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자율주행 지원을 위한 도로변화 신속 탐지. 갱신 기술 개발 및 실증4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공간정보연구사업 과제번호 21NSIP-B145070-04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지리/지역/관광 | 지적/지리정보 | 지도학/지리정보시스템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건설 교통 | 국토공간개발기술 | 국토지능화 공간정보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자율주행 지원을 위한 도로변화 신속 탐지. 갱신 기술 개발 및 실증
주관연구기관 한국도로공사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최인구
소속 한국도로공사 직위 부처장
기관 대표번호 15882504 FAX 02-371-3266
총 연구기간 2018-04-10 ~ 2021-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1-01-01 ~ 2021-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4차년도 3,092,000,000 178,500,000 1,125,500,000 1,304,000,000 4,396,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o 자율주행차 지원을 위한 실시간 도로변화 정보 신속수집·갱신·공유를 위한 요소기술들을 개발하고,
- (1세부) 정밀 도로공간정보 구축센서-소프트웨어 통합솔루션 개발
- (2세부) 도로 및 시설물 변화정보 신속수집 및 갱신 기술 개발
- (3세부) 도로변화 신속 탐지, 갱신 기술 통합 실증 및 공유 기술 개발
o 공용/비공용 테스트베드 운영을 통해 완성도를 검증,
- (비공용) 단위시험을 위한 폐도로
- (공용) 실증을 위한 고속도로 및 시가지 도로
o 실제 자율협력주행 차량과 연계하여 맵 정보 갱신 실증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
최종목표 o 자율주행차 지원을 위한 실시간 도로변화 정보 신속수집·갱신·공유를 위한 요소기술들을 개발하고,
- (1세부) 정밀 도로공간정보 구축센서-소프트웨어 통합솔루션 개발
- (2세부) 도로 및 시설물 변화정보 신속수집 및 갱신 기술 개발
- (3세부) 도로변화 신속 탐지, 갱신 기술 통합 실증 및 공유 기술 개발
o 공용/비공용 테스트베드 운영을 통해 완성도를 검증,
- (비공용) 단위시험을 위한 폐도로
- (공용) 실증을 위한 고속도로 및 시가지 도로
o 실제 자율협력주행 차량과 연계하여 맵 정보 갱신 실증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
연구내용 및 범위 o (1세부) 정밀 도로공간정보 구축센서-소프트웨어 통합솔루션 개발
[연구내용]
- 도로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모듈형 장비 표준화 기술 개발
- 활용목적에 따른 센서 조합형 표준화 플랫폼 기술 개발
- 다중 취득 MMS 데이터 위치정합 기술
- 모듈형 장비 통합데이터 처리 기술 개발
- 모듈형 장비 데이터의 압축 및 신속전송 솔루션 개발 (5G 환경)
[연구성과물]
- 센서플랫폼 프로토타입
- 한국형 센서 플랫폼 성능 표준 및 데이터 표준화(안)
- 센서 데이터 통합처리 SW
- 모듈형 장비 데이터 처리·전송 기술 (5G 환경)

o (2세부) 도로 및 시설물 변화정보 신속수집 및 갱신 기술 개발
[연구내용]
- 단위시험이 가능한 비공용 테스트베드와 실증을 위한 공용도로 테스트베드 2-Track 구축
- 정밀 맵 및 도로변화정보의 실검증을 위한 자율협력주행차와의 연계검증
- 범용센서 기반 도로 및 시설물 정밀 맵 식별 및 탐지 SW 개발
- 크라우드 소싱 기반 변화정보 신속 수집 및 탐지 자동화 기술 개발
- 도로 및 시설물 변화정보 수집 및 탐지 자동화 기술 개발
- 정밀도로지도 갱신 표준기술 개발
[연구성과물]
- 도로변화 신속수집·갱신 단위시험 및 연동시험을 위한 비공용도로 Test-Bed
- 실제 도로환경에서 실증을 위한 공용도로(고속도로/시가지 도심부) Test-Bed
- 정밀맵/도로변화정보 - LDM - 자율협력주행차 간 연계운영을 위한 LDM 센터
- 범용 센서 기반 주행데이터 고속 처리 SW 패키지
- 범용 센서 기반 도로 정밀 맵 식별 및 탐지 SW 패키지
- 도로 정밀 맵 변화 탐지 및 갱신 SW 패키지
- 도로 상의 도로/도로시설물 공간객체 추출 SW
- 고정밀 도로지도 간의 공간객체 호환을 위한 데이터 변환 SW
- 정밀 도로 지도 갱신 표준안

