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친환경 신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제방 기술 개발6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물관리연구사업 과제번호 21AWMP-B114119-06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수공시스템기술 | 수리구조물설계기술 적용분야 환경
2순위 건설 교통 | 수공시스템기술 | 수리 수문 조사 해석기술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친환경 재생건설재료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친환경 신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제방 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광주과학기술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우효섭
소속 광주과학기술원 직위 교수
기관 대표번호 062-715-2436 FAX 062-715-2584
총 연구기간 2016-06-28 ~ 2021-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1-01-01 ~ 2021-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6차년도 3,089,000,000 27,800,000 250,200,000 278,000,000 3,367,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1) 바이오 신소재 지반 배합 및 설계 기술 개발
- 제방건설에 적합한 바이오신소재 설계
- 바이오신소재의 개발/표준화 및 대량생산 기술 개발
- 바이오신소재의 성능평가와 성능/경제성 개량
- 바이오 신소재의 현장시공 방법 개량

2) 친환경 신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제방 기술개발
- 제방 건설을 위한 보호/피복 공법 개발
- 바이오 신소재의 제방건설 현장적용
- 바이오 신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제방 건설공법의 표준화 및 지침 확립

3) 친환경 신소재 활용 제방의 환경성 평가 기술개발
- 바이오 신소재의 환경성/안정성 평가
- 환경/생태적 측면에서 바이오 신소재의 기능성 평가
- 현장 적용된 바이오신소재의 환경성/안정성 평가
- 제방건설의 환경성/안정성 평가법 가이드라인 제시
최종목표 1) 제방 보강을 위한 신소재 및 활용기술 개발
- TRL 8단계 달성목표
- 바이오 신소재를 제방에 적용하기 위한 최적의 설계법(레시피) 개발
- 실내 규모 실험(삼축압축시험, 일축압축시험, 직접전단시험, 수리전도도실험 등)을 통한 바이오 신소재-흙 상호거동 관련 원천기술 확보
- 실대형 규모 실험(센트리퓨지실험, 강우재현시험, 식생생장시험 등) 수행을 통한 실대형 성능 검증
- 바이오 신소재를 적용한 제방 시공 시스템 제작
- 안정성(내침식성)과 환경성(생태성)이 확보되는 제방 보강용 바이오 신소재 개발

2) 친환경 신소재를 이용한 제방의 내구성 및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 TRL 8단계 달성목표
- 제방 피복층 강화공법 개발, 신소재 매트공법 및 블록공법 개발, 월류 대응 제방 기술 확보
- 건설 신기술 2건, 기술료 4천만원 이상 창출 목표

3) 바이오 신소재 제방의 안정성 평가법 표준화 및 적용
- TRL 5단계 달성목표
- 바이오 신소재 제방의 침투 및 월류 안정성 평가 기술을 개발하여 고속류 실험 조건별 소류력 및 신소재 재료의 한계치 평가 분석
- 생태계 먹이사슬 내 주요환경 지시종 (식물, 동물)과 물고기 세포를 이용하여 신소재 환경성 평가 기법의 개발 및 적용
- 실규모 제방에서 환경성 및 안정성 평가
- 바이오 신소재의 환경, 작업자 노출평가 및 규제제도 대응 시뮬레이션
연구내용 및 범위 ⊙ 연구내용

1) 1세부 연구내용
1-가) 바이오 신소재 지반 배합·설계 기술 개발 (협동_한국과학기술원)
- 신소재 배합 및 설계를 위한 사전 예비 실험 수행 및 통합 시스템 구축
- 최적 신소재-제방재료 배합 조건 도출 및 성능 평가
- 실 대형 검증 및 성능 평가 실시
- 시험시공을 통한 바이오 신소재 배합 설계의 최적 조건 검증/ 보완
- 바이오 신소재 배합 설계법의 현장 테스트 베드 적용 및 기술 완성

1-나) 바이오 신소재 활용 시공기술 개발 (공동_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제방 적용을 위한 신소재 핵심 설계, 시공 조건 도출
- 신소재를 이용한 제방 시공법 개발
- 최종 신소재를 이용한 신소재-제방 시공법 완성
- 시험시공을 통한 신소재-제방 시공법 검증 및 개선
- 신소재-제방 시공법의 현장 테스트베드 적용 및 기술 완성

