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석유 코크스 활용 수소생산 실용화 기술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석유 코크스 활용 수소생산 실용화 기술개발 과제번호 22PCHG-C163217-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에너지 자원 | 신재생에너지 | 수소 적용분야 에너지
2순위 에너지 자원 | 온실가스 처리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온실가스 처리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석유 코크스 활용 수소생산 실용화 기술개발
주관연구기관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윤용승
소속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직위 본부장
전화번호 031-330-7148 FAX 031-330-7850
총 연구기간 2021-04-01 ~ 2025-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6,946,000,000 283,000,000 637,000,000 920,000,000 7,866,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2019년 정부에서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는 현재의 경우 부생수소와 추출수소(천연가스나 바이오가스 개질)를 기반으로 공급이 가능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수소의 수요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전해의 비중을 늘리고 50% 이상은 해외에서 CO2 free인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생산된 수소를 수입하는 것으로 계획이 수립되어 있음.
○ 수소생산 방향은 Grey 수소→Blue 수소(CO2 free)→Green 수소(재생가능/sustainable)이나 Grey 수소는 기존 인프라/기술을 적용하여 대량 수소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플랜트 핵심기술 확보가 관건이며 2020년대에는 Grey 수소가 대량공급 측면에서 필연적이므로 석유 코크스와 같은 미활용 저급자원을 이용하고 국내에 존재하는 20톤/일급 기반의 플랜트 제작/운영기술을 활용한 대형 test-bed 사업 추진에 적합함.
○ 국내 발생 저급자원에서 국가 수소사회 구현에 필요한 수소량의 수십%를 해외의존 없이 공급 가능한 방안으로 재생가능에너지 생산 전기에 기반한 Green 수소가 실용적 보급되기 전까지는 합성가스에 기반한 Gray 수소가 가교역할을 하는데 한국 기술력으로 도전이 충분히 가능하며, 합성가스 생산기술은 저급자원을 청정한 가스자원으로 변환시키는 핵심기술로서 수소사회 진입에 저렴한 청정수소 공급원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됨.
○ 합성가스 플랜트는 유기성물질(C, H, O, N, S 성분)을 산소가 충분치 않은 상태에서 화학반응 시켜 C, H, O 성분은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성분인 가스(합성가스)로 변환시키고 N, S 공해물질 유발성분은 제거와 재활용이 용이한 형태로 발생되어 청정이용이 가능토록 하는 설비로서 합성가스는 고도정제 및 개질/전환 과정을 거친 후 청정가스 연료, 고순도 일산화탄소나 수소, 전기생산에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국내에서 기존에 개발된 test-bed 규모의 가스화 기술을 바탕으로 현실적 및 기술적으로 scale-up이 가능함.
○ 합성가스 기반 수소생산 기술은 석유 코크스, 폐기물 등의 저급자원으로부터 합성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고도정제, 전환 및 분리하여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국내 발생되는 석유 코크스(120만톤/년) 전량을 합성가스로 변환 및 수소 추출 시 수소 500톤/일급 생산을 통해 2022년/2030년 국내 수소 소요예상량 47만톤/194만톤의 약 37%/9% 담당이 가능하고 아직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저급자원을 분산형 수소생산에 활용하는 해외플랜트 수출시장이 시작 단계로서 국내 기술능력 결집 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기술임.
○ 수소생산 플랜트의 핵심 기반기술은 합성가스화 기술, 고도정제 기술, 개질기술, 탈탄소사회를 위한 CO2 대응기술로서 2030년 이후 대비 핵심 플랜트 기술 확보 전략이 필요하고 특히 석유 코크스와 같은 미활용 저급자원 및 지역에 산재한 바이오매스/폐기물을 적용한 분산형 에너지플랜트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됨.