o (3세부) 도로변화 신속 탐지, 갱신 기술 통합 실증 및 공유 기술 개발
[연구내용]
- 도로변화 신속 탐지, 갱신 기술 통합 검증 및 품질 확보방안 마련
- 도로변화 정보 현행화 기술 시험평가 기준 개발
- 수요처별 센서 플랫폼 갱신정보 품질 검증체계 구축
-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변화정보 관리 및 제공기술 개발
[연구성과물]
- 도로 갱신정보 품질 검증 체계 및 시험평가 기준
- 수요처별 도로갱신 정보 품질 검증 가이드라인
- 도로 및 시설물 정밀 맵 데이터 관리 및 배포 SW 패키지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4차년도 □ 주관연구기관(한국도로공사):
o Test-Bed 보완 및 LDM 연계 시스템 개발

□ 1세부 협동연구기관 1(티아이랩):
o 활용목적에 따른 센서조합형 규격화플랫폼 기술 검증 및 보완
o 센서플랫폼 성능 및 데이터 규격화 방안 연구

□ 2세부 공동연구기관(모디엠):
o 범용센서 기반 H/W 시스템 실증
o 범용센서 기반 도로변화 탐지 통합 시스템 고도화
o 편광이미지를 이용한 안개제거 SW 고도화
o 일반이미지를 이용한 빗줄기제거 SW 고도화

□ 2세부 공동연구기관(유원지리정보시스템):
o 도로상의 도로시설물 공간객체 측위 SW 개발
o 고정밀도로지도 활용을 위한 데이터 구조화 및 가시화 SW 개발
o 도로정밀 맵 변화 탐지 및 갱신 SW 패키지 개발

□ 2세부 위탁연구기관(다이트론코리아):
o 학습영상 DB기반으로 검증 및 테스트
o 알고리즘 성능개선 및 테스트 디버깅
o 정밀 맵데이터와의 인터페이스 안정성 검증
o 도로 주행영상을 기준으로 인식률 검증 및 고도화

□ 3세부 협동연구기관(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o 개발 요소 기술 통합 품질 검증 시스템 설계
o 도로변화 정보 현행화 기술 시험평가 기준 개발
o 정밀도로지도 갱신 관련 표준안 개발

□ 3세부 공동연구기관(서울시립대학교):
o 수요처별 도로갱신정보 서비스 방안 마련
o 도로갱신정보 연계 및 관리방안 마련
o 수요처별 도로갱신정보 품질검증 체계 시험 운용 및 서비스 방안 개발

□ 3세부 공동연구기관(엠큐닉):
o 클라우드 기반 도로·시설물 정밀 맵 변화관리 및 운용시스템 개발
o 클라우드 기반 정밀맵 배포 및 공유기능 개발
o 배포용 정밀 맵 데이터 활용도 평가 관리 기술 개발
o 정밀맵 클라우드 가상화 서비스 기술 개발
□ 주관연구기관(한국도로공사):
o Test-Bed 보완 및 LDM 연계 시스템 개발
- 공용도로 테스트베드 운영결과 분석
- 도로변화 신속갱신 실증을 위한 최적의 테스트베드 환경 구축
- LDM 연계를 통한 정밀도로지도 갱신 테스트

