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년도 |
1)포 제독방식을 통해 목표성능 달성을 위한 요소 기술개발2)유해화학물질 인체 장비 제독에 활용하기 위한 약제 분사 방식 채택 및 노즐개발3)분사 후 잔여 제독 약제의 수거 및 포집 장치 기술 개발4)대기공간 기밀유지를 위한 필터, 공기정화 시스템 개발5)피난자 대기공간, 기밀 유지 공간, 제독공간 공간 설계6)산업단지 또는 구역 단위 규모에서 적용하기 위한 수용인원 결정, 최적 입지선정 방법론 개발
|
1)포 제독방식을 통해 목표성능 달성을 위한 요소 기술개발소방분야에서 적용되는 포소화약제 노즐방식을 모방하여 인체에 적합하게 분사 및 제독 능력을 수행하기 위한 방사압, 약제(혼합)량, 적정 분사 시간 등 실험기반의 기술 개발2)유해화학물질 인체 장비 제독에 활용하기 위한 약제 분사 방식 채택 및 노즐개발제독 공간 내 각 기술요소의 배치방법 적용 및 프로토타입 장치 패키지 제작3)분사 후 잔여 제독 약제의 수거 및 포집 장치 기술 개발제독과정에서 분사된 약제를 안전하게 수거·보관하기 위한 흡입, 처리장치 설계·개발4)대기공간 기밀유지를 위한 필터, 공기정화 시스템 개발외부 유해화학물질 유입을 최소화 하기 위한 기계적 화학적 장치 설계(필터기술 적용)·개발5)피난자 대기공간, 기밀 유지 공간, 제독공간 공간 설계조립형으로 개발된 대기공간, 기밀유지공간, 제독공간을 유효 활용공간에 가변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모듈 간 커플링 방식(연결부)제작 및 개발6)산업단지 또는 구역 단위 규모에서 적용하기 위한 수용인원 결정, 최적 입지선정 방법론 개발다수 피난수요 발생에 대응 하기 위한 입지 선정 의사결정 방법론을 개발하여 피난 수요인원 예측(시나리오 기반의 화학사고 누출 시 피난 수요 예측 방법)에 따른 공간규모 설계 및 각 요소의 요구성능 분석
|
연구성과 |
기술적 기대성과 |
1)재난안전 대응 시스템의 1차 집결지로 활용하고, 환경·교통·시설·소방 등 다른 산업 분야와 융합 할 수 있어 추가적 기술 부가가치 창출 가능2)첨단 ICT 기술을 활용하여 재난 상황 전파시간 및 상황파악 시간을 단축하며, CCTV 재난영상정보 등과 통합·연계하여 재난감지와 대응·복구의 효율성 향상3)사물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는 공공데이터의 공개·활용 등을 통한 재난안전산업 활성화4)제조경쟁력, 재난안전산업, ICT 등의 융합 통합 미래형 신사업 육성 가능
|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화학물질 누출가스 발생 시 1차 집결지 형태로 활용 가능한 부스 개발로 사고발생 시 즉각적인 제독이 가능한 형태이며 상시 대피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비로 실외 화학물질의 내부 유입차단을 담보할 수 있는 기밀성, 피난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접근성, 화학사고 재난의 특수성을 보유한 인프라 시설임. 이는 화학산업단지 인근 주민 및 근로자의 안전과 관련된 공공재의 성격으로 국토교통부 또는 관련 지자체의 지원사업을 통해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요구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10대 대표과제 중, 국민안전 SOC 디지털화, 스마트 그린산단 등 내용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어 화학물질을 관리하는 산업단지에 대한 안전망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을 기대
|
활용방안 |
1)부스의 주출입구에 복도형 분사시스템으로 설치되는 제독 공정 시스템은 제독의 신속성과 유해화학물질의 제독능력(잔여도)를 충족시키는 것이 핵심으로 구미시 재난관련 부서 담당자에게 사업화를 제안2)화학산업단지 및 화학물질 취급공장 내 대피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특화하여 특수재난환경 및 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는 출입통제소 등으로 응용3)향후 정보통신, 디지털을 적용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도시미관을 고려한 디자인 개선으로 생활밀착형 제품 개발하여 지역 기반 시설로 구축하고 한국형 뉴딜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로 가치 창출의 토대 마련하고자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