○ 수소생산 플랜트 및 합성가스 플랜트 시장의 지속 성장이 예상되고 장기적으로는 수소 플랜트, 단기적으로는 청정합성가스 플랜트가 해외수출 플랜트 시장에서 핵심분야로 판단되며 국내의 경우 자체 합성가스 시장도 크고 수소도시, 수소연료전지자동차 등 수소시장이 급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므로 실증→사업화→해외수출→국부창출의 국토부 플랜트 기술투자 정책에 적합한 분야로 판단됨.
○ 가스화에 필요한 핵심 설비/설비 부품을 국산화하고 Sustainable Demo Plant(Test-bed)를 통한 기술개발과 실증을 통한 합성가스 기반 수소 생산 플랜트의 기술검증을 통해 실증 실적을 기반으로 해외시장 진출이 가능하고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과 더불어 온실가스 배출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음.
○ 석유 코크스의 경우 단일 플랜트에서 수십∼수백톤/일 대용량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대용량화가 가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20톤/일급의 석유 코크스를 활용한 합성가스 생산, 고도정제, 수성가스 전환, 고순도 수소생산(3톤/일급)을 위한 실증플랜트 구축/운영 및 최적화를 통해 대용량 통합플랜트 기본설계 패키지 개발을 하고자 함.
최종목표 ○ 석유 코크스 활용 수소생산 3톤/일급 통합 플랜트 설계·시공·운영 기술개발 및 수소생산 30톤/일 플랜트 설계 패키지 개발
o 수소생산 용량 : 3톤/일급
o 수소순도 : 99%
o 통합 플랜트 누적 운전일수: 30일
o 장치 국산화율 : 90%
o 석유 코크스 처리용량 : 20톤/일급
o 합성가스 용량 : 2,000 Nm3/h
○ 합성가스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CO2(순도 >60%)를 분리하여 활용하는 blue 수소 개념을 실증 (발생 CO2의 약 10% slip stream을 dry-ice급 CO2로 생산)
연구내용 및 범위 ■ 석유 코크스 활용 수소생산 3톤/일급 통합 플랜트 설계·제작·시공 기술개발
○ 주관연구개발기관(고등기술연구원)
o 수소생산 3톤/일급 통합 플랜트 구축
o 석유 코크스 슬러리 합성가스 제조기술 개발
○ 공동연구개발기관(필즈엔지니어링)
o 합성가스 고도정제를 위한 고농도 H2S 제거설비 설계·제작·구축
○ 공동연구개발기관(제이엔케이히터)
o 수성가스전환 설비 설계·제작·구축
○ 공동연구개발기관(아스페)
o 수소생산 3톤/일급 수소추출설비 설계·제작·구축
○ 공동연구개발기관(PTK)
o 석유 코크스 제조/공급 설비 설계·제작·구축
o 고농도 COS 가수분해설비 및 미량가스 제거설비 설계·제작·구축
○ 공동연구개발기관(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o 석유 코크스 슬러리 제조용 분산제 선정 및 슬러리 제조/공급 설비 개념설계
○ 공동연구개발기관(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o 석유 코크스 순산소 가스화 인자 분석
○ 공동연구개발기관(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o 합성가스내 미량가스의 고도정제를 위한 저가 고체 흡수제 개발
○ 공동연구개발기관(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o 고 내구성 WGS 촉매의 핵심기술 개발 및 수소정제용 흡착제 기초물성 조사
○ 연구개발기관 외 기관(서부발전)
o 수소생산 3톤/일급 통합 플랜트 설계자료 검토
○ 연구개발기관 외 기관(현대오일뱅크)
o 국내 석유 코크스 생산 현황 파악
■ 석유 코크스 활용 수소생산 3톤/일급 통합 플랜트 운영 기술개발 및 수소생산 30톤/일 플랜트 기본설계 패키지 개발
○ 주관연구개발기관(고등기술연구원)
o 석유 코크스 슬러리 활용 수소생산 3톤/일급 통합 플랜트 운전 실증
o 수소생산 30톤/일급 통합 플랜트 기본설계 패키지 개발
