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 R&D추천기술
터널 내 폭발화재로 인한 장시간 시설물 보존용
유약기반 돌기형 차화, 차열 방화구조체 제조기술
01
개요
1. 개발 배경 및 필요성
- 터널 내 교통사고로 인한 화재는 화재보호 시스템이 작동 되더라도 소방진압차량이 도착하기까지 장시간 소요되어 신속한 화재진압이 어려운 문제 존재
- 터널 내장재 소재로 장시간 화재 보호와 내충격성, 유지보수성, 반영구적인 제품 필요
2. 기술 개요
- 터널 내 화재 시 시설물 보호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기존 시설물의 화재 시 전소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돌기형으로 제작된 화재 분산구조 소재를 활용한 차열, 차염 방화 구조체
- 저독성 난연제 성분의 바인더를 사용하여 유해가스 방출 억제
- IoT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 관리자에게 화재 알림 기능 적용

02
기술의
특장점
1. 기존 기술 대비 차별성
구분 | 기존 기술 | 해당기술 |
---|---|---|
기능/성능 |
|
|
장단점 |
|
|
경제성 |
|
|
2. 기술 경쟁력
- 기존 단열 소재 대비 도자기 유약기반 난연재(장시간 화재보호 특성) 사용으로 시설물 훼손 방지
- 기존 불연성 철판 대비 돌기형 구조(동일 두께 대비수배의 차열, 차염 성능)와 돌기구조 사이의 통기구조(평상시 시설물 기능저하 방지)의 구조체 사용으로 터널 시설물 화재보강 내화 성능 보유
3. 경제적 효과
- 개소별 시공 시간 10분 이내로 설치비용 60% 절감
- 반영구적인 제품 수명으로 인한 교체비용 60% 절감
03
시장성
1. 시장규모 및 성장성
- ’17년 12월 말 기준 전국의 터널 수는 2,382개소
- ’07년 12월 말 1,064개소 대비 1,318(224%) 증가, 터널 연장은 755km에서 1,811km(240%) 증가
- 터널 개소 수 및 연장의 증가에 따라 터널 내 화재 위험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추세
2. 응용분야(수요처)
- 국토교통부 산하기관
- 한국전력공사
- 발전소
- 철도 공사
- 공항 공사

04
연구성과
정보
1. 지재권 현황
발명의 명칭 | 출원번호 | 권리 현황 |
---|---|---|
전선 배관 및 케이블의 화재 보호용 돌기형 내화구조체 | 10-2016-0067580 | 등록 |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 보호용 돌기형 내화구조체 | 10-2016-0067552 | 등록 |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용 차열 차염 부재 | 10-2017-0034134 | 등록 |
화재 차단성능이 우수한 케이블 트레이용 방화 구획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10-2017-0065650 | 등록 |
케이블트레이용 화재확산방지구조물 | 10-2017-0034137 | 등록 |
2. 시험결과(시공실적) 및 시제품 현황
- 의정부국토관리사무소 모란터널 및 마석터널
- 수원국토관리사무소 부평터널
-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소천도계터널
- 원주지방국토관리청 두문동터널
- 익산지방국토관리청 모악터널, 수동터널
- 한국전력공사 서울, 경기, 부산울산 지역본부

