표치 : 350kN, 최고 500kN 목표

[3세부] 물류현장 안전도 및 편의향상 보조장비 기술

3-1. 적재효율 및 이동작업 편의성 향상을 위한 적재능력/처리속도/자체중량 10% 개선 모바일파워카트 기술
- 기존 모바일 파워카트의 대부분이 컴퓨터를 이동하면서 사용하기 위한 목적에 작업대 등을 보완한 수준에 불과
- 현재 물류현장에서 사용 중인 피킹용 카트의 적재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온라인 정보처리를 위한 경량 모바일터미널을 모듈방식으로 개발하여 작업자의 양손 사용을 지원하는 등 작업편의성 향상

적재능력 : 10% 이상 향상(가변 구조)
총 중량 : 10% 이상 경량화(컴퓨터, 스캐너, 프린터 적재 & Stand alone 기준)
피킹속도 : 10% 이상 향상(도입 전/후 동일환경 기준 비교)

3-2. 택배기사를 위한 휴대용 경량소재 화물상하역 및 이송 보조장비 기술
<휴대용 가드리프트>
- 택배 등 개별적으로 다량의 중/경량 화물을 처리를 하는 화물운전자, 물류현장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100kg 미만용 휴대용 가드리프트 개발
- 초경량구조로 화물의 하중을 해소할 수 있는 소재 개발 및 기하구조 설계
- 다양한 화물의 형태 및 구조에 대응 가능한 안전하고 유연성 있는 구조 설계

총중량 : 20kg 미만(150kg용 46kg)
안전이동속도 : 10% 이상 향상(도입 전/후 동일환경 기준 비교)
적재능력 : 10% 이상 향상(용적기준)

- 전국도매시장 33개, 1360개 전통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도매시장 전용 물류장비를 개발하여, 현재 수평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물류활동을 자동화, 혹은 반자동화 물류체계로 변화시켜서 가락도매 시장에 즉시 적용하도록 할 것이고, 점차적으로 33개 전국도매시장과 1360개 전통시장에도 적용하도록 하여 유통물류현장의 노동의존성과 위험한 조업환경을 개선할 것임

<화물부착형 휴대용 상하역 도구>
○ 손잡이가 없는 화물이나 박스 상하역 시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화물부착형 휴대용 간편기구 디자인 개발
- 다양한 화물의 형태 및 구조에 대응 가능한 유연성 있는 구조 설계
- 화물하중 등에 견딜 수 있는 소재 개발

자체중량 : 2kg 미만(취급화물 중량 최대 40kg)
대상화물범위 : 박스타입+부정형타입(기존 제품박스타입)
거치형태 : 양손 + 한손(기존 제품은 양손형)
색인어 한글 가공유리 모바일랙 에어쿠션 피킹카트 적재효율
영문 Flat Glass Mobile Rack Air cushion picking cart loading efficiency
최종보고서 1세부. 적재효율 및 하역편의 향상을 위한 유리전용 모바일 랙 개발 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2세부. 안전한 중량물 취급을 위한 350kN급 에어쿠션(Air-Cushion) 이송장비 기술개발 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3세부. 물류현장 안전도 및 편의성향상 보조장비 기술개발 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목록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