○ 공동연구개발기관(필즈엔지니어링)
o 고농도 H2S 제거설비 운전 및 30톤/일급 설계 패키지 개발
○ 공동연구개발기관 (제이엔케이히터)
o 수성가스전환설비 운전 및 30톤/일급 설계 패키지 개발
○ 공동연구개발기관(아스페)
o 수소추출설비 운전 및 30톤/일급 설계 패키지 개발
o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CO2 포집 설비 설계, 제작 및 실증
○ 공동연구개발기관(PTK)
o 고농도 COS 가수분해설비 및 미량가스 제거설비 운전 및 30톤/일급 설계 패키지 개발
○ 공동연구개발기관(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o 석유 코크스 슬러리 제조공정 최적화 및 수소생산 30톤/일급 개념설계
○ 공동연구개발기관(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o 연료별 특성 분석 및 Scale-up 가스화기 최적 운전 조건 도출
○ 공동연구개발기관(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o 미량가스 제거 흡수제 성능향상 연구
○ 공동연구개발기관(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o WGS 반응유닛의 촉매활성 평가 및 설계요소 추출
○ 연구개발기관 외 기관(서부발전)
o 3톤/일급 통합 플랜트 운전을 위한 유틸리티 공급
○ 연구개발기관 외 기관(현대오일뱅크)
o 석유 코크스 시장 현황 및 가격 경쟁력 제고를 통한 경제성 확보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o 석유코크스 물성 분석 및 열적 반응특성 분석시험
o 2톤/일급 가스화시스템 개선 제작 및 석유 코크스 슬러리 가스화 성능특성 시험
o 20톤/일급 Test-bed 분류층 가스화기 용량증대 개선 설계/제작
o 수소생산 3톤/일급 통합플랜트 구축을 위한 Test-bed 건축물 구조검토
o 합성가스 고도정제용 고농도 H2S 제거설비, COS 가수분해설비 미량가스 (HCl, NH3 등) 제거설비 개념설계, 모사가스 이용 소규모 실험
o 석유코크스 물성 분석 및 열적 반응특성 분석시험
- 석유코크스 원료의 공업/원소/발열량/화학적조성/융점 등 물성 분석
- TGA 등을 활용한 석유코크스 원료의 열적 거동 파악
- 가스화 시험 발생 촤 (char)/비산재의 성분/특성 분석
o 2톤/일급 가스화시스템 개선 제작 및 석유코크스 슬러리 가스화 성능특성 시험
- 기 보유 석유코크스 슬러리 제조/공급 설비 및 2톤/일급 가스화시스템 개선 제작
- 석유코크스 슬러리 분사용 버너 설계/제작 및 분사특성 시험
- 운전압력 10~15 bar 조건에서 석유코크스 슬러리의 합성가스 전환특성 시험
o 20톤/일급 Test-bed 분류층 가스화기 용량증대 개선 설계/제작
- 석유코크스 슬러리의 반응 체류시간 확보를 위한 가스화기 상부 section 추가 설계/제작
- 안정적인 산소 공급을 위한 고압가스 utility 개선 공사
; 초저온 펌프의 운전 안정화를 위한 시스템 개선
o 수소생산 3톤/일급 통합플랜트 구축을 위한 Test-bed 건축물 구조검토
- 신규로 구축되는 가스화기, 합성가스 고도정제설비, 수성가스 전환설비, 고순도 수소추출설비 설계자료 기준 Test-bed 건축물 구조검토
- 구조검토 결과 반영 Test-bed 건축물 구조보강 실시방안 확립
o 합성가스 고도정제설비 개념설계
- 고농도 H2S 제거설비 및 COS 가수분해설비 개념설계 및 기본/상세설계 검토
- 미량가스 (HCl, NH3 등) 제거설비 개념설계 및 기본/상세설계 검토
- 모사가스 이용 소규모 고농도 H2S 제거 실험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합성가스 생산/정제/전환/분리를 통해 수소 생산에 이르는 모듈화 플랜트 국산화 기술개발을 통한 연관 플랜트 산업기술로 적용 확대
- 기존 국내 타 부처 (산업부, 환경부 등)에서 지원한 R&D 결과물을 결집하여 상용 실증급 플랜트 기술개발 및 중소형 합성가스/수소 모듈화 플랜트 국산화 기술개발 결과가 연관된 가스/화공 플랜트 산업기술로 확대 적용이 가능함.
