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 글보기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에 대한 과제고유번호, 연구사업명,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당해년도 참여 연구원수(총인원수, 내부인원수, 외부인원수), 당해년도 연구비(정부연구비, 기업연구비, 계), 총 연구기간 참여 연구원수(총인원수, 내부인원수, 외부인원수), 총 연구비(정부연구비, 기업연구비, 계), 연구기관명 및 소속부서, 참여기업명, 참여연구기관명, 위탁연구, 내용, 색인어, 관련첨부파일 정보 제공
과제고유번호 19CTAP-C143685-02
연구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연구과제명 국가 물 관리를 위한 통합형 토양수분량 계측시스템 설계 기술 개발
총 연구기간 2018-04-17 ~ 2019-12-31
연구책임자 최민하 당해년도
참여 연구원수
5명 당해년도
연구비
정부 : 220,000,000 원
기업 : 0 원
계 : 220,000,000 원
총 연구기간
참여 연구원수
8명 총연구비 정부 : 370,000,000 원
기업 : 0 원
계 : 370,000,000 원
연구기관명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 발간번호 -
ISBN 9791196999506
대상유역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면 단위 개념의 토양수분량 계측시스템 설계 기법」을 개발하여 전국단위 토양수분량자료의 생산 및 활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토양수분량은 대상유역의 유출기구 특성을 좌우하는 지배인자로서 강우에 의한 유역의 응답으로 발생하는 강우-유출 매커니즘을 규명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토양수분량은 대상유역을 대표할 수 있도록 계측되어야 자료의 다목적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TDR 혹은 FDR과 같은 점 단위 개념의 계측시스템은 한정된 지점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면 단위 개념의 계측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 성과는 미진하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볼 때 Cosmic-Ray와 같은 측정장비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개발이 시급해 보인다. 토양수분량 조사에 대한 연구개발은 향후 지상관측소와 인공위성을 연계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토양수분량은 대상유역의 토양형이나 토지피복, 유효토심, 사면경사 등 여러 인자에 영향을 받아 시공간적으로 매우 상이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많은 수의 관측소를 설치?운영한다고 하더라도 전국단위를 대표할 수 있는 토양수분량을 생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상관측소에서 생산된 자료를 검증자료로 활용하여 인공위성 자료로 산정되는 토양수분량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최근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토양수분량을 산정하는 연구개발은 미국 등 선진외국에서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색인어 한글 국가관측망 토양수분량 Cosmic-ray FDR TDR
영문 National Monitoring Network Soil Moisture Cosmic-ray instrument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Time Domain Reflectometry
최종보고서 성과점검기준표_증빙자료집_부록.pdf   다운로드 연구개발결과 활용계획서.pdf   다운로드 국토교통과학기술촉진사업_성균관대학교_최민하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최종성과물 일람.pdf   다운로드 주관연구기관 자체평가의견서.pdf   다운로드 연구개발 핵심성과 요약.pdf   다운로드

목록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