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4m/s 속도처리가 가능한 크로스벨트 방식 고속상자화물 분류기 기술

01
개요

1. 개요

  •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2017년 70조 원으로 택배화물 고속 처리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 고속화물처리에 필요한 분류기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자동분류기 국산화 필요
  • 해외 제품 수입으로 인한 도입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로 비용 절감을 위한 국산 초고속상자화물 상용화 필요
  • 다품종 소량 상품 구매 증가로 인해 상품 특성과 크기에 따라 화물 분류가 가능한 장비 필요

2. 기술개요

  • 물류센터 고속상자화물 분류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기존 수입에 의존하던 크로스벨트 방식 자동분류기(4m/s)의 국산화를 통해 택배 화물을 시간당 20,000개까지 처리할 수 있는 고속 분류 장치
  • 3단 가변 속도 제어방식 구현으로 다품종 상품 분류 가능
그림크로스벨트 분류기 핵심 장비

02
기술의 특장점

1. 기존 기술 대비 차별성

구분 기존기술
기능
/성능
  • 인덕션 제어 : 미쓰비시 PLC 1) 기반
  • 인덕션 모터 : SEW유로드라이브 제품
  • Carrier : 1 Unit 1 Carrier
  • Carrier 공급 전원방식 : 접촉식 전원방식
장단점
  • 3.0m/s 속도의 크로스벨트 분류기 개발하였으며 현재 최대 2.5m/s 이송속도의 크로스벨트를 판매 중
  • 소음이 심하며 시간당 최대 12,000개 화물 처리
경제성
  • 처리물량 증가에 따라 점차 속도가 빠른 초고속 분류기 개발 필요
구분 해당기술
기능
/성능
  • 인덕션 제어 : 국산 PLC 기반
  • 인덕션 모터 : 국산 LSM 2) 적용
  • Carrier : 1 Unit 2 Carrier 3)
  • Carrier 공급 전원방식 : 비접촉식 전원방식
장단점
  • 4.0m/s 이송속도의 크로스벨트 분류기 개발
  • 무소음으로 시간당 최대 20,000개 화물 처리
  • 유지보수 편의성을 위한 모듈화 설계
경제성
  • 자동화 장비 도입을 통한 인건비, 운영비 절감
  • 크로스벨트 분류기 국산화로 외산 제품 대비 약 30%이상 구축 비용 절감
  • 인력효율 40% 향상
  1. PLC : 전력선 통신, Power Line Communication
  2. LSM : 선형 동기식 모터 , Linear Synchronous Motor
  3. 1 Unit 2 Carrier Type : 한번에 2개의 물품 적재 가능한 모듈

2. 기술 경쟁력

  • 대형 상자 화물 고속 투입 구조 설계
  • 유지보수를 위한 기계 조립 방식 적용
  • 시간당 최대 투입 처리량 5,000개
  • 1 Unit 2 Carrier으로 대, 중, 소 화물 처리 가능
  • 비접촉 전원 공급장치 적용 및 고속처리 가능한 모션 제어

3. 경제적 효과

  • 크로스벨트 분류기 100% 국산화로 외산 제품 대비 약 30% 이상 구축 비용 절감
  • 물류 센터 작업시간 감소로 인건비, 운영비 절감
  • 작업 효율성 향상을 통한 물류비용 절감 및 인력효율 40% 향상

03
시장성

1. 시장규모 및 성장성

그림 컨베이어 분류 시스템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 컨베이어 분류 시스템 세계 시장은 2016년 약 8.6억 달러에서 연평균 7.1%씩 성장하여 2022년에는 약 13억 달러 수준으로 전망

2. 응용분야(수요처)

  • 우편 집중국 및 민간 택배사와 유통업체
  • 국내 외국계 물류기업
  • 항만/신공항 등 국제 물류 서비스 기업
  • 대형 유통업체
  • 국내 우편집중국
  • 쿠팡, 티켓몬스터 등 전자상거래 서비스 기업

04
연구성과 정보

1. 지재권 현황

발명의 명칭 출원번호 권리현황
초고속 물품 자동분류장치 제어시스템 10-2015-0094680 등록
벨트 컨베이어 연동형 티퍼 10-2016-0022842 등록
초고속 물품 자동분류장치용 듀얼형 캐리어 시스템 10-2015-0136846 등록

2. 시험결과(시공실적) 및 시제품 현황

  • 최대속도 및 화물처리량 등 공인인증 시험을 통한 성능 확보
  • Carrier 이송 속도 4m/s 제어 기술 확보
  • 시간당 투입량 5,000개 이상 처리

