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청구권자

청구권자 정보제공
과제번호 22RITD-C162016-02
사업명 국토교통지역혁신기술개발
과제명 교통약자(장애인 등) 이동권 취약지역 현장 개선을 위한 AI 기반 교통약자 전용 지도 자동 생성 플랫폼 개발 및 상용화
주관연구기관 주식회사 경성테크놀러지
분류 -   -   -
총 연구기간 2021-04-01 ~ 2023-12-31

총괄연구책임자

총괄연구책임자 정보제공
성명 최미형
소속 주식회사 경성테크놀러지
전화번호 051-783-3731

연구정보

연구정보 제공
연구개발개요 ○ 자원 봉자사 등의 사람의 직접적인 정보 입력에 의존적이었던 장애인 지도생성 프로세스를 극복하기 위해, 좌표정보와 함께 획득된 사진을 통하여 장애인의 이동 관련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객체 인식 AI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장애인지도 정보를 보다 획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지도플랫폼 개발
○ 장애인지도 구축 기술확보와 더불어, 장애인에게 테마길을 추천해줄 수 있는 기술을 접목하여 지도에 대한 지속적인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

○ 『휠체어낙상사고대응 시스템』의 완성형 시스템 구축
- 등록특허 기술인 『휠체어낙상사고대응 시스템』과 『지면정보수집장치』는 최종적으로 장애인 전용 지도에 낙상사고 다발구간, 이상노면 다발구간 등의 위치정보로 제공 되어 져야 실제적인 활용이 가능함
- 기존 특허기술은 IoT 디바이스로 기초 정보들을 생성시켜야만 지도 정보화 시킬 수 있는 한계가 있어 파급력이 적음, 『교통약자(장애인 등) 이동권 취약지역 현장 개선을 위한 AI 기반 교통약자 전용 지도 자동 생성 플랫폼 개발 및 상용화』기술을 통해 지도 기초 정보를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생성시켜 유의미한 장애인 전용 지도 서비스를 구축하여 기존의 한계를 탈피하여 파급력을 높이고 사업화 가능한 완성형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 본 사업을 통해 기존 등록 특허 기술의 연장선에 있는 『교통약자(장애인 등) 이동권 취약지역 현장 개선을 위한 AI 기반 교통약자 전용 지도 자동 생성 플랫폼 개발 및 상용화』을 구축하고 통합 및 연동함으로서 사업화 가능한 완성형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 『교통약자(장애인 등) 이동권 취약지역 현장 개선을 위한 AI 기반 교통약자 전용 지도 자동 생성 플랫폼 개발 및 상용화』은 ①데이터 수집부 ②네트워크계층 ③클라우드 서버 계층 ④서비스 계층 총 4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필요 모듈을 30개월(3개년 차)에 걸쳐 개발함
최종목표 ○ 교통약자(장애인 등) 이동권 취약지역 현장 개선을 위한 AI 기반 교통약자 전용 지도 자동 생성 플랫폼 개발 및 상용화 개발

○ End Product
『① 지도 정보수집 플랫폼 앱』(단말 탑재형 SW)
『② 장애인 이동 관련 객체 인식 AI 알고리즘』(서버탑재형 SW)
『③ 장애인 장소 접근성 분석 모듈』(서버탑재형)
『④ 테마길 형태의 표현이 가능한 GIS 시스템』 (서버탑재형 SW)
『⑤ 사용자 위치 빅데이터를 분석한 테마길 추천 시스템』(서버탑재형 SW)
『⑥ SaaS 형태의 관리가 가능한 관리자 웹』(SW)
『? 음성을 기반으로 지도 콘텐츠 사용이 가능한 사용자 앱』(SW)

○ 사업화 최종목표
- 본 과제 수행 기간에는 시장 진출을 위한 TRL 8 수준의 시제품확보와 GS 인증, DQC-M, 클라우드서비스 확인제와 같은 공인 인증 확보에 집중함으로서 사업 종료 후, 조달제품 등록 등의 방법으로 기초지자체 단위 혹은 공공기관에서의 제품 판매를 목표함

