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년도 |
○ (탈형/비탈형) 보/기둥-데크플레이트 형상 개발○ 보/기둥-데크플레이트 구조성능 및 시공성 검증
|
○ 국내/외 데크플레이트 형상 조사 및 구조성능 DB화○ 제품 구성: 판재, 멍에, 장선, 이음 부속탈형의 용이성(단부, 중앙부, 접합부 등) 등의 단위 부품 모듈화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 부품 설계: 부재의 크기, 두께 등 부재 모듈화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 부품 모듈화 및 재품모듈화의 검증 실험○ 측압 및 처짐 실험을 통해 강판 두께, 지지대 간격과 각 부품 모듈의 내구성 검증○ 부재 접합부 구성 : 기둥-보 접합, 큰보-작은보 접합○ 분절 접합부 구성 : 보-보 접합, 기둥-기둥 접합○ 보 및 기둥 모듈구성(보 및 기둥 단면 사이즈 표준화)○ 기본 8m 보 및 기둥 탈형에 필요한 인력 및 장비 개발
|
연구성과 |
기술적 기대성과 |
○ 국내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은 1980년대 후반 일본 기술을 습득한 국내 업체에 의해 전해졌으며 다양한 기술적 발전을 거듭하며 국내화된 기술임○ 특히, 국내 데크플레이트 기술은 현재 중국 및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오세아이아등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원천기술 국인 일본을 앞서고 있음○ 당 기술개발 과제인 거푸집 완전 일체형 보/기둥-데크플레이트 기술은 국내?외에서 개발된 사례가 없는 만큼 원천기술을 확보할 것으로 판단됨○ 이는 당 기술의 기술적 우위와 더불어 기술가치의 독점적 우월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점차 확대되고 있는 데크플레이트 해외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당 개발 기술은 건설 산업의 대표적 공업화 공법중 하나인 데크플레이트 공법을 응용 발전시킨 기술로서 공장 생산된 건설 자재 사용으로 품질관리가 가능하고, 현장 설치 거푸집 공법에 비해 노동력 감소와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음○ 당 개발 기술은 거푸집과 철근이 일체화된 공장 생산되어 현장에서 설치 및 조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 품질이 매우 우수함○ 당 개발 기술은 기존 슬래브 데크플레이트 공법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 재래식 거푸집 시공에 비해 (보/기둥 데크를 해체할 경우) 단위면적당 약 82%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검토되어 현재 건설 산업의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인건비 증가를 일정부분 해결할 것으로 예측됨○ 당 개발 기술은 거푸집 철근 일체형 모듈 복합구조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외피를 감싸고 있는 얇은 강판은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재임○ 공기단축을 이룰 수 있다. 현장에서 조립되는 거푸집 공사가 없으며, 현장 철근 배근의 경우 접합부의 연결 부분만 있어 최대 80%이상 현장 배근 공사가 없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독립 지지시스템을 갖고 있어 현장 타워크레인 양중시간이 크게 감소될 것임 ○ 거푸집 비용이 사라지며, 모든 부재를 미리 공장제작하여 현장 반입됨에 따라 품질 및 안전성이 보장됨.○ 당 개발 기술이 건설현장에 보급될 경우 기존 재래식 거푸집 공법의 단점인 비계획적 시공, 건설폐자재 증가, 시공정밀도 저하와 같은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 당 개발 기술은 아연도강판을 해체하여 재활용(폐기물 재활용 등)할 수 있어 기존 재래식 거푸집 공사에 비해 폐기물 배출이 감소하여 건설 산업에 큰 문제점 중 하나인 환경부하를 저감할 수 있음○ 또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적 측면에 있어 해체된 강판의 재활용은 국내 건설 산업에서 유발하고 있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어 친환경 건설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의 시장 침투는 기존 재래식 공법의 태생적 한계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건설 현장의 노무비, 재료비등의 변화에 의해 급격히 시장이 확대됨○ 그러나, 현재 데크플레이트 시장은 슬래브에 국한되어 있어 관련 시장은 포화상태로 기술적 발전에 한계에 도달함○ 당 연구개발이 시장에 보급될 경우 데크플레이트 산업의 새로운 시장 창출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
활용방안 |
○ 당 연구개발 기술의 최종 성과는 “데크플레이트를 활용한 공장 제작 일체형 (거푸집 및 철근 일체형)보 및 기둥 모듈 부재 개발” 임.○ 당 개발 기술은 국내?외적으로 연구 개발된 선례가 없는 만큼 관련 연구 성과물의 질적 우수성이 높고, 원천기술화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됨.○ 특히, 당 연구개발을 통해 개발된 기술은 고착화된 국내 데크플레이트 시장 확대에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며(참여기업 기술실시계약 등), 당 기술을 응용할 경우 벽체 등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기술이전 수요가 높을 것으로 판단됨.[현장적용 계획]○ Mock-up or Pilot Test 계획: 실험실 수준의 Mock-up(Pilot Test: 골조형태) 실험을 통해 개발 제품의 실용성 및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여 개발 기술의 사업화 추진[개발 기술의 사업화 추진 계획]○ 제품 홍보: 슬래브 데크 플레이트 1위 기업인 ㈜덕신하우징(참여기업, 개발완료 후 기술이전)의 자체 영업능력을 활용하여 당 개발 제품의 우수성(공기단축 및 시공 인력 감소, 품질 향상 등)을 홍보할 계획이며, 당 기업의 홍보 및 영업팀 내 별도의 보/기둥 데크 플레이트 제품 홍보 TFT를 연구개발과 동시에 조직하여 개발 제품의 영업자료(카탈로그 등)를 기획 제작할 예정임○ 판로 확보: 자체 영업조직을 활용하여 참여기업인 당 업체의 기존 판로를 확대할 계획임○ 판매 전략: 당 개발 제품의 우수성(공기단축 및 인력 감소, 품질 향상 등)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며, 당사 주력 제품인 슬래브 데크 플레이트와 동시 시공을 적극 홍보하여 당 개발품을 시장에 적극 판매할 계획임○ 목표 시장 구조 (1) 경쟁 기업 현황: 당 개발 제품의 국내외 경쟁기업 없음 (2) 시장 진입 장벽: 당 개발 제품의 시장 진입은 경쟁 기업이 없어 진입 장벽이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다만, 새로운 공법에 대해 보수적인 건설 산업 특성상 당 개발제품을 토대로 신기술 획득 전략을 수립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