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 글보기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에 대한 과제고유번호, 연구사업명,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당해년도 참여 연구원수(총인원수, 내부인원수, 외부인원수), 당해년도 연구비(정부연구비, 기업연구비, 계), 총 연구기간 참여 연구원수(총인원수, 내부인원수, 외부인원수), 총 연구비(정부연구비, 기업연구비, 계), 연구기관명 및 소속부서, 참여기업명, 참여연구기관명, 위탁연구, 내용, 색인어, 관련첨부파일 정보 제공
과제고유번호 18CTAP-C129809-02
연구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연구과제명 한국형 파이프라인 내진 취약도 및 안전성 개선
총 연구기간 2017-04-01 ~ 2018-12-31
연구책임자 주부석 당해년도
참여 연구원수
4명 당해년도
연구비
정부 : 220,000,000 원
기업 : 73,400,000 원
계 : 293,400,000 원
총 연구기간
참여 연구원수
10명 총연구비 정부 : 370,000,000 원
기업 : 123,400,000 원
계 : 493,400,000 원
연구기관명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 발간번호 -
ISBN -
주요시설물 한국형 파이프라인의 내진성능 향상, 내진 취약도 분석 및 안전성 개선
○ 지진 재난 시나리오에 따른 구조물/파이프라인의 파괴확률 연관성 분석 및 Fault Tree 구성:
○ 정성적 평가: logical expression of top tree event and minimal cut-sets
○ 정량적 평가: based on probabilities of basic events
○ 현 Design Codes의 경우 Structural System의 거동과 Design에 집중되어 Nonstructural components의 경우 재난 발생 시 상당한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병원구조물 뿐만 아니라 병원 구조물내 파이프라인과 같은 비구조 요소의 피해저감을 위해 Probabilistic Seismic Risk Assessment를 적용하고자 함
○ Fragility 분석을 통한 태풍/지진 시나리오에 따른 변수를 도출한 후 Bayesian Approach 평가를 통하여 주요 시설물 구조/비구조 요소 안전성 평가에 적용
○ 이벤트에 따른 주요 시설물의 불확실성 변수 기반 리스크 분석 평가 도출 및 확립
○ 기존 재난 저감 기술에서 따른 한계성을 극복하고 파이프라인의 T-joint, elbow, valve와 같은 취약부의 안전성 문제 개선을 위한 보수/보강 기법 구축
색인어 한글 파이프라인 내진 취약도 확률론적 분석 응급복구 안전성평가
영문 piping system seismic fragility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emergency recovery safety evaluation
최종보고서 [서식1] 최종보고서 표준서식_경희대학교주부석_수정보완_20190329.pdf   다운로드

목록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