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 home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공공 공사 연계) 자율주행 융합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공간정보지도 자동 갱신 시스템 개발 기술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 과제번호 22TBIP-C161088-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원자력 | None | None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농림·수산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공공 공사 연계) 자율주행 융합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공간정보지도 자동 갱신 시스템 개발 기술
주관연구기관 (주)지오스토리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위광재
소속 (주)지오스토리 직위 감사
기관 대표번호 02-6961-5877 FAX 070-5228-4731
총 연구기간 2021-04-01 ~ 2023-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470,000,000 43,088,000 317,292,000 360,380,000 830,38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공공 공사차량을 이용한 도로 융합데이터 기반의 디지털지도 갱신을 위한 동적지도 서비스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 기술 개발
○ 데이터 동기화 기술 등의 시스템 서비스 개발
○ 실시간/준실시간 센서정보의 취득, 가공 및 5G/LTE 전송하기 위한 차량시스템 개발
○ 센서 데이터 수집 및 동적정보 탐지 결과 모니터링 서비스 개발
○ 획득 데이터(점군, 영상 등)를 활용한 객체인지 기술 개발
○ 도로자산시스템 등 활용시스템과 연동되는 API 기능 개발
○ 차량 시스템은 고가의 외산 시스템을 저가형으로 대체하기 위한 다수의 일반 차량에 설치 및 운영 가능하도록 개발
○ LX의 공간정보관련 플랫폼인 도로자산시스템과 연동되어 테스트 베드 선정 후 실증 수행
최종목표 최종목표 : 공공 공사차량을 이용한 도로 융합데이터 기반의 디지털지도 갱신을 위한 동적지도 서비스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 기술 개발
1. 도로 융합데이터 기반 디지털 공간정보 동적지도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차량시스템 시작품 제작
○ 비즈니스모델 수립 및 사업화 컨설팅
○ 차량시스템 시작품 제작 및 검증
○ 서비스 시스템 설계
2. 도로 융합데이터 기반 디지털 공간정보 동적지도 서비스 시스템 개발 및 테스트베드 실증 평가
○ 시제품 개발 및 테스트베드 구축
○ 테스트베드 실증 및 현장 평가
연구내용 및 범위 [1차년도]
(지오스토리) : 디지털 공간정보 동적지도 서비스 시스템 설계
? Web 서버 설계
: 차량의 위치 및 데이터 상태를 실시간/준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비스 설계
: 모니터링 대상 차량 및 사용자 등록, 삭제 등 관리가 가능하도록 사용자 관리 기능 설계
: Web 서버 운용에 필요한 관리를 위한 서버 관리 기능 설계
? WAS 서버 설계
: 데이터를 획득하고 있는 센서의 상태 및 조회하기 위한 센서정보 관리 기능 설계
: 기존 데이터와의 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AI 기반 객체 인지 훈련 S/W 개발
: 인지된 객체를 기준으로 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탐지 및 갱신 알고리즘 개발 및 기능 설계
: 차량과의 통신 및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관리 기능 설계
? Storage 서버 설계
: 센서의 위치 및 기타 정보와 갱신 DB를 저장하기 위한 DB 서버 설계
(스트리스): 센서 융합 데이터 취득 및 5G/LTE 기반 전송 기술 개발
? 센서 융합 데이터 전송 시스템 설계
: 주요 센서(LiDAR, Camera, GNSS/INS)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 설계
: 5G/LTE 통신을 위한 단말기 선정 및 하드웨어 커스터마이징
: 데이터 표출 및 관리를 위한 수신 서버 데이터 구조 설계
? 통신 성능 검증을 위한 테스트
: 기술개발 성능 검증을 위해서 자율주행 실증지역인 서울 상암동 ‘자율주행 차량 특구’ 지역 일대에서 전송 환경 및 데이터 손실 관련 테스트 진행

