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최종보고서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 글보기
국토교통R&D 연구개발보고서 글보기
과제고유번호 05기반구축A04
연구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연구과제명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설계지침
연구책임자 강정규 당해년도
참여 연구원수
50명 당해년도
연구비
정부 : 400,000,000 원
기업 : 0 원
계 : 400,000,000 원
총 연구기간
참여 연구원수
56명 총연구비 정부 : 400,000,000 원
기업 : 0 원
계 : 400,000,000 원
연구기관명 및 소속부서 사단법인 한국도로시설안전산업협회
참여기업명 -
참여연구기관명 건설2실,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등록 발간번호 -
ISBN
* 건설교통부, 산업자원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수도권 발전대책 특별위원회 등 정부의 각 기관에서 BRT 도입을 발표하고 있고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등 각 지자체에서도 BRT 도입을 발표하거나 계획을 검토중에 있음
* 또한 서울시의 경우, 일부 구간에 초급 BRT를 도입하였으며 이의 지속적인 확장 및 수준제고를 준비중에 있으며 경기도의 경우 ‘05년에 시범노선에 BRT사업 실시를 준비하는 등 BRT 도입 여건은 매우 성숙해 있음
* 그러나, BRT 구조 및 시설에 적용되는 일반 규정 및 각 구성요소별 설계지침이 마련되지 않아, 현재는 지자체별로 별도 기준을 작성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임
* 각 지자체별 설계기준이 상이할 경우 BRT간 연계 및 시스템 통합시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높고 또한 후발 사업의 계획시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음
*따라서 BRT의 구조 및 시설에 대한 일반 규정 개발과 더불어 BRT의 각 구성요소별 설계지침 및 표준도면의 제시는 매우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음
* 이와 더불어 BRT 장점중의 하나인 단계별 건설을 위한 BRT 수준 결정문제 역시 그 필요성이 매우 높음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BRT 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BRT 구조 및 시설에 대한 일반규정 개발」, 「BRT 구성요소별 설계지침 작성」, 「BRT 시설 표준도면 작성」, 「통행수요와 도입여건 고려한 수준별 BRT 지침 제시」를 본 과제의 최종 목표로 설정하였음
색인어 한글 대중교통 간선급행버스체계 설계지침 수준별 간선급행버스체계 환승시설
영문 Public Transportation BRT System Design Manual BRT Level Intermodal Facilities
관련첨부파일 0021_간선 급행버스체계(BRT) 설계지침.pdf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