- 석유 코크스 외에 폐기물을 대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폐기물의 단순소각 시설을 대체할 수 있는 국내외 합성가스 플랜트 시장에 국내업계가 폐기물 기준 50∼200톤/일 규모로 합성가스 기반의 플랜트시장에 진출을 위한 기술 제공이 가능함.
- 국내 고유기술로 저비용 고효율 정제기술 개발을 통해 다양한 저급연료의 고부가화 및 수소와 같은 청정연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기반을 확보하여 향후 수소사회에 필요한 저렴한 수소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음. 특히, 폐기물은 원료가 비용 (tipping fee, 현재 한국의 경우 생활폐기물은 20만원/톤 내외, 의료폐기물은 100만원/톤을 상회)을 받고 반입됨에 따라 기술적/환경적 신뢰도가 구축되면 가장 저렴한 수소생산 방식임.
- 고품질 수소 및 합성가스 생산시스템의 핵심 단위 설비 설계/제작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국내 중소·중견 부품/설비 업체 supply chain 구축 및 기술 경쟁력 향상이 가능함.
- 국외 선진사의 원천설계기술 국산화를 통한 핵심 단위 설비/공정 자체기술 확보로 가스화 기반의 수소생산 플랜트에 대한 핵심 기자재 국내 제작기술 확보가 가능함.
○ 저급자원인 석유 코크스 활용의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화 기술을 확보
- 고유황 특성으로 인하여 단순 연소 활용에 머물고 있는 석유 코크스를 고부가가치 합성가스와 수소로 생산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LNG 또는 산업용 보일러 연료를 대체하는 연료로서 활용과 연료전지/자동차용 수소로 고부가가치 활용이 가능함.
- 기존 단순 연소 대비 고효율 발전이 가능하여 에너지 회수율을 높일 수 있고 온실가스도 포집하는데 유리한 해외 수출용 수소 생산 플랜트 및 분산전원형 열병합 발전 플랜트 형태로 활용이 가능함.
- 저부가가치 기술(단순 연소)로 활용되고 있는 석유 코크스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고부가가치화 기술 확보 및 이를 통하여 국내 및 국외에서 대용량 수소 생산기술 확보가 가능하며 합성가스를 중장기적으로 석유화학 유래 제품 생산 기술로 확대가 가능함.
○ 화석연료로부터 blue 수소 생산에 대한 산업적 의미가 있을 규모로 기술적 실증을 함으로써 화석연료도 CO2-free가 가능함을 제시
- 합성가스를 통한 화석연료 활용 방식은 기존기술 중에서 CO2를 경제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기술 중 가장 현실적인 방안 중 하나임. 합성가스를 수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순도가 70% 이상인 CO2가 발생되므로 포집에 유리하고 포집된 CO2를 고순도로 분리하면 연료전지와 자동차용 수소연료로 사용이 가능함.
- 전 세계적으로 점차 문제가 되고 있는 기존 방식의 gray 수소가 아닌 발생 CO2 전체를 경제적 가치가 있는 물질로 변환함으로써 blue 수소 형태로 활용하는 실증규모 기술을 확보하여 점차 타 화석연료 분야로 확대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확보 가능한 전후방 파급효과가 큰 플랜트 산업으로서 효과
- 고품질 합성가스/수소 생산시스템의 핵심 단위 설비 설계/제작 기술 확보로 국내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 향상 효과가 있음.