[2차년도]
(지오스토리) : 디지털 공간정보 동적지도 서비스 시스템 구현
? 시스템 전체 구조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Web 서버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 및 데이터의 상태 등을 모니터링 할수 있음
? Web 서버는 단순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이고 객체 인지 및 변화탐지, 도로자산시스템 연계 등은 WAS를 통해 작업이 이루어짐
? Web 서버 개발
: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2D 기반 지도 연계 차량 경로 및 위치 모니터링 기능 개발
? 실시감/준실시간 획득 영상 및 LiDAR 데이터 상태 모니터링 기능 개발
? 실시간 데이터 취득 상태 모니터링 기능 개발
: 사용자 관리 기능 개발
? 사용자 권한 설정 기능 개발
? 사용자 등록/삭제 등 권한 기능 개발
? 모니터링 대상 차량 관리 기능 개발
: Web서버 관리 기능 개발
? 시스템의 S/W 및 H/W 운용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 개발
? 차량과의 통신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 개발
? WAS 서버 개발
: 센서 정보 관리 기능 개발
? 차량의 센서 취득 데이터 및 관련 자료 저장 기능 개발
? 객체인지 및 변화탐지 등의 기능에서 데이터 조회하는 기능 개발
: 객체인지 기능 개발
? 객체인지를 위한 딥러닝 모델 훈련
? 모델 훈련을 위한 훈련 데이터 구축
? 딥러닝 기반 객체 인지 시스템 개발
: 변화탐지 기능 개발
? 영상 및 점군데이터를 사용한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
: WAS 서버 관리 기능 개발
? 차량과의 통신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 개발
? 시스템 장애 발생시 예비 시스템 자동 가동 기능 개발
? S/W 및 H/W 운용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 개발
? 실시간/준실시간 DB 운용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 개발
? Storage 서버 개발
: 갱신 DB 구축
: 센서 위치 및 정보 수집 DB 구축
(스트리스): 차량 시스템 안정화 및 센서 데이터 편집 기술 개발
? 차량 시스템 안정화
: 데이터 저장소, 통신 시스템 연계 안정성 확보
: 촬영 관리 시스템 구축
? 센서 데이터 편집 기술 개발
: 데이터 동기화 및 전처리를 통한 맵핑 데이터 생산 기술 개발
: 전송 환경을 고려한 데이터 분할 및 압축 기술 개발
: 전송 환경 및 센서 정보 구조 설계 및 표출 기술 개발

[3차년도]
(지오스토리): 디지털 공간정보 동적지도 서비스 시스템 시험 및 고도화
? 실험 대상지역 데이터 처리 및 검증
: 실험 대상지역 객체인식, 변화탐지 처리 및 검증
: 실시간/준실시간 차량 위치 및 획득 데이터 현황 모니터링 검증
: LX도라자산시스템과 변화 탐지 객체 연계 처리 및 검증
(스트리스): 일반 차량 설치 및 운영을 통해 시스템 성능 테스트
? 실험 대상지역 데이터 취득 및 성능 검증
: 일반 차량에 탑재하여 다양한 환경(통신, GNSS, 지형)에서 시스템 구동
: 환경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지연시간과 데이터 유실에 대한 테스트
? 차량 탑재형 융합 데이터 프로세스 최적화
: 데이터 취득 상황에 따른 전송 데이터량과 속도 기준 설정
: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변환되는 데이터 전송 엔진 개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지오스토리) : 디지털 공간정보 동적지도 서비스 시스템 설계
(스트리스): 센서 융합 데이터 취득 및 5G/LTE 기반 전송 기술 개발
(지오스토리) : 디지털 공간정보 동적지도 서비스 시스템 설계
? Web 서버 설계
: 차량의 위치 및 데이터 상태를 실시간/준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비스 설계
: 모니터링 대상 차량 및 사용자 등록, 삭제 등 관리가 가능하도록 사용자 관리 기능 설계
: Web 서버 운용에 필요한 관리를 위한 서버 관리 기능 설계
? WAS 서버 설계
: 데이터를 획득하고 있는 센서의 상태 및 조회하기 위한 센서정보 관리 기능 설계
: 기존 데이터와의 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AI 기반 객체 인지 훈련 S/W 개발
: 인지된 객체를 기준으로 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탐지 및 갱신 알고리즘 개발 및 기능 설계