3. 기술준비도(TRL)
- 기술 개념 확립
- 연구실 환경 검증
- 시제품 제작
- 실제 환경 검증
- 신뢰성 평가
- 상용품 제작
4. R&D 수행이력
사업명 |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 |
---|---|
과제명 | (안전분야)터널 내 교통사고 폭발화재 보호를 위한 시설물 장시간 화재 보호용 유약기반 돌기형 차화, 차열 방화구조체 제조기술(시작품 단계) |
연구 기간 | 2016.4 ~ 2017.12 |
연구비 | 1,190,000,000원 |
05
문의
1. 기술문의
- ㈜광운기술
- ☎ 031-356-9616
2. 총괄문의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일자리·사업화지원실
- ☎ 031-389-6322
- ktechbiz@kaia.re.kr
국토교통 R&D추천기술
AI 기반 객체 영상인식기술을 적용한
교통관리 및 돌발관리시스템
01
개요
1. 개발 배경 및 필요성
- 교통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 도로구간의 교통정보 수집이 필수적이나, 정부 재원 부족으로 지능형 교통 시스템 설치 및 운영 부족
- 현재 교통수집, 돌발검지, 교통 모니터링, 방범 등 서로 다른 목적의 CCTV가 여러 장소 또는 동일 장소에 여러 대 설치/운영되고 있어 하나의 CCTV로도 다목적 사용이 가능한 기술 개발 필요
2. 기술 개요
- 교통 관리 및 돌발관리시스템으로, 기존 고사양 CCTV를 통한 수동적 교통정보운영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AI 기반 교통정보 획득 기술을 적용하여 저비용/저사양 CCTV로도 교통정보 및 돌발 상황 획득 가능한 기술 개발
- 정확성·신속성 확보를 위한 서버단위 영상분석 엔진 개발
- AI 신호운영시스템 적용 코어 엔진 확장 개발(5G망 사용 계획)
02
기술의
특장점
1. 기존 기술 대비 차별성
구분 | 기존 기술 | 해당기술 |
---|---|---|
기능/성능 |
|
|
장단점 |
|
|
경제성 |
|
|
2. 기술 경쟁력
- 기존 제품과 달리 해외 다른 제품과 호환이 가능하여 해외업체의 플랫폼과 연계 가능
- 국내 최초로 범용 CCTV로도 차량, 보행자, 돌발 상황 복합 감지 가능한 기술 개발
- AI 기반 영상분석 알고리즘과 엔진을 독자 개발하여 기존 시스템 대비 장소에 상관없이 서비스 제공 가능
3. 경제적 효과
- AI 기반 영상분석기술 확보로 기존 인프라 구축 비용 50% 절감
- 카메라 등 시스템 가격 : 500만 원
- 설치 및 서비스 개통 비용 : 100만 원
03
시장성
1. 시장규모 및 성장성
- 교통 관리 세계 시장은 2016년 약 206억 달러에서 연평균 13.7%씩 성장하여 2022년에는 약 445억 달러 수준으로 전망
2. 응용분야(수요처)
- 각 지자체 담당 운영 기관
-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 도로교통 외 지하철 플랫폼, 횡단보도, 방파제, 해수욕장, 강가, 바다, 스마트공장 등 CCTV 분석이 필요한 모든 수요처

04
연구성과
정보
1. 지재권 현황
발명의 명칭 | 출원번호 | 권리 현황 |
---|---|---|
객체 인지 기반의 실시간 영상 감지 기술을 이용한 교통 흐름 및 돌발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 10-2016-0108491 | 등록 |
객체 인지 기반의 실시간 영상 검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10-2016-0108041 | 등록 |
2. 시험결과(시공실적) 및 시제품 현황
- 저비용 및 범용 CCTV를 통한 국내 최초 인공지능 영상분석 엔진 탑재 돌발감지시스템 현장검증 완료
- 부산시 전역에 스마트 교차로 사업 진행
- 스마트 교차로 AI 플랫폼

3. 기술준비도(TRL)
- 기술 개념 확립
- 연구실 환경 검증
- 시제품 제작
- 실제 환경 검증
- 신뢰성 평가
- 상용품 제작
4. R&D 수행이력
사업명 |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 |
---|---|
과제명 | 객체인지 기반의 실시간 영상검지기술국산화를 위한 서버단위 원격 돌발관리시스템 사업화 |
연구 기간 | 2015.10~2017.11 |
연구비 | 500,000,000원 |
05
문의
1. 기술문의
- 델리아이/연구소
- ☎ 070-4694-1656
2. 총괄문의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일자리·사업화지원실
- ☎ 031-389-6322
- ktechbiz@kaia.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