- 기존 가스 플랜트 산업은 대기업 위주로 독과점 체계였으나, 본 과제에서 추진하는 모듈형 기반의 고체원료 20∼50톤/일급 분산형 합성가스 기반 수소 생산 플랜트는 중소/중견기업의 핵심 분야로 지속 성장이 가능하고 전방/후방 연관 산업군이 많으며 spin-off 적용 대상시장도 많아 국내 중소/중견업체에 대한 산업적 효과가 큼.
○ 고체원료 20∼50톤/일급 중소형 규모 플랜트에 대한 설계, 연속 운전기술 확보와 이를 통한 시스템 신뢰성 확보, 운전제어기술 및 원격 모니터링/제어/유지보수 기술 확보 등으로 해외시장 진출시 think tank 역할을 수행할 역량을 확보
- 20톤/일급 (수소 3톤/일급) 자체기술 능력 확보 및 scale-up 설계기술 확보하여 50톤/일급(수소 7.5톤/일급) 이상 단위 패키지 모듈화로 국내외 플랜트 시장 진출이 가능함.
- 에너지 다변화에 대응하는 석유 코크스 유래 합성가스 생산 및 고부가가치화 이용 시스템의 국내 고유 모델 확보로 국내시장에서 해외 기술 잠식을 대체하고 국내 실증 실적으로 track record 확보 후 해외시장 진출에 효율적 지원이 가능함.
○ 합성가스 자체로는 국내 연료시장 다변화 및 가격 안정성 확보에 기여
- 정제된 합성가스는 LNG/산업용연료 대체연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저렴한 국내 가용한 저급연료를 사용한다면 세계적 유가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저가의 대체 에너지 확보가 가능함. 이를 통해서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합성가스 플랜트 시장수요를 중국에 내주지 않고 국내기술과 국내기업이 대응 가능함.
○ 친환경 에너지 플랜트 기술개발과 실용화로 유해가스/미세먼지 저감과 상대적인 사회 수용성 제고 효과
- 석유 코크스 단순 연소기술 대비 수소 및 청정 합성가스 형태로 변환 이용을 통해 환경성 제고와 이에 따른 지역의 수용성 제고 가능함.
- 본 과제에서 추진하는 수소생산 기술은 중간과정인 변환과 분리 단계에서 황성분은 1 ppm 이하, 분진 등 기타 불순물이 현재의 환경오염물질 규제수준보다 훨씬 낮아야만 하기때문에, 원리적으로 초청정 기술임.
- 특히, 농도 최소 99% 이상으로 99.99%나 99.999%인 수소를 생산하고 dry ice급 CO2를 분리하는 기술이 개발되면 blue 수소개념이 적용된 환경적으로도 초청정인 기술이므로 사회수용성 제고에 큰 도움이 될것임.
○ 국내 에너지 다변화 정책에 실현가능한 대안 제시
- 국내 가용한 석유 코크스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술대안 제시 및 국외에서 저렴하게 수입이 가능한 석유 코크스 자원 활용도 가능함.
- 탈원전, 재생가능 에너지 확대가 정착되기까지 요구되는 지역의 수소/청정에너지 수요를 흡수할 분산형 합성가스 기반 수소생산 플랜트 기술 제시가 가능함.
- 수소경제 시대를 대비하여 수소연료전지 발전 및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에 공급할 수 있는 저급자원 기반 수소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향후 추세인 분산형 중소형 가스플랜트에 대한 국내 기술력 확보로 저렴화, 고효율화, 고이용율 추구가 가능함.
○ 2030년 이후 해외수소 도입에 대응한 자체기술력과 필요시 신속하게 대응할 능력을 보유하는 효과
- 해외 석유 코크스/석탄 보유국들과의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현지에서 석유 코크스/석탄 가스화 기술 또는 장기적으로는 지중석탄가스화 기술에 의하여 고부가가치 수소 생산 및 액상 수소로 변환하여 수송하여 국내에 청정에너지인 수소공급이 가능함.
