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기본계획 수정 보완 및 2단계 기본계획 수립연구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05TRPI-C042054-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None | None | None 적용분야 -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
과제명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기본계획 수정 보완 및 2단계 기본계획 수립연구
주관연구기관 한국교통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강연수
소속 한국교통연구원 직위 실장
기관 대표번호 044-211-3114 FAX 044-211-3222
총 연구기간 2005-09-01 ~ 2006-05-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05-09-01 ~ 2006-05-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170,000,000 0 0 0 17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기본계획기획시점(2002년)과 교통부문에 국내/외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환경변화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그동안 추진해온 본 연구개발 사업방향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교통부문의 국가적인 사업인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을 위한 교통기술개발 전략을 보완하고 중/장기 기본계획을 재기획을 하고자 함
최종목표 본 연구는 국내외 교통기술의 동향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변화를 전망하여, 교통기술개발을 국가교통정책과 연계하여 체계적이며 효율적으로 개발/활용하기 위한 중장기 교통기술연구개발과제를 도출하고, 또한 2003년도 시작한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기본계획의 수정/보완을 통해 본 사업의 중점 추진방향 및 목표의 재검토, 검토된 정책목표에 부합하는 2012년까지의 기술 Road Map 등을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음
연구내용 및 범위 1)선진국 개발체제 및 방향 조사 분석
ㅇ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교통기술개발체제 및 방향 분석
- 선진국 교통기술개발 방향 및 전망 분석
- 선진국 교통기술개발 정책의 주요 추진전략 분석
- 구체적인 분야별 교통기술개발 Road Map 분석
: 교통선진국의 중점 분야별 기술에 대한 첨단 동향 조사 및 분석
2)국내 현황 및 개발동향분석
ㅇ 국내 교통기술 현황 및 개발 동향 분석
- 국내 교통관련 기술개발사업 현황 조사/분석
: 국내 교통기술의 연구개발 현황 및 전망
: 선진국 대비 국내교통기술 수준 조사 및 분석
- 현 수행중인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의 문제점 분석
: 현재 추진되고 있는 기술개발 과제의 적절성 및 타당성 분석
3)사업의 중점 추진방향 설정
ㅇ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의 중점 추진방향 설정
- 본 사업의 중점 추진방향, 목표의 타당성 검토 및 보완
: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의 1단계(2003-2007) 기본 방향 검토 및 재설정, 효율적인 완료 방안 제시
- 핵심기술개발사업의 분야별 목표 및 추진전략 재설정
: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의 2단계(2008-2012) 사업분야 목표수립 및 중점 추진방향 재설정
- 상위계획(NTRM, 과학기술기본계획, 국가교통계획 등)의 연관성 및 당위성 분석
4)Road Map 작성
ㅇ 국가교통핵심기술 Road Map 작성
- 본 사업의 중점 추진방향에 따른 기술 Road Map 작성
: 교통기술의 개념 및 분류체계 작성 및 중점 전략기술 도출 및 기술평가
- 기술 프로그램 및 우선순위 설정 mechanism 도출
: 전략기술별 및 세부과제에 대한 기술프로그램 검토 및 설정
5)사업목표를 위한 체계종합
ㅇ 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목표를 위한 체계종합
- 체계종합을 위한 방향설정 및 방법 도출
: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의 모드(mood)별 체계종합을 위한 방향 설정
6)투자계획 수립
ㅇ 설정된 Road Map 이행을 위한 연차별 투자계획 수립
: 중점전략기술 및 프로그램에 대한 소요 연구비 및 연구기간 제시
7)계량화 방안 연구
ㅇ 본 사업의 목표 및 기대효과의 계량화 방안 연구
: 사업 목표에 따른 정량화된 기대치 산출방안 제시
8)추진체제의 적절성 분석 및 보완
ㅇ 사업추진체제의 적절성 검토
-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운영규정 수정 및 보완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본 연구는 국내외 교통기술의 동향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변화를 전망하여, 교통기술개발을 국가교통정책과 연계하여 체계적이며 효율적으로 개발/활용하기 위한 중장기 교통기술연구개발과제를 도출하고, 또한 2003년도 시작한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기본계획의 수정/보완을 통해 본 사업의 중점 추진방향 및 목표의 재검토, 검토된 정책목표에 부합하는 2012년까지의 기술 Road Map 등을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음 1)선진국 개발체제 및 방향 조사 분석
ㅇ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교통기술개발체제 및 방향 분석