□ 1세부 협동연구기관(티아이랩):
o 기존 도로공간정보 구축 기술 분석 및 센서플랫폼 요구사항 정의
- 센서플랫폼 요구사항 최종안 작성

o 활용목적에 따른 센서 조합형 표준화 플랫폼 기술 개발센서 플랫폼 성능 검증 및 보완
- 실차 테스트 수행을 통한 성능 검증과 보완

o 국내도로실정에 적합한 차량 탑재형 센서플랫폼 표준화 및 국산화
- 센서플랫폼 표준화 최종안 작성
- 국산화된 센서 플랫폼 최종 제작 및 실차 테스트

o 센서플랫폼 성능 및 데이터 표준화 방안 연구
- 센서별 수신, 저장, 송신 데이터 포맷 표준화 최종안 작성

□ 2세부 공동연구기관(모디엠):
o 범용센서 기반 H/W 시스템 실증
- 실증 구간 운용 테스트
o 범용센서 기반 도로변화 탐지 통합 시스템 고도화
o 편광카메라 및 일반카메라를 이용한 객체인식 지원 SW 고도화
- 안개제거 SW 알고리즘 성능 개선 및 테스트 디버깅
- 빗줄기 제거 SW 알고리즘 성능 개선 및 테스트 디버깅

□ 2세부 공동연구기관(유원지리정보시스템):
o 고정밀도로지도 활용을 위한 데이터 구조화 및 가시화 SW 개발
- 객체인식 자동화가 어려운 객체(교량 시종점, 터널 입출구 등)에 대한 수동도화 기능 개발
o 도로정밀 맵 변화 탐지 및 갱신 SW 패키지 개발
- 도로정밀맵 갱신 객체 형상 및 관계 자동추출 DB와 SW 결합 검증
- 도로 정밀맵 갱신 SW 및 갱신필요 의사결정 SW 최적화 및 고도화
o 도로 변화판단 시스템 성과 검증방안
o 정밀도로지도 갱신 및 생성 시스템 성과 검증방안
- 정밀도로지도 갱신 및 생성 시스템 성과검증
- 정밀도로지도 갱신 및 생성 시스템 외부기관 성과검증

□ 2세부 위탁연구기관(다이트론코리아):
o 학습영상 DB기반으로 검증 및 테스트
- 구현 기술 고도화를 위한 딥러닝 학습데이터 취득 강화
-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거한 객체 추출 검증
o 알고리즘 성능 개선 및 테스트 디버깅
-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거한 객체 추출 검증 (객체인식율 목표치 : 95%)
- 도로변화 정보와 객체검출데이터와의 맵핑 정확성 검증
o 도로 주행영상을 기준으로 인식률 검증 및 고도화
- 객체별 갱신 및 관계별 갱신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거한 검증 및 고도화
- 테스트 주행코스를 설정하여 인식률 검증 및 고도화 작업 (목표치:92%)
- Lab Test인 경우는 라벨링 데이터(Ground Truth)를 구축한 테스트 베드(판교구간)를 기준

□ 3세부 협동연구기관(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o 개발 기술 통합 품질 검증 시스템 설계
- 4차연도 개발 요소 기술 통합 검증을 위해 평가 툴 고도화 (시제품)
- 자율주행을 위한 요소기술 통합 및 품질 검증 시험평가
o 도로변화정보 신속 갱신 기술 시험평가 기준 개발
- 신속갱신 정밀맵 구성 항목에 대한 정확도 검증테스트 수행
- 통합 테스트 수행
- 자율주행을 위한 도로변화정보 신속 갱신 기술 시험평가(LDM 연계 시험평가 수행)
o 정밀도로지도 갱신 관련 표준안 개발
- 도로 및 시설물 갱신 관련 표준안 개발

□ 3세부 공동연구기관(서울시립대학교):
o 수요처별 도로갱신정보 서비스 방안 마련
- 수요처별 도로 갱신정보의 서비스 기준(안) 제시
- 수요처별 도로 갱신정보 서비스 모델 개발

o 도로갱신정보 연계 및 관리방안 방안 마련
- 수요처별 도로 갱신정보 연계모델 개발
- 연구 성과물 홍보 전략 수립
- 연구 성과물 유지·관리 방안 체계 정립

o 수요처별 도로갱신정보 품질검증 체계 시험 운용 및 서비스 방안 개발
- 품질 검증 시스템의 구체적인 운영 시나리오 제시
- 갱신정보 품질검증체계 프로토타입의 시험 운용을 통한 서비스 적용 및 개선