<부산광역시 사상구청의 지역적 현황>

○ 부산지역 장애인과 노인의 이동권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
○ 부산지역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 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시스템 부족
○ 부산지역 교통약자 중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자의 안전보호막 부족
○ 실증대상지 부산 사상구의 전동이동보조기기 이용자들의 이동안전 문제
- 사상구는 1960년대 강보다 지대가 낮은 뻘에 지어져 도시 기반 시설이 전반적으로 취약하고 여름에 비가 오면 펌프시설이 잘되어 있어도 특정 지대 범람빈도 증가 함
- 사상구의 도로(차도, 인도 등)의 패임, 깨짐, 침하 등이 발생 되는 위험지대가 많아 안전동선을 찾는 것이 어렵고 전동이동보조기기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하는데 제약이 많아 기본 생활이동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음

○ 장애인 이동권 개선을 위한 전용 지도 서비스 부족
- 현재 지도 시스템은 차도 및 일반인들의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동선 내 장애물(경사로, 계단, 좁은 골목 등)에 대한 표시가 전혀 되어있지 않아 전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의 편의성이 떨어짐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동환경에 맞춰 지속적으로 제공 및 관리할 수 있는 지도 서비스로 전동보조기구 사용자의 자유로운 이동권을 보장해 주어야 하지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서비스가 없음
- 기존 사용되는 구글, 네이버, 다음 지도에는 주소지 기반으로 건물 위치를 표기하고 있을 뿐 실제로 전동보조기구로 이동할 수 있는 동선 내 장애물(경사로, 계단, 좁은 길목 등)에 대한 표시가 전혀 되어있지 않아 휠체어 사용자들에게는 무용지물의 서비스로 전락
- 전동보조기구 사용자의 여행, 생활을 위해 이용하게 되는 편의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표기와 이동가능 통행로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해 주는 지도서비스 부재
- 전동보조기구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 및 자립 생활을 확대하고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가 필요함

○ 지역현장의 문제점 개선에 필요한 실시간 노면, 객체 수집, 인식을 위한 AI 기술 한계

<부산광역시 사상구청의 지역적 현황 해결>

○ 지역현장의 문제 해결을 위한 AI 기술을 적용한 통합 지도 플랫폼 개발

- 현재 TRL 5단계 시제품 제작이 완료된 휠커벨은 전동보장구 이용자의 안전장치를 위한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만, 외부이동환경에서 접하게 되는 장애물과 이용 가능한 시설물들을 안내해주는 실질적인 서비스가 빠져 있어서 본 연구개발과제로 이러한 정보들을 실시간 반영하고 안전한 이동경로를 안내해줄 수 있는 장애인 맞춤형 지도서비스를 개발
- 지도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동경로에 노출되어 있는 객체(이상노면, 장애물, 건물 등)를 실시간 인식하고 분석이 가능한 인공지능 기술연구가 선행 되어야 하는데 당사는 2020년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을 통해 개발한 AI 알고리즘을 토대로 지도정보 생성 비용이 1/4로 절감할 수 있으며,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기술을 이용하여 기초 지도정보에 실시간 노면, 객체 정보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어 장애인에게 실용성이 높은 표준화 지도 플랫폼을 개발 가능
- 추가로 수집된 데이터와 사용자 이동행태, 위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장애인들 상황별 접근이 가능한 테마길(이동권 약자 전용 코스)을 추천하는 콘텐츠 개발
- 따라서, 본 연구개발과제를 통해 전동휠체어, 의료용 스쿠터, 유모차, 보행차 등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통행할 수 있는 실질적 공간정보, 경로 정보를 실시간 수집, 분석 후 장애인 이동권 문제 해결, 보편적 사용이 가능한 지도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동이동보조기기 사용자들의 현안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
연구내용 및 범위 ○ 주요 기능(또는 규격)
『① 지도 정보수집 플랫폼 앱』(단말 탑재형 SW)
- 고가의 장비가 아니더라도,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한 촬영만으로 지도에 기입할 공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 제공 (타이핑을 통한 입력과 같은 수작업을 최소화)
- 스마트폰을 통해 촬영된 객체에 대하여 GPS 값을 매칭시키고, 수집가가 앱의 지도 위치를 모니터링하며 데이터 생성 좌표값을 육안으로 보정하여 좀 더 면밀한 위치 수집이 가능하도록 지원

