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년도 |
4차년도 세부별 최종목표는 다음과 같다.○ 1세부(교통, 비교통 데이터 활용을 위한 공공, 민간 상생형 교통플랫폼 개발)- 빅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개발 및 DB구축- 통행유전자지도 구축을 위한 빅데이터 가공·분석·공유 시스템 개발 및 DB구축- 교통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리빙랩) 설계○ 2세부(교통플랫폼 기반 신규 교통서비스 솔루션 개발) - 머신러닝 기반기술, 미래교통 운영기술, 교통정책지원 복합솔루션 기술 개발○ 3세부(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환경 구축)- 오픈데이터 운영계획 및 공공데이터시장 활성화 전략 수립
|
2차년도 세부별 연구의 내용 및 범위는 아래와 같다.○ 1세부(교통, 비교통 데이터 활용을 위한 공공, 민간 상생형 교통플랫폼 개발)- 플랫폼 설계, - 통행 DNA 설계, - 공간정보 기반 데이터 표준관리 시스템 분석, 설계○ 2세부(교통플랫폼 기반 신규 교통서비스 솔루션 개발) - 이미지 기반 공로 교통지표(차량밀도, 공간평균속도) 계측 인공지능 모형구축 및 정교화,- 이미지 기반 보행밀도 계측 인공지능 모형 구축 및 정교화,- API 커넥터를 이용한 교통정책지원 연계솔루션 분석/설계 및 기본환경 개발,- 신호교차로 접근로의 교통밀도 계측 인공지능 모형 구축을 위한 이미지 자료수집 및 가공,- 이미지 기반 인공지능 교통밀도 계측모형 구축 및 학습,- 교통류 혼잡 분석지원을 위한 궤적자료의 가공 및 생성기술 개발,- 도로구간 간 통행연결성 지표 개발,-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구축,- 분석단위별 사고위험도 산출 방법론 제시 및 Crash Risk Map 도출 방법론 제시,- 빅데이터 기반 도시철도 승객 통행패턴 분석(노선 및 승강장 통행량 및 혼잡도 추정),- 교통카드 데이터 기반의 대중교통 통행분석,- 차종구분 알고리즘 제시,- 교통 빅데이터 기반의 차량 대기오염 추정모델 및 교통환경비용 평가모델 제시,- 교통부문 환경비용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 교통접근성 평가를 위한 지표(통행시간, 출발지, 도착지) 개발 및 평가대상 선정,- 도로 링크별 차량, 보행, 대중교통 이용자 통행량 및 차량속도 추정,- 기상재해 노출 취약지점 분석 및 통제지점 선정, - 대피경로탐색 및 최적대피소 선정, - 개별주차장 주차가능예측모형 개발, - 통신자료 기반 공유형 교통수단을 위한 기종점 통행량 데이터 개발, - 데이터 가공 및 활용환경 설계○ 3세부(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환경 구축)- 클라우드 오픈랩 시스템 구축/운영 및 온디맨드 신규 교통 서비스 개발 지원
|
연구성과 |
기술적 기대성과 |
- 데이터와 서비스의 실시간 연계환경 조성을 통한 지속적인 플랫폼 확장 및 서비스 창출이 가능한 교통플랫폼 구축- 머신러닝 계측/예측 기술개발(지도형, 비지도형)- 머신러닝 제어기술개발(강화학습)- 인공지능 교통신호운영기술 개발- 빅데이터 기반 도로 통행지표 및 혼잡관리 기술개발- 빅데이터 기반 교통안전분석 및 관리기술 개발- 도시철도 모빌리티 분석 및 혼잡도 관리기술 개발- 버스혼잡도 관리 및 인공지능 기반 최적 버스네트워크 구축기술 개발- 신교통수단에 대한 도시 맞춤형 공유서비스 배차지원기술 개발- 모빌리티 기반 차량 이동관리 기술 개발- 인공지능 기반 보행환경 개선기술 개발- 모빌리티 기반 수송용 대기환경 개선기술 개발- 인공지능 기반 통한 주차정보 제공기술 개발- 머신러닝 기반기술과 미래교통운영기술을 종합한 3대 복합솔루션(Index as a solution, Analysis as a solution, Service as a solution) 개발- 클라우드 기반 오픈랩 시스템 구축
|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 데이터 기반의 교통 분야 기술력확보를 통한 국가 경쟁력 기여- 과학적 인프라 투자지원 분석을 통한 효율적 예산 투자-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국민 체감형 교통 정책 지원 및 서비스 제공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대중교통 이용 낙후지역 진단을 통한 교통형평성의 증진- 공공성 가치 확대를 통한 지역 균형발전 도모 및 국토 공간구조 개편- 교통정보 데이터와 타 분야 데이터 간 융·복합을 통해 교통과 관련된 고부가가치 정보를 창출하여 신규 산업 활성화- 고도화된 교통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 계획 및 운영 정교화- 각종 교통현안 솔루션을 통한 교통 매몰비용 감소- 교통 빅데이터/인공지능 인프라를 구축하여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개발 및 산업 활성화로 미래의 교통전략 수립지원 제공- 창업자, 스타트업, 공공, 민간 기업들을 대상으로 교통 빅데이터의 분석환경 지원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 사업화 창출 지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인 인공지능 산업 발전을 위한 데이터 인프라 구축 및 인공지능 기술에 응용 가능한 데이터 자원의 원천소스 개발을 통한 미래 신성장동력 창출- 국가차원의 교통 및 비교통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지능정보데이터 및 학습데이터 구축, 확산을 통한 다양한 중소, 벤처기업의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개발 및 지능정보산업 창출- 객관적인 생애주기 분석을 통한 도로 유지관리비용 산출 및 예산확보 전략 수립- 도로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산관리시스템 구축- 이용자 피로도에 따른 효율적인 휴게시설 입지선정 및 운전자 졸음사고 예방- 교통류의 이동방향 분리에 따른 교통혼잡 심화 방지- 시간대별 방향별 교통수준에 맞은 교통운영 개선 및 전국적 일관성있는 도로품질 제공- 교통안전 취약지점에 따른 맞춤형 개선대책 수립 및 사고감소