: 차량과의 통신 및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관리 기능 설계
? Storage 서버 설계
: 센서의 위치 및 기타 정보와 갱신 DB를 저장하기 위한 DB 서버 설계
(스트리스): 센서 융합 데이터 취득 및 5G/LTE 기반 전송 기술 개발
? 센서 융합 데이터 전송 시스템 설계
: 주요 센서(LiDAR, Camera, GNSS/INS)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 설계
: 5G/LTE 통신을 위한 단말기 선정 및 하드웨어 커스터마이징
: 데이터 표출 및 관리를 위한 수신 서버 데이터 구조 설계
? 통신 성능 검증을 위한 테스트
: 기술개발 성능 검증을 위해서 자율주행 실증지역인 서울 상암동 ‘자율주행 차량 특구’ 지역 일대에서 전송 환경 및 데이터 손실 관련 테스트 진행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본 연구개발성과는 전방산업의 수요기술인 자율주행을 위한 공간정보지도의 동적 정보 갱신 기능 향상효과가 있으며, 실증 및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음
○ 실시간/준실시간 기반의 자율주행 데이터 취득과 배포 방식은 자율주행기술 선진국인 미국에서도 논의되고 있는 방식이며, 후발주자인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견인
○ 후방산업의 기술인 도로 및 교통정보 데이터취득, 통신기술의 사용성 검증 및 표준체계 정립 가능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경제적, 산업적 측면
- 고가의 장비와 오프라인 방식으로 갱신 및 구축되는 기존 운영방식 및 단가 비효율성을 해결하여 자율주행 정밀도로지도 갱신 체계 구축 및 운영비용의 획기적인 절약 가능(장비 및 취득방식의 경우 기존 방식대비 40%이상 절감 가능)
- 향후 2035년 1조 1,20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는 글로벌 자율주행 시장의 점유율 선점
- 로봇택시, 자율주행 셔틀 등 새로운 형태의 이동수단 도입 가능성으로 신산업 발생 가능
○ 사회적 측면
-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술 달성으로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시대를 먼저 열어 글로벌 기술시장에서 국가 이미지 제고 효과
- 낮은 인구밀도와 교통 편의성이 낮은 지역에 자율주행 셔틀 도입으로 국민생활수준의 전반적인 향상
활용방안 ○ 고용창출효과
- 신기술을 적용한 신사업이 시작됨에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 창출 효과
- 본 과제의 연구개발성과가 적용된 사업화 제품의 각 Tier의 시스템과 데이터 운용인력에 대한 고용창출
- 클라우드 기반 근무환경에 따라 데이터 비식별화 검수, 자동화 프로세스 점검, 현장문제 발생 시 대응조치 등 필요 업무에 대하여 비대면 형태의 일자리 창출
○ 경제기여도
- 본 과제의 연구개발성과 활용 시 자율주행을 위한 고정밀 맵 데이터 생산이 고가의 전문차량에서 서비스를 활용하는 자율주행차, 엣지 인프라로 개선되면서 발생하는 민관 공동의 자율주행 고정비 지출을 절감 가능
- 고정밀 맵 데이터 생산은 기존 노동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 측량사업에도 전산화를 통한 효율성 향상이 가능하여 측량에 지출되는 국가 및 지자체 예산 사용액을 절감할 수 있음
○ 사회가치 및 지역 파급효과
- 자율주행차량, 엣지 인프라로 자율주행 시스템을 활용하여 재난 및 돌발상황 발생을 초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어 국민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음.
- 클라우드 기반의 3-Tier 자율주행 운행 플랫폼은 자율주행 서비스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하므로 도심지의 상업적 활용뿐 아니라 교통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에 셔틀을 도입하여 인프라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음.
- 교통 인프라 소외지역에 대한 실시간 관제와 의료 복지인프라 효용의 공유 가능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자율주행 동적지도 변화탐지 실시간 갱신
영문 Self-driving Dynamic Map Change detection Real-time Updat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자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