1-다) 건설용 바이오 신소재 개발 (공동_(주)글루칸)
- Thermogelling Biopolymer 생산을 위한 미생물 배양기술 확립
- Custom-made Biopolymer 제조를 위한 친환경 생물(효소) 가교제 생산기술 개발
- 친환경 흙 보강제 개발용 바이오폴리머 대량생산을 위한 Scale-up 연구
- 친환경 흙 보강제 개발용 바이오폴리머의 상업적 규모 생산
- 테스트 베드 적용 및 실용화를 위한 친환경 흙 보강제 개발용 바이오폴리머 생산
? Biopolymer 생산을 위한 미생물 선별
? Sphingomonas sp. 및 Aureobacidium 로부터 Gellan 및 β-Glucan 등 Biopolymer 고농도 생산 배양조건 확립
? 소형 발효조(3,5L Ferment) 발효 조건 확립
? Biopolymer 생산 수율 및 복합효과를 위한 2종균 배합 및 교차결합 기술 개발

1-라) 바이오신소재 활용 급속 보강, 차수 시공기술 (위탁_UNSW)
- 바이오신소재 급속 보강/차수 관련 실험연구 및 핵심원천기술 확보
- 급속 시공 바이오신소재에 대한 동적 거동 및 수로침식 평가
- 제방 급속 보강/차수 공법 도출

2) 2세부 연구내용
2-가) 친환경 신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제방 기술 개발 (협동_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제방 내구성 향상 기법 컨셉디자인 개발
- 제방 내구성 향상 시제품/기술 및 설계기법 개발
- 제방 내구성 향상 기술 검증 및 보완/실용화

2-나) 친환경 신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제방 시제품 개발 (위탁_(주)리버앤텍)
- 보호공/식생매트/살포기기 제품 개발 및 제작
- 방보호공/살포기법 성능 검증 및 시방서 개발

3) 3세부 연구내용
3-가) 친환경 신소재 활용 제방의 환경성 평가 기술 개발 (주관_광주과학기술원)
- 신소재 기반 제방의 환경성 평가 전략 구축
- 신소재의 거동과 환경 안정성 확인 및 환경 조건별 생태영향 평가
- 신재료와 기존 폴리머에 대한 독성 비교평가 및 생태영향 평가 모델링
- 현장적용 구간 서식지 현장조사 및 전과정 평가 수행
- 신소재 기반 제방의 환경성 평가 및 가이드라인 제시

3-나) 친환경 신소재 활용 제방의 침투 및 월류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공동_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신소재 제방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실규모 실험 계획 수립
- 신소재 제방의 침식 안정성 평가 실험 및 실규모 침투 실험 모형 제작
- 신소재 활용 제방의 침식, 침투 및 월류에 대한 안정성 평가 및 설계/시공 기술 표준화

3-다) 친환경 신소재 활용 제방의 침투 및 월류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공동_인제대학교)
- 제방의 침식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위한 고속류 계측 장치 구축
- 고속류 실험 조건별 소류력 측정 및 신소재 재료의 한계치 분석/개선점 도출
- 실규모 수충부 실험을 통한 신소재의 한계소류력 분석 및 개선 사항 도출
- 신소재 활용 제방의 침식에 대한 한계치 표준화