□ 3세부 공동연구기관(엠큐닉):
o 클라우드 기반 도로·시설물 정밀맵 변화관리 및 운용시스템 개발
- 3차연도 배포용 정밀 맵 데이터를 이용한 GIS 가공 모듈 개발 심화
- 클라우드 기반 운용시스템의 모든 기능요소의 검증 및 최적화

o 클라우드 기반 정밀맵 배포 및 공유 기능 개발
- 3차 연도 배포용 정밀맵 데이터를 이용한 검증 및 테스트
- 클라우드 기반 정밀 맵 배포, 공유 기능 개발 API 검증 및 최적화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o 모듈형 MMS 국산화 개발로 기존 외산 MMS 장비 운용 시 문제가 됐던 유지보수의 용이성(수리비용 저감, 공장수리 기간 단축 등)을 확보하고
국내 도로환경에 최적화된 시스템 개발로 실제 운용성 확보
o MMS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갱신기술에 대한 연구 추가로 실제 자율주행차 지원을 위한 기반 마련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o 자율주행을 위한 정밀지도 신속갱신 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 자율주행의 신뢰를 확보하고 자율주행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고비용 감소 등 다양한 방면에서 경제적 이득을 가져올 수 있음
- 자율주행 기반 정밀전자지도 신속탐지 및 갱신 실증사업 추진 시 자율주행에 대한 신뢰도와 안전도가 보장되고,
더불어 자율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 산업분야가 활성화 되고 이에 따라 교통체증, 환경오염, 교통사고 등의 문제 해결 가능
또한, 장기적으로 자율주행이 활성화되어 개인의 자차량 보유 감소로 이어지게 될 경우,
개개인의 자동차 구입 비용의 감소로 인해 잉여 자본력 증대, 경기 활성화 가능
- 정밀전자지도 신속탐지와 갱신으로 인하여 자율주행의 조기도입과 이용의 확대될 시,
출퇴근 시간 이외에 주차공간에 방치되어 있는 자차량이 아닌 이동 승객들 운송, 화물 운송 등으로 사용가능하고
이는 경제적으로도 사회전체의 사회적 비용 절감에 이바지 함

o 장기적으로 미래성장형 국가경제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음
- 자율주행 기반 정밀전자지도 신속탐지 및 갱신 실증사업 추진에 있어 본 연구와 같은 사전연구가 없이 시행하였다가 실패할 경우
경제적, 산업적으로 막대한 비용의 손실이 발생함. 더욱이 연구실패로 기술개발과 관련하여 시간적으로 뒤쳐질 경우,
국제표준화와 같이 관련분야 주도권을 국외기관들에게 넘겨주게 되어, 관련 산업의 발전과 해외진출의 잠재적 성장가능성도 잃어버리게 됨
- 관련기술개발을 완비하고, 국제 표준화 수립시 국내 개발관련 의견과 모델을 제시하여 정밀전자지도 신속갱신 기술수출 및
해외에 정밀전자지도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업에 Total solution을 제시하여 지속적인 비즈니스 수행 기반을 구축할수 있음
- 현재 정밀도로지도 또는 자율주행을 위한 LDM 센터 체계가 향후에는 민간부분으로 정보제공과 활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으로
관련 고부가가치인 정보산업에 새로운 산업분야를 개척할 수 있음
활용방안 o 자율협력주행차 연계 실증
- 한국도로공사가 구축 중인 LDM 센터와 연계하여 자율협력주행차량과 직접 연동·실증시험을 통한 실용화 가능성 검증
o 도로변화 신속탐지 실증 시범지사 운영
-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안전순찰차에 도로변화 신속탐지 SW 탑재·운영을 통한 성능검증 및 상용화 방안 모색
- 도로변화 탐지기술 적용으로 고속도로 본선 및 시설물 유지관리에 활용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모바일매핑시스템 정밀전자지도 도로변화탐지 자율주행 동적전자지도
영문 MMS HD MAP Road Change Detection Autonomous Driving LDM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연구단) 최종보고서_이미지.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