『② 장애인 이동 관련 객체 인식 AI 알고리즘』(서버탑재형 SW)
- 사진에서 장애인의 이동에 도움이 되거나(경사로 등), 장애가 되는 객체(연석 등)를 인식할 수 있는 AI 기능 개발
- 기구축된 교통약자 주행 영상 AI 학습데이터 및 인도 보행 영상 AI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AI 학습 진행
- 객체 인식률을 높이고 싶은 주요 객체들의 경우 추가로 학습 데이터를 수집/정제/가공/검수하여 AI 인식률 상승 목표
- BF인증 심사 지표를 근거로 하여 (사)부산광역시사상구장애인협회 정회원 인터뷰를 통해 주요 객체클래스 재정의
- 장애인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객체는 노면 바닥에 붙어 있는 경우가 많아, Segmentation Image 인식이 가능한 모델을 선정하여 학습 진행

『③ 장애인 장소 접근성 분석 모듈』 (서버탑재형)
- 장애인의 이동에 도움이 되거나 장애가 되는 객체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공간에서 장애인 장소 접근성에 대한 등급을 판단할 수 있는 모듈

『④ 테마길 형태의 표현이 가능한 GIS 시스템』 (서버탑재형 SW)
- 타켓으로 하는 주요 사용자(보행장애가 있는 노인)의 평균연령과 인지능력을 고려하였을 때, 직관적으로 이해가 가능한 형태로 표현되는 지도플랫폼 구축이 필요함으로 기존의 Open API 지도를 사용하지 않고 커스텀된 지도표현이 가능한 테마길 전용 GIS 시스템 구축 (AI 기술로 수집된 공간정보들을 커스텀하여 시각화하는 기술)
- 테마길 GIS 엔진 모듈 개발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 플랫폼 지적도 (혹은 네이버/다음 지적도) 활용
- QGIS와 같은 GIS오픈소스를 활용하여 전용 GIS 시스템 구현

『⑤ 사용자 위치 빅데이터를 분석한 테마길 추천 시스템』(서버탑재형 SW)
- 사용자가 방문한 위치정보를 빅데이터화 시켜, 비지도 학습과 같은 분석 기법들을 활용하여 테마길을 추천
-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장애인들이 방문 가능한 출발지, 목적지, 경로에 대한 정보를 추천 (이는 기존 지도가 방향성이 없어 사용자들의 서비스 사용을 촉진 시킬 수 없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지도 콘텐츠임)
- 『활용 분야별 주요 코스』를 기획하여 지도플랫폼에 반영
ex) 문턱 없는 식당 코스-> 저녁 약속 코스, 점심 약속 코스,

『⑥ SaaS 형태의 관리가 가능한 관리자 웹』(SW)
- BtoB 혹은 BtoG 고객이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한 웹 개발
- 구축된 위치정보의 범위에 따라 별도의 요금제를 제공하여 구축 규모에 따른 비용 정산이 가능하도록 SaaS 형 시스템 설계
- 지도 정보 조회, 지도 사용 현황, 지도 현행화 등의 기능 제공

『? 음성을 기반으로 지도 콘텐츠 사용이 가능한 사용자 앱』(SW)
- AI 및 여러 분석 기술이 적용된 지도를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개발 (장애인 전용 지도 조회, 테마길 추천, 장소 접근성 등급 조회 등의 기능 제공)
- BtoC 고객이 장애인 전용 지도를 사용할 수 있는 앱 개발
- 장애인들을 위한 IT 서비스들이 개발되어도, 사용자 조작 미숙으로 인해 관련 사업의 사업화가 어려운 한계점이 있음, 이에 따라 정보기술 서비스와 사용자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보조공학 기술의 수단으로 음성인식 기반의 사용자 커뮤니케이션 기술 개발 필요
-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고려한 소통 CASE에 대한 연구와 챗봇 개발

※ 최종적으로 End Product 7종을 『휠체어낙상사고대응 시스템』과 『지면정보수집장치』과 연동 및 통합시스템 구성

○ 사업화 세부내용
- TRL 8 수준의 시작품 확보
-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사상구 모라1동, 모라3동)
- 솔루션화를 위한 시스템 패키징 전략 수립
- GS(Good Software) 인증 1건
- 데이터 관리인증 (DQC-M) 1건
- 클라우드 서비스 확인 1건
- 신제품 서비스 출시

과재현황의 상세내용은
PC 또는 태블릿 화면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트위터 바로가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