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 R&D추천기술 배터리 교환형 전기버스 시스템 표준시방 및 비상대응체계

01
개요

1. 개발 배경 및 필요성

  • 현재 배터리 교환형 전기버스 시스템의 경우 선행연구(전기자동차 교통안전융합체계 기술개발)의 기술개발 단계를 거쳐 테스트베드 시범 운영을 실시하였으나 시설의 표준적 기준 제시는 미흡
  • 배터리 교환형 전기버스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표준적인 설치 제도/규정에 대한 연구 필요
  • 전기버스 시스템 운영 시 발생하는 돌발상황의 문제 해결을 위한 비상대응체계 필요

2. 기술 개요

  • 전기버스 시스템 배터리 교환 시설(QCM1))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기존 전기버스 시스템 구축/운영 단계의 설치 표준 기준 부재를 보완하기 위하여 안전성, 신뢰성, 내구성 확보를 위한 표준시방서2)마련
  • 전기버스-배터리 교환시설-통합운영센터 간 발생 가능한 차량 방전, 교환설비 고장 등의 돌발상황에 대비한 비상대응시스템 방안 구축
  1. QCM : 배터리 교환시설, Quick Battery Changing Machine
  2. 표준시방서 :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를 위한 표준 시공 기준

02
기술의
특장점

1. 기존 기술 대비 차별성

구분 기존 기술 해당기술
기능/성능
  • 현재 전기버스 및 배터리 교환시설의 경우 감전, 침수, 배터리 낙하 등의 돌발상황 시 대응시스템의 부재로 지자체 관리 어려움
  • 표준시방서를 통해 배터리 교환형 전기버스 시스템 구축, 운영단계의 안전성, 신뢰성, 내구성을 확보하여 향후 배터리 교환형 전기버스 도입 시 사용 가능
장단점
  • 플러그인 충전 시스템에 비해 과다한 규모의 설치공사로 초기 투자 비용 높음
  • 연구개발을 통해 인증된 부품 모듈을 사용하고 설계 구축 운영단계에서부터 적용하여 초기 투자 비용 최소화
경제성
  • 시스템의 안전성 부족으로 돌발상황 발생 시 대응속도가 부족하며 복구 비용 과다
  • 비상대응체계 시스템(매뉴얼) 도입으로 전기버스, QCM, 센터 등에서 발생되는 돌발상황 처리 시간과 비용 최소화

2. 기술 경쟁력

  • 배터리 교환 시설에 대한 표준시방서 개발로 시설 안전성, 신뢰성,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비상대응체계 매뉴얼과 신규 비상대응시스템을 도입으로 전기버스, QCM, 센터 등에서 발생되는 응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운용 기술 향상

3. 경제적 효과

  • 기존 천연가스버스 대비 연료비 연간 3천만 원 절감
  • 버스 운수회사의 차량 유지비 연간 544만 원/대 절감
  • 대기 오염 연간 1,460만 원/대 절감

03
시장성

1. 시장규모 및 성장성

  • 전기 버스 세계 시장은 2016년 약 7.6만 달러에서 연평균 7.7%씩 성장하여 2022년에는 약 11.9만 달러 수준으로 전망

2. 응용분야(수요처)

  • 전기버스/승용차 제작사(배터리 공급처)
  • 지자체 및 운수회사
그림1 | 전기 버스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전기 버스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04
연구성과 정보

1. 지재권 현황

발명의 명칭 출원번호 권리현황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10-2017-0101925 출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교체용 클램프 장치 10-2017-0101926 출원

2. 시험결과(시공실적) 및 시제품 현황

  • 포항시 시범사업
  • 2013년 10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시범사업으로 1일 3회, 약 24km 노선 운행
  • 현재는 포항시 평생학습원 정기 셔틀로 운영 중
  • 노선길에 따라 51kW급 배터리를 1~2개 자동으로 신속히 교체가능
  • 최고 시속 80km/h, 배터리 탈부착 20,000회 가능
  • 국토교통부의 안전 기준 적합성 인증 완료
  • 환경부 소음 및 배출가스 인증 완료

3. 기술준비도(TRL)

  • 기술 개념 확립
  • 연구실 환경 검증
  • 시제품 제작
  • 실제 환경 검증
  • 신뢰성 평가
  • 상용품 제작

4. R&D 수행이력

사업명 교통물류연구사업
과제명 배터리 교환형 전기버스 시스템 표준시방 및 안전인증체계 구축 연구
연구 기간 2015. 12 ~ 2017. 8
연구비 20억 원

05
문의

1. 기술문의

  • 유도로보틱스㈜
  • ☎ 031-659-8958

2. 총괄문의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일자리·사업화지원실
  • ☎ 031-389-6322
  • ktechbiz@kaia.re.kr