○ 환경친화적 처리를 통한 미세먼지 및 CO2 발생 저감 효과
- 미세먼지 2차 합성 원인물질인 NOx, SOx 발생을 최소화하여 기존 연소기술 대비 미세먼지 저감효과 확보가 가능함.
- 공정 과정에서 연소 등 타 기술 대비해서 고농도인 CO2가 발생됨에 따라 CO2 포집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플랜트로서 미래 CO2 포집이 의무화될 시점에 상당한 탄소 감축 효과가 기대되며 국제 사회 CO2 규제 강화에 현실적인 대응이 가능함. 단, 대형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CO2 규모를 다 담당할 방안은 지하저장이나 해외 수송 외 방법은 현재 없는 상태로서, 본 과제에서 추진하는 수소 3∼30톤/일급 규모에서는 발생 CO2 전체를 활용이 가능함.
- 화학제품에 원료로 공급되는 CO, H2의 대체하는 청정한 연료로서 합성가스 사용이 가능하고, 기존 처리기술 대비 환경친화적 기술로서 Near Zero Emission화로 환경부하 저감이 가능함.
- 합성가스로 LNG를 대체하여 전력생산에 사용할 경우, LNG 발전에 근접하는 고청정 발전플랜트로서 장기적으로 기존 LNG 발전 대체가 가능함.
활용방안 ○ 국내 요소기술이나 단위공정기술 위주로 개발된 기술을 기반으로 scale-up 적용하여 실증플랜트에 대한 검증기술을 개발한 후 국내에 필요한 합성가스 활용 플랜트 또는 수소 생산 플랜트에 확대 적용
o 국내에서 실증플랜트에 대한 실적(Track record) 확보 후, 축적된 실적을 기반으로 인도, 베트남 등 국외 중소규모 시장 진출 및 사업을 확대한 후 대형 플랜트에 scale-up 적용·활용
o 개발되는 고도 정제 기술을 국내 중소규모 가스화 플랜트에 적용하여 국내 중소규모 시장 진입에 활용하여 기술실적을 축적하고 향후에는 바이오가스 정제 플랜트에도 적용·활용
o 저렴한 고체연료인 석유 코크스를 사용하여 국내 여러 산업단지의 중소?중견기업에 저렴한 청정연료가스로 활용하여 산업체 경쟁력을 강화
○ 화석연료로부터 blue 수소 생산에 대한 산업적 의미가 있을 규모로 기술적 실증을 함으로써 화석연료도 CO2-free가 가능함을 제시
o 합성가스를 수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순도가 70% 이상인 CO2가 발생되므로 포집에 유리하고 포집된 CO2를 고순도로 분리하면 연료전지와 자동차용 수소연료로 사용이 가능한 개념을 실증 제시
o 화석연료를 사용할 때 문제가 되고 있는 기존 방식의 gray 수소가 아닌 발생 CO2 전체를 경제적 가치가 있는 물질로 변환함으로써 blue 수소 형태로 활용하는 실증규모 기술을 확보하여 점차 타 화석연료 분야로 확대하는 계기 제시
○ 주요 단위 공정 기술(고도정제, 수성가스전환, 수소 분리 등)들과 연계하여 합성가스 플랜트 또는 수소생산 플랜트의 해외 수출 사업화
o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 엔지니어링 능력에 대한 국내업계와 연계한 대응센터 역할을 제공하고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몽골, 호주 등에 해외수출이 가능한 플랜트 기술로 활용
o 중소형 개질 및 분리 기술과 연계하여 공정의 운영 최적화 및 안정적인 운전 결과를 바탕으로 신뢰성 확보하고 각 요소기술에 대한 특허 확보를 통해 라이선스 보유 후 해외 중소형 수소 생산 프로젝트에 참여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수소 합성가스 고도정제 석유 코크스 블루수소
영문 Hydrogen Syngas Extremely High Purification Petroleum Coke Blue Hydrogen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