3-라) 바이오폴리머의 전과정 노출과 유해성을 고려한 국내외 화학물질규제 대응 (위탁_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국내외 화학물질 규제 제도 분석 및 화평법 이행사항 분석
- 바이오폴리머의 환경, 작업자 노출평가 및 국내·외 규제제도 대응 시뮬레이션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6차년도 1세부: 바이오 제방-신소재 현장 적용 및 상업화규모 생산(TRL: 7)
- 바이오신소재 개선 및 최적화
- 바이오신소재 급속보강 효율성 평가 및 타당성 검토
- 시험시공을 통한 신소재-제방 시공법 검증 및 개선
- 친환경 흙 보강제 개발용 바이오폴리머의 상업적 규모 생산
2세부: 친환경 신소재를 활용한 고강도 침식 대응 기술 개발
- 하천 제방 보강에 적용 가능한 바이오 신소재 적용기술 개발
- 친환경 신소재를 침식대응 성능 향상 기술 개발
- 바이오 신소재를 활용한 제방 보강 기법의 안정성과 환경성 검증
→ 바이오 신소재를 활용한 제방 침식 대응 기술 실용화
- 친환경 신소재를 이용한 제방의 내구성 및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 바이오 폴리머 레시피 적용성 검토
- 신소재에 의한 제방 내침식성 확보(허용유속 5m/sec 내외)
- 신소재에 의한 제방 보강 제품 개발
- 제방 피복 등에 의한 제방 내구성 향상 기술 개발
- 테스트 베드를 이용한 제방 보강 기법 적용
→ 제방 보강용 바이오 신소재 제품 및 시공방법 개발
○ 침식 대응 성능 평가를 위한 소류력 계측기 개발 및 적용
- 하천 현장 적용을 위한 소류력 계측기 개발
- 개발된 계측기기의 적용 및 침식대응성능 평가
- 현장 모니터링 및 평가
○ 실규모 소류력 측정을 통한 신소재 신규공법 정량적 평가
- 연구기간 동안 개발한 실험실 규모의 다양한 평가기법을 통해 실규모 실험에 적용
- 개발된 안정성 평가 기법을 통해 실제 하천 적용방안 모색
- 실험실 규모에서 개발된 장치의 실규모 실험으로 Scale-up을 통한 적용성 확대
- 개발된 장치로 실규모 소류력 실측 실험을 통한 한계소류력 검증 및 실제 하천 적용 방안 모색
※ 하천바닥에 장치를 설치할 경우 하상변화가 발생하거나, 센서 외 다른 부분에서 소류력 손실을 고려한 안정적인 하우징 제작은 필수
- 다양한 장비를 이용해 신소재 신규공법에 대한 정량적 평가 및 실제 하천 적용 방안 모색
○ 임진강 시험시공구간의 스마트 모니터링
- 시험시공 하천 현장의 정밀한 수리량 조사를 위해 다양한 장비와 기법을 이용한 현장조사
- 테스트베드의 친황경 신소재 적용 공법에 대한 안정성 평가 진행
○ 임진강 시험시공구간의 한계소류력 실측
- 다양한 장비 및 모니터링을 통해 표면유속, 지형자료, 수리량, 소류력 등 하천 수리 정보를 통해 정량적 평가
- 타 세부와 연계를 통해 테스트 베드 안정성 평가 기법 확립
3세부: 친환경 신소재 활용 제방의 환경성 및 안정성평가기술 개발
○ 바이오 신소재를 활용한 제방 보강 기법의 안정성과 환경성 검증
○ 친환경 신소재 활용 제방의 환경성 및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 친환경 신소재를 활용한 제방 보강 기술 개발
- 하천 제방 보강에 적용가능한 바이오 신소재 개발
- 친환경 신소재를 이용한 제방의 내구성 및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 바이오 신소재를 활용한 제방 보강 기법의 안정성과 환경성 검증
→ 바이오 신소재를 활용한 제방 보강 기술 실용화
○ 친환경 신소재 제방의 생태성 평가
- 야생 식물종 및 대조 식물종의 친환경 신소재에 대한 발아, 생장, 발달 특성 반응 규명
- 친환경 신소재가 야생식물 개체,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친환경 신소재가 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평가
○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제방토양의 중금속 안정화기술 적용
- 제방 오염토양 내 중금속의 지구화학적 특성 분석
- 친환경 신소재의 Metal-Binding 특성 분석
- 중금속으로 오염된 제방토에 대한 안정화 실험 수행
- 미량 중금속 안정화 처리 현장시험 수행
○ 제방 보강 제품의 환경성, 안정성 평가 기술 및 공법 표준화
- 친환경 신소재 제방 공법 환경성 평가 기술 개발 및 적용
- 친환경 신소재 제방 공법 침식, 침투 및 월류 평가 기술 개발 및 적용
- 중·소규모 수리모형실험
- 실규모 제방실험수로 제작 및 실규모 월류 붕괴실험
→ 제방월류실험에서 나타난 제방상부 균열문제는 실험체 제작 시 일괄도포 방식 등을 지양하는 등 사전실험을 진행하여 충분한 피드백을 통해 보완
○ 1세부 협동연구기관 (KAIST) :
1) 바이오폴리머-흙의 성능 평가
2) 바이오폴리머-흙의 내구성 평가
3) 침식저항 향상을 위한 교차결합 레시피 완성
4) 시험시공을 통한 바이오폴리머 레시피 개량(바이오폴리머 종류별 적용성 검토)
○ 1세부 위탁연구기관 (UNSW) :
1) 현장적용 가능성 평가
- 바이오신소재 적용 제체토양의 내부침식 거동 및 저항 평가
- 바이오신소재 적용 제체모형에 대한 표면/내부 침식 거동 평가
2) 침식해석을 통한 안정성 검증
- 표면/내부 침식 최소화를 위한 최적 바이오신소재 적용 조건 도출
○ 1세부 공동연구기관1 (KICT) :
1) 바이오 신소재 제방 시공법 최적화
- 바이오신소재 습식 분사공법의 시공조건 최적화
2) 바이오 신소재 제방 시공법 완성
- 제방 목적에 맞는 바이오신소재 활용 최적 시공법 도출 및 매뉴얼 작성
○ 1세부 공동연구기관2 (글루칸) :
1) 바이오폴리머 대규모 생산
2) 가교제 함유 바이오폴리머 대규모 생산
3) 맞춤형(Custom-made) 바이오폴리머 생산 및 공급
○ 2세부 협동연구기관 (KICT) : 피복층 향상/제방보호공 기법 현장 적용, 검증 및 보완, 월류대응제방 기술 개발 준비
- 신소재 호안 시제품 수리안정성 검증 및 보완
- 제방 내구성 향상을 위한 신소재 결합공법 개발 및 검증
- 제방 현장적용 모니터링을 통한 기술 실용화
○ 2세부 위탁연구기관 (인제대학교) : 실규모 소류력 측정 및 테스트베드 모니터링
○ 3세부 주관연구기관 (광주과학기술원): 친환경 신소재 현장적용 시공 구간 식생 모니터링 및 친환경 신소재 원물질이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세부에서 임진강에 시공한 현장에서 식생 모니터링
- 1세부에서 제공한 신소재(V-type)의 원물질인 β-glucan과 Xanthangum 이용
- Genome project가 완성된 식물체(야생종, 모델식물, 작물)를 이용하여 원물질의 영향을 분석한 뒤 RNA-seq을 통해 분자 수준에서의 자세한 기작 규명