|
활용방안 |
○ 플랫폼 활용방안- 승용차/화물/택시 통행 경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차로별 회전 통행비율, 개별 링크별 연관 링크 통행량, 속도 프로파일 등 분석 및 지표 데이터 제공 - 유동인구의 시간대별/성별/연령 별로 유입/유출 통행량, 지역 간 이동에 대한 OD 통행량 등을 제공- 교통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노선현황, 승하차량, 환승분석, 통행속도 등의 정보 제공 가능- 고속도로 하이패스 이용차량에 대한 개별 통행 자료와 고속도로 영업소 교통량 자료를 결합하여 고속도로 경로 통행량, 경로 통행속도 등의 정보 제공 가능- 신규 추가되는 데이터에 대한 개발 비용 투자 없이 기존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음- 가공 데이터에 대한 표준 포맷으로 적재 및 제공됨으로서 데이터 사용자 또한 추가적인 개발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음- 교통 빅데이터를 수집, 가공, 적재한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이용자의 이용 목적에 맞는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데이터를 활용하는데 집중- 통행 유전자 DB 기반의 다중통행경로분석, 통행영향권 분석, 교통시설 접근성 분석, 도로 및 노선 연계성 분석, 교통 센서스 조사 및 기종점 통행량 추정 분석 지원, 통행배정 기반 교통수요 추정 지원, 교통운영 분석지원, 교통안전 분석지원, 교통환경 분석 지원 수행○ 솔루션 활용방안- 교통운영/제어를 위한 교통밀도, 공간평균속도 파악 및 교통 기초자료 구축- 보행환경 유지/관리/개선을 위한 보행밀도 파악 및 보행자 이동 기초자료 구축- 실제 도시 간선도로망 통합 교통신호 제어에 이용- 궤적자료 가공 기술 개발: 교통류 혼잡, 도로망 통행영향권, 교통운영지원 분석의 기초자료 구축을 위한 궤적자료 가공 기술로 활용- 도로구간 간 통행 연결성 지표: 궤적자료 기반 각 도로구간 간 통행 연결성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 교통류 혼잡분석 지원 기술: 궤적자료 기반 혼잡분석 지표로 활용(통행지체도 지표, 교통류 엉킴 지표) 및 혼잡분석 기술로 활용- 사고정보·사고위험도 연계분석을 통한 사고위험구간 예측- 사고위험도 분석 기반 Dynamic Crash Risk Map- C-ITS 인프라를 활용한 속도정보 제공- VMS 인프라를 활용한 속도정보 제공- 승객이 버스노선/철도노선/철도역사를 이용하는 동선을 결합한 3-Layers-Network 체계 적용기법 활용- 승객 모빌리티 추정의 기초자료로 활용- 수도권 통합대중교통 네트워크와 빅데이터 기반 개별승객 정보에 연계가 적합한 알고리즘 활용방안 제시- 해당 지역의 통행패턴에 기반 한 新교통수단 배치 의사결정 지원. 소지역 단위 통행패턴의 특성과 공유 교통서비스 제안 등 활용- 공유 교통서비스 단위 인프라의 위치 설정 의사결정 지원. 자신의 서비스가 목표하는 타겟 층과 타겟 지역 선정- 대중교통과 新교통수단 연계 관점에서 Seamless Transportation 정책 의사결정 지원- 취약성이 높은 지점을 중심으로 재해·재난 도로구간 우선순위 결정에 활용- 재해·재난 종류별로 특화된 이동통제 전략 지침 마련, 사전에 최적 대피지점 및 통제지점 선정, 관리- 보행환경, 자전거 이용환경, 환승환경, 대기 공간 등 대중교통 이용과 연계된 통행현황에 대한 정확한 진단가능- 보행자가 집중되는 정류장에 대하여 보도 폭을 확대할 수 있음. 정류장의 적정 대기공간 산출 가능. 환승 전용통로 개설 및 환승 경로 설계 가능 등 지자체 대중교통 계획 및 보행 기본계획 수립 및 정책 추진을 위한 근거자료 활용가능- 이용자들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막히지 않는 경로를 선택하거나, 우회경로, 안전한 경로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음. -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시교통 상황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며 그에 맞는 정책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음.- 도로 링크단위별 차량 대기오염 수준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 주차관련 모든 이해당사자에게 상호이익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으로, 주차계획에서부터 주차장 이용, 주차장 이용종료에 이르는 전 과정에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 오픈랩 활용방안- 교통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사용자와 함께 교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 자료로 이용 - 온디맨드 신규 교통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개발 및 서비스 환경 제공 - 미래의 교통에 대한 전략 수립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레퍼런스 환경 제공 - 국내 도입되는 교통장비의 레퍼런스 기술 확보 및 운영에 대한 검증 활용- 가상의 교통관제 센터를 구현하여 스마트 시티 운영에 대한 모의 교통 실험 검증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