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 R&D추천기술 배터리 교환형 전기버스 시스템 표준시방 및 비상대응체계
01
개요
1. 개발 배경 및 필요성
- 현재 배터리 교환형 전기버스 시스템의 경우 선행연구(전기자동차 교통안전융합체계 기술개발)의 기술개발 단계를 거쳐 테스트베드 시범 운영을 실시하였으나 시설의 표준적 기준 제시는 미흡
- 배터리 교환형 전기버스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표준적인 설치 제도/규정에 대한 연구 필요
- 전기버스 시스템 운영 시 발생하는 돌발상황의 문제 해결을 위한 비상대응체계 필요
2. 기술 개요
- 전기버스 시스템 배터리 교환 시설(QCM1))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기존 전기버스 시스템 구축/운영 단계의 설치 표준 기준 부재를 보완하기 위하여 안전성, 신뢰성, 내구성 확보를 위한 표준시방서2)마련
- 전기버스-배터리 교환시설-통합운영센터 간 발생 가능한 차량 방전, 교환설비 고장 등의 돌발상황에 대비한 비상대응시스템 방안 구축
- QCM : 배터리 교환시설, Quick Battery Changing Machine
- 표준시방서 :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를 위한 표준 시공 기준
02
기술의
특장점
1. 기존 기술 대비 차별성
구분 | 기존 기술 | 해당기술 |
---|---|---|
기능/성능 |
|
|
장단점 |
|
|
경제성 |
|
|
2. 기술 경쟁력
- 배터리 교환 시설에 대한 표준시방서 개발로 시설 안전성, 신뢰성,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비상대응체계 매뉴얼과 신규 비상대응시스템을 도입으로 전기버스, QCM, 센터 등에서 발생되는 응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운용 기술 향상
3. 경제적 효과
- 기존 천연가스버스 대비 연료비 연간 3천만 원 절감
- 버스 운수회사의 차량 유지비 연간 544만 원/대 절감
- 대기 오염 연간 1,460만 원/대 절감
03
시장성
1. 시장규모 및 성장성
- 전기 버스 세계 시장은 2016년 약 7.6만 달러에서 연평균 7.7%씩 성장하여 2022년에는 약 11.9만 달러 수준으로 전망
2. 응용분야(수요처)
- 전기버스/승용차 제작사(배터리 공급처)
- 지자체 및 운수회사

04
연구성과
정보
1. 지재권 현황
발명의 명칭 | 출원번호 | 권리현황 |
---|---|---|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 10-2017-0101925 | 출원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교체용 클램프 장치 | 10-2017-0101926 | 출원 |
2. 시험결과(시공실적) 및 시제품 현황
- 포항시 시범사업
- 2013년 10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시범사업으로 1일 3회, 약 24km 노선 운행
- 현재는 포항시 평생학습원 정기 셔틀로 운영 중
- 노선길에 따라 51kW급 배터리를 1~2개 자동으로 신속히 교체가능
- 최고 시속 80km/h, 배터리 탈부착 20,000회 가능
- 국토교통부의 안전 기준 적합성 인증 완료
- 환경부 소음 및 배출가스 인증 완료
3. 기술준비도(TRL)
- 기술 개념 확립
- 연구실 환경 검증
- 시제품 제작
- 실제 환경 검증
- 신뢰성 평가
- 상용품 제작
4. R&D 수행이력
사업명 | 교통물류연구사업 |
---|---|
과제명 | 배터리 교환형 전기버스 시스템 표준시방 및 안전인증체계 구축 연구 |
연구 기간 | 2015. 12 ~ 2017. 8 |
연구비 | 20억 원 |
05
문의
1. 기술문의
- 유도로보틱스㈜
- ☎ 031-659-8958
2. 총괄문의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일자리·사업화지원실
- ☎ 031-389-6322
- ktechbiz@kaia.re.kr
국토교통 R&D추천기술 휠체어 탑승 교통약자용 에스컬레이터 기반 운용기술
01
개요
1. 개발 배경 및 필요성
- 휠체어 탑승 교통약자에게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이동 할 수 있는 운송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
- 교통약자 환승 이동설비 설치비용 절감 및 이동시간 단축을 위한 교통약자용 에스컬레이터 개발 필요
- 선행제품(일본 개발제품)은 수평스텝 3스텝 (탑승공간 1,050mm)으로 개발되어, 탑승공간 부족, 탑승효율 저하를 나타냄
2. 기술 개요
- 휠체어 탑승자의 에스컬레이터 관련된 것으로, 일반모드로 운행 중인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 탑승자 탑승모드로 전환 시 하부 발판이 계단식이 아닌 평면을 이루어 휠체어 탑승 구간을 형성
- 휠체어 탑승자가 에스컬레이터 탑승 완료 후 운전방식으로 운전 중 탑승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요인제거하고 뒷바퀴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구성하여 안정성 확보