국토교통 R&D추천기술 휠체어 탑승 교통약자용 에스컬레이터 기반 운용기술

01
개요

1. 개발 배경 및 필요성

  • 휠체어 탑승 교통약자에게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이동 할 수 있는 운송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
  • 교통약자 환승 이동설비 설치비용 절감 및 이동시간 단축을 위한 교통약자용 에스컬레이터 개발 필요
  • 선행제품(일본 개발제품)은 수평스텝 3스텝 (탑승공간 1,050mm)으로 개발되어, 탑승공간 부족, 탑승효율 저하를 나타냄

2. 기술 개요

  • 휠체어 탑승자의 에스컬레이터 관련된 것으로, 일반모드로 운행 중인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 탑승자 탑승모드로 전환 시 하부 발판이 계단식이 아닌 평면을 이루어 휠체어 탑승 구간을 형성
    • 휠체어 탑승자가 에스컬레이터 탑승 완료 후 운전방식으로 운전 중 탑승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요인제거하고 뒷바퀴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구성하여 안정성 확보
그림1 | 제품 모식도

02
기술의
특장점

1. 기존 기술 대비 차별성

구분 기존 기술 해당기술
기능/성능
  • 탑승공간(1,050mm확보) 수평스텝 3스텝
  • 교통약자 승하차 시에 에스컬레이터 운전 중 탑승
  • 스테인레스 재질
  • 에스컬레이터 상하부 수평부분 스텝을 4스텝으로 개발
  • 탑승공간(1,250mm확보) 수평스텝 3.5스텝
  • 교통약자 탑승 완료 후 운전방식으로 개발
  • 알루미늄 라이져 상판 가공
  • 에스컬레이터 상하부 수평부분 스텝을 5스텝으로 개발
장단점
  • 협소한 탑승공간
  • 휠체어 탑승자가 에스컬레이터 운전 중에 탑승하는 방식으로 승하차 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 현저
  • 탑승공간 추가 확보로 인해 이용자에 편리성 제공
  • 휠체어 탑승자가 에스컬레이터 탑승 완료 후 운전방식으로 운전 중 탑승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요인제거
경제성
  • 장애인 엘리베이터 비용 : 약 15억 원에서 30억 원 소요
  • 일본 규격 기반으로 개발함으로 인한 국제표준 부적합
  • 기존 설비설치 예산 대비 10억 원 이상 절감 효과
  • 국내 생산 기반 구축으로 인한 수입대체 효과(1년 약 2천억 원)
  •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개발함으로 인하여 현장적응 편리

2. 기술 경쟁력

  • 개발제품 수평스텝 3.5스텝(탑승공간 1,250mm)확보
  • (일본제품)에스컬레이터 운전 중에 교통약자가 탑승하는 방식에서(개발제품) 탑승완료 후 운전 방식으로 개발하여 추가적인 안전 확보
  • 알루미늄 스텝으로 구조적인 안전성 확보
  • 들림방지장치를 부착하여 운행 시 안전확보
  • 정위치 고정을 위해 밀림장치를 부착하여 운행 시 안전확보

3. 경제적 효과

  • 세계최초 기술개발로 인한 시장확보
  • 예산절감 효과(장애인 엘리베이터 구조물 포함 설치비 약 15억 원에서 30억 원 소요되는 것에 대한 예산 10억 원 절감 효과 발생)
  • 교통약자 환승 시간 단축가능, 사회활동 기회 제공
  • 고용창출을 통한 생산기반구축
    • 에스컬레이터 완성품업체 고용인원 1,500명, 부품업체 고용인원 2,000명 일자리 확보 가능

03
시장성

1. 시장규모 및 성장성

  • 세계 휠체어 리프트 시장규모는 2017년 14억 달러에서 연평균 10%씩 성장하여 2023년 26억 달러로 성장 예상

2. 응용분야(수요처)

  • 철도공사 철도역
  • 서울교통공사, 인천, 대구, 부산, 광주, 대전 지하철 역사, 경전철 역사
  • 다중이용시설(백화점, 마트 등)
  • 자동화 운송설비도관리청 및 각 지자체 도로 운영부서, 민간도로 관리 기관
그림2 | 세계 휠체어리프트 시장

04
연구성과 정보

1. 지재권 현황

발명의 명칭 출원번호 권리현황
에스컬레이터 휠체어 탑재구간의 0.5스텝 장치 10-2015-0018031 등록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10-2016-0049401 등록
장애인 이동수단의 에스컬레이터 탑승용 대차구조 10-2014-0144375 등록

2. 시험결과(시공실적) 및 시제품 현황

서울지하철 3호선 지축역 설치(시공 예시)

3. 기술준비도(TRL)

  • 기술 개념 확립
  • 연구실 환경 검증
  • 시제품 제작
  • 실제 환경 검증
  • 신뢰성 평가
  • 상용품 제작

4. R&D 수행이력

사업명 철도기술연구사업
과제명 도시철도 역사 이용객 편의성 향상기술 개발
연구 기간 2013. 12 ~ 2018. 12
연구비 1,211,000,000원

05
문의

1. 기술문의

  • 수림엘리베이터주식회사
  • ☎ 031-477-0235

2. 총괄문의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일자리·사업화지원실
  • ☎ 031-389-6322
  • ktechbiz@kaia.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