○ 3세부 협력연구기관 (전남대학교):
- 친환경 신소재 혼합 및 야생종 식생 조합에 따른 생육 및 발달 분석
- 여러 환경 스트레스 요인하에서 친환경 신소재 혼합에 따른 식물 생육 및 변화 분석
○ 3세부 협력연구기관 (GIST):
- 문헌조사 및 연구대상 제방토 선정
- 토양 내 중금속의 지구화학적 특성 분석
- 친환경 신소재와 중금속간의 Binding capacity 결정
- 제방 오염토양 내 중금속 안정화를 위한 친환경 신소재 적용량 도출
- 토양 내 중금속의 bioavailability 분석 프로토콜 수립
- 소규모 컬럼 실험을 통한 친환경 신소재에 의한 안정화 처리
○ 3세부 공동연구기관1(KICT)
- 실규모 횡월류 실험수로 설계 및 기초공사
- 제방 축조재료의 기본 물성시험
- 해외 실규모 제방실험 사례 벤치마킹을 통한 횡월류 실험계획 수립
- 실규모 월류 붕괴 실험 수행
- 제체 재료 (점토 등) 변경
- Case 1 : 흙 제방, Case 2 : 흙 제방+식생, Case 3 : 흙 제방+바이오폴리머+식생
- 실규모 횡월류 붕괴 실험 수행
- 횡월류 실험수로 내 Case1, Case 2 동시에 진행
- 실제 흐름조건에서 횡월류 재현을 통한 붕괴메커니즘 및 공법의 성능 검증
- 침투해석 수행(명지대 팀 활용)
- 지반공학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한 제방 안정성 평가 기준 확립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신소재기술 개발
· 제방의 강도와 환경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방 보강 재료 개발 가능
· 바이오기술을 이용한 친환경 신소재의 개발을 통해 국내·외 선도 기술 선점
· 건설분야 친환경 신소재 재료 기술 확보
· 원천 독자적인 균주를 이용한 지반 자가치유 및 개량 기술 확보
- 제방강화기술력 확보
· 도심지 등 중요제방의 경우 표면 피복을 통해 월류시에도 무너지지 않는 제방 구축 가능
· 콘크리트 호안을 대신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제방 보강 기술 개발 가능
· 실험실증을 통한 제품의 안정성 확보 기술 개발 가능
· 강도/내구성 확보는 물론 식생생장까지 촉진시킬 수 있느 고성능 신소재 관련 기술 확보
· 홍수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제방세굴을 조기에 복구하여 홍수피해 저감기술 개발
· 실규모 시험 및 평가 체계를 구축하여 개발된 공법의 성능 검증과 함께 기존 제방 기술 및 신공법의 평가 기술로 제안하여 제도화 가능
- 친환경성 제방기술 확보
· 독성소재를 신소재 활용을 통하여 하천의 환경오염 저감
· 제방축조재료인 흙의 성능을 개선하는 신소재재료를 활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친환경성 증진
· 제방 공법의 식생활착 평가를 통해 친환경 하천기술 개발 및 적용
· 하천 적용 공법의 환경성 평가를 통해 기술의 환경성 제고
- 설계/시공/유지관리 시험 수행을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여 기술의 적용성 극대화
- 현장 적용 피드백에 의한 보완기술 개발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제방축조비용절감
· 새로운 제방 보강 재료 개발로 제방 축조 비용 절감 가능
· 연 약 1조원에 달하는 제방 축조 비용에 대한 효율성 확보 가능
·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 저감을 통한 공기 단축 및 경제성 확보
- 새로운 제방 보강 시장 창출로 국내외 신시장 개척 가능
· 개발되는 재료 및 시스템은 다양한 건설 수요에 맞춰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해외 수요에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재료의 상품화를 통한 이익 창출
· 재료의 상품화 및 해외 수출을 통한 이익 창출
· 균주와 관련 부산물의 직접적인 해외 수출 기대
· 바이오신소재의 경제성 향상과 시공 가격 절감을 통한 기술 확산 용이
· 신소재 재료를 활용한 친환경 원천기술 개발을 통하여 해외건설시장 개척
- 홍수피해 저감을 통한 인명 및 재산피해 저감
· 제방붕괴 위험성 저감을 통한 홍수복구비용 저감
· 제방피복 보강을 위하여 활용되는 호안공설치 저감으로 제방축조를 위한 비용 저감
· 정량적 성능이 검증된 제방 공법의 적용으로 연간 1조 3천억 규모의 하천관련 정부 예산의 절감 및 피해액 및 복구비용의 절감 기대
- 환경편익
· 생태/환경적으로 안정적인 공법 적용으로 공법 적용에 의한 환경 편익 증진
활용방안 ○ 종합 의견
- 연구 지원을 통해 개발될 친환경 신소재 재료는 국내 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친환경 건설 분야에 대한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제방 구축뿐만 아니라 친환경 바이오 계열 신소재의 개발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해외 건설 시장에 진출하여 막대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됨. 특히 연간 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기대되는 동남아 물관리 사업에 참여 시 1% 기술 진출로도 400만 달러 경제적 성과 기대
- 바이오 신소재는 미생물 균주와 그 관련 부산물 모두를 지적재산권화 할 수 있는 기술로써 도용이 어려운 고부가가치 상품이 될 가능성이 높음. 신소재 개발을 통한 기술이전, 로열티 등으로 많은 경제적 이익 창출이 가능함
- 바이오 신재료를 이용한 건설 기술 선점을 통해 재료-지반 융합 연구에 대한 국내·외 기술 우선 순위 선점과 후속 연구의 활발한 추진 기대
- 국토교통부의 수자원분야 예산 중 상당부분이 제방유지관리 및 신설에 투입되고 있으며, 매년 반복되는 홍수피해복구비를 절감시키기 위하여 기존 제방을 유지관리하고 보수·보강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국가건설예산 절감 가능
- 하천에 활용되고 있는 각종 독성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하여 하천시설을 구축함으로써 제방의 환경성 및 친환경성을 증진시킴으로써 녹조, 환경오염에 대한 자정능력 증대로 피해복구비용 절감
- 하천제방 보수보강을 위하여 신소재를 적용하는 첫 연구로서 관련 연구분야를 개척하고 선도함으로써, 신수종 연구를 통한 하천시설 관리기술 향상