- 선진국 교통기술개발 방향 및 전망 분석
- 선진국 교통기술개발 정책의 주요 추진전략 분석
- 구체적인 분야별 교통기술개발 Road Map 분석
: 교통선진국의 중점 분야별 기술에 대한 첨단 동향 조사 및 분석
2)국내 현황 및 개발동향분석
ㅇ 국내 교통기술 현황 및 개발 동향 분석
- 국내 교통관련 기술개발사업 현황 조사/분석
: 국내 교통기술의 연구개발 현황 및 전망
: 선진국 대비 국내교통기술 수준 조사 및 분석
- 현 수행중인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의 문제점 분석
: 현재 추진되고 있는 기술개발 과제의 적절성 및 타당성 분석
3)사업의 중점 추진방향 설정
ㅇ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의 중점 추진방향 설정
- 본 사업의 중점 추진방향, 목표의 타당성 검토 및 보완
: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의 1단계(2003-2007) 기본 방향 검토 및 재설정, 효율적인 완료 방안 제시
- 핵심기술개발사업의 분야별 목표 및 추진전략 재설정
: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의 2단계(2008-2012) 사업분야 목표수립 및 중점 추진방향 재설정
- 상위계획(NTRM, 과학기술기본계획, 국가교통계획 등)의 연관성 및 당위성 분석
4)Road Map 작성
ㅇ 국가교통핵심기술 Road Map 작성
- 본 사업의 중점 추진방향에 따른 기술 Road Map 작성
: 교통기술의 개념 및 분류체계 작성 및 중점 전략기술 도출 및 기술평가
- 기술 프로그램 및 우선순위 설정 mechanism 도출
: 전략기술별 및 세부과제에 대한 기술프로그램 검토 및 설정
5)사업목표를 위한 체계종합
ㅇ 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목표를 위한 체계종합
- 체계종합을 위한 방향설정 및 방법 도출
: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의 모드(mood)별 체계종합을 위한 방향 설정
6)투자계획 수립
ㅇ 설정된 Road Map 이행을 위한 연차별 투자계획 수립
: 중점전략기술 및 프로그램에 대한 소요 연구비 및 연구기간 제시
7)계량화 방안 연구
ㅇ 본 사업의 목표 및 기대효과의 계량화 방안 연구
: 사업 목표에 따른 정량화된 기대치 산출방안 제시
8)추진체제의 적절성 분석 및 보완
ㅇ 사업추진체제의 적절성 검토
-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운영규정 수정 및 보완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교통핵심기술 또는 국내적으로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교통핵심기술을 시의적절하게 파악하여 교통기술 선진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교통기술개발의 추진체계 도출
- 산업계, 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간의 밀접한 협력으로 기술능력의 동반 상승이 가능해짐으로써 상호 보완적인 협력으로 우리나라 교통기술 혁신시스템의 선진화가 조기에 달성될 것임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하고 국가경쟁력이 보탬이 되는 기술을 파악하고 중점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체계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 기술과제 도출과 이에 맞는 기획평가체제 도출
-교통기술의 중장기 발전 로드맵이 완성되고 이에 따라 국가 연구개발사업이 체계적으로 추진된다면 우리나라 교통기술의 수준은 2012년경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활용방안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기본계획은 정부뿐만 아니라 관련 공공연구기관, 기업체, 대학 등 산ㆍ학ㆍ연 주체들이 연구개발계획을 수립할 때 폭넓게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건설교통부는 중장기적으로 교통기술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는데 활용
- 건설교통부, 지방자치단체 등 교통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정부기관이 교통기술의 혁신을 유도하면서 교통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결정에 활용 가능하며 지자체는 지역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선택할 때 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기본계획을 참고하여 지자체 개발을 할 것임
- 관련 기업체는 교통산업의 중장기 시장수요를 예측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교통기술개발의 방향을 결정하고 기획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것임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항공우주연구원, 유관 대학 등 교통관련 연구기관들이 교통기술 관련 연구개발 방향을 결정하는데 활용할 것이며 교통기술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도 기초연구의 방향 결정, 공공연구기관과의 협력연구 분야 탐색 등에 활용할 것임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교통기술 기술지도 추진전략 기술프로그램 체계종합
영문 TransportTechnology TechnologyRoad Map Strategy TechnologyProgram SystemEngineering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0208_국가교통핵심기술개발사업 기본계획 수정,보완 및 2단계 기본계획 수립 연구.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