02
기술의
특장점
1. 기존 기술 대비 차별성
구분 | 기존 기술 | 해당기술 |
---|---|---|
기능/성능 |
|
|
장단점 |
|
|
경제성 |
|
|
2. 기술 경쟁력
- 개발제품 수평스텝 3.5스텝(탑승공간 1,250mm)확보
- (일본제품)에스컬레이터 운전 중에 교통약자가 탑승하는 방식에서(개발제품) 탑승완료 후 운전 방식으로 개발하여 추가적인 안전 확보
- 알루미늄 스텝으로 구조적인 안전성 확보
- 들림방지장치를 부착하여 운행 시 안전확보
- 정위치 고정을 위해 밀림장치를 부착하여 운행 시 안전확보
3. 경제적 효과
- 세계최초 기술개발로 인한 시장확보
- 예산절감 효과(장애인 엘리베이터 구조물 포함 설치비 약 15억 원에서 30억 원 소요되는 것에 대한 예산 10억 원 절감 효과 발생)
- 교통약자 환승 시간 단축가능, 사회활동 기회 제공
-
고용창출을 통한 생산기반구축
- 에스컬레이터 완성품업체 고용인원 1,500명, 부품업체 고용인원 2,000명 일자리 확보 가능
03
시장성
1. 시장규모 및 성장성
- 세계 휠체어 리프트 시장규모는 2017년 14억 달러에서 연평균 10%씩 성장하여 2023년 26억 달러로 성장 예상
2. 응용분야(수요처)
- 철도공사 철도역
- 서울교통공사, 인천, 대구, 부산, 광주, 대전 지하철 역사, 경전철 역사
- 다중이용시설(백화점, 마트 등)
- 자동화 운송설비도관리청 및 각 지자체 도로 운영부서, 민간도로 관리 기관

04
연구성과
정보
1. 지재권 현황
발명의 명칭 | 출원번호 | 권리현황 |
---|---|---|
에스컬레이터 휠체어 탑재구간의 0.5스텝 장치 | 10-2015-0018031 | 등록 |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 10-2016-0049401 | 등록 |
장애인 이동수단의 에스컬레이터 탑승용 대차구조 | 10-2014-0144375 | 등록 |
2. 시험결과(시공실적) 및 시제품 현황

3. 기술준비도(TRL)
- 기술 개념 확립
- 연구실 환경 검증
- 시제품 제작
- 실제 환경 검증
- 신뢰성 평가
- 상용품 제작
4. R&D 수행이력
사업명 | 철도기술연구사업 |
---|---|
과제명 | 도시철도 역사 이용객 편의성 향상기술 개발 |
연구 기간 | 2013. 12 ~ 2018. 12 |
연구비 | 1,211,000,000원 |
05
문의
1. 기술문의
- 수림엘리베이터주식회사
- ☎ 031-477-0235
2. 총괄문의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일자리·사업화지원실
- ☎ 031-389-6322
- ktechbiz@kaia.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