○ 신설 제방 콘크리트 호안 대치
- 신설하는 제방의 경우 기존 콘크리트 호안을 대치하여 제방의 강도 확보 및 환경성 확보 가능
- 기존 호안에 비해 경제성 확보 가능

○ 기존 제방 및 중요제방 보강
- 기존 제방 보강시 필요한 부분에 국부적으로 활용 가능
- 제방 세굴에 대한 지속적 효과 확보 가능

○ 콘크리트 구조물과 흙 접합부 보강
- 제방 관통구조물이 통문, 통관의 경우 콘크리트와 흙 접합부 보강재로 활용 가능

○ 제방 심벽으로 활용 가능
- 중요제방이거나 사질토 제방으로 누수가 우려되는 경우 흙 제방 중심부에 심벽 형태로 설치하여 제방 강도 확보 가능

○ 현장 적용
- 실내 실험(건기연 일산 및 안동실험장), 실규모 실험(안동실험장), 현장 시범구간 운영(낙동강 구간 중소하천 등) 등을 통해 안정성과 환경성에 대한 성능 확보 가능

○ 실용화 제품화
- 블록, 피복용 소재 등으로 개발하여 상품화 가능

○ 원천기술 확보
- 건설기술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존 특허를 활용하여 제방 분야의 원천기술로 확대

○ 신산업 창출
- 국내 약 1조원 규모의 제방 축조, 국외 제방 축조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신기술로서 기존 콘크리트 제품에 비해 저렴하게 개발할 경우 다양하게 적용 가능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친환경 신소재 제방 보강 바이오 신소재 환경성 평가 제방 호안
영문 environment-friendly new material high-strength levee bio-new material environmental assessment levee revetment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