3. R&D 수행이력

사업명 교통물류연구사업
과제명 물류센터내 분류 및 피킹 작업속도 향상을 위한 고속자동화 물류장비
(고속상자화물분류기 및 렉 운반로봇)기술개발
연구기간 2014. 6 ~ 2018. 3
연구비 5,911,229,000원

4. 기술준비도(TRL)

  • 기술 개념 확립
  • 연구실 환경 검증
  • 시제품 제작
  • 실제 환경 검증
  • 신뢰성 평가
  • 상용품 제작

05
문의

1. 기술문의

  • 에스씨에스㈜
  • ☎ 032-562-6100

2. 총괄문의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일자리·사업화지원실
  • ☎ 031-389-6322
  • ktechbiz@kaia.re.kr

교통단일 카메라 기반 영상식 다차로 차량번호인식 시스템

01
개요

1. 개발 배경 및 필요성

  • 기존 차량번호 인식시스템은 각 차로마다 개별 설치가 필요하여 설치 비용 부담이 크며, 전체 차로 검지를 위해 차도 상부에 설치된 구조물(문형식)은 도로 주변 미관 손상 초래
  • 현재 주로 사용되는 구간 검지 장비인 AVI 1) 경우 카메라 1대당 1개 차로만 검지하여, 구축비를 고려하여 4-10km 간격으로 설치하고 있어 실시간 교통정보 수집률 저하
  • 교통정보 수집률 향상, 경제성 제고 및 환경 미관 개선이 가능한 고도화 및 경량화 된 시스템 개발 필요

2. 기술 개요

  • 다차로 ANPR 2) 시스템은 동영상 기반의 고성능 카메라와 실시간 번호인식 기술을 융합하여 하나의 카메라로 최대 4차로 상의 차량번호 인식 가능
  • 루프(Loop), 레이저(Laser)와 같은 외부 차량 검지기를 사용하지 않고 차로 별 통행량과 차량번호 인식 가능
  1. AVI : 차량자동인식장치,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2. ANPR : 자동차 번호판 자동 인식, Automatic Number Plate Recognition

02
기술의 특장점

1. 기존 기술 대비 차별성

구분 기존 기술
기능
/성능
  • 카메라 1대당 1차로의 차량번호인식
  • 자동차·도로교통분야 ITS 성능평가기준 95% 인식률 이상으로 최상급(1차로 인식률)
  • 루프, 레이다 등의 외부 검지기 사용
장단점
  • 전 차로 설치 시 문형식 구조물
  • 시공, 유지보수 시 전 차로의 차단으로 교통흐름 방해
  • 도로 이용자의 시각적 부담감
  • 도시 미관 저해
경제성
  • 차로 당 1대의 카메라의 설치에 따른 비용 증가
  • 차로 당 1대의 차량검지기 설치에 따른 비용 증가
구분 해당 기술
기능
/성능
  • 카메라 1대당 최대 4차로의 차량번호인식
  • 자동차·도로교통분야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성능평가기준 95% 인식률 이상으로 최상급(3, 4차로 인식률)
  • 외부 차량검지기 불필요
  • 검지영역상에서의 위빙 3) (Weaving)차량 인식
장단점
  • 설계/시공/유지보수 편리성
  • 차로 차단 최소화로 교통흐름 영향 최소화
  • 도로 이용자의 시각적 부담감 감소
  • 도시 미관 저해 최소화
경제성
  • 도입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포함한 총 소요비용(TCO)에서 50% 이상 절감 할 수 있음 ※ TCO(Total Cost of Ownership): 제작/설치원가 + 7년간 유지관리비

2. 기술 경쟁력

  • 자동차·도로교통분야 ITS 4) 성능평가기준 95%이상 인식률 확보 - 차선을 물고 가는 차량번호 인식 가능- 차량속도 및 차로 별 통행량 검출 가능
  • 기존 레이저, 루프 방식이 아닌 영상 인식 방식을 통한 다차로(3, 4차로) 구간의 영상자료 확보 가능
  • ROI 5) 영역 내 복수의 차량번호 실시간 인식 가능
  1. 위빙 : 차량이 다른 차선으로 이동하는 행위
  2. ITS : 지능형교통체계,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3. ROI : 관심 영역, Region of Interest

3. 경제적 효과

  1. 단일 카메라로 최대 4차로 상의 차량 번호 인식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기존 대비 운영 효율 212% 증가
  2. 설치비 43% 절감 가능
  3. 운영 및 유지관리비용 46% 절감 가능

03
시장성

1. 시장규모 및 성장성

  • ITS 구축 연장 목표에 근거한 ANPR 신규 수요 확대 예상
  • 교통정보 수집·제공 구간 및 도시의 구축 확대

2. 응용분야(수요처)

  • 적용처 및 응용분야 : 기존 단차로 차량번호인식 시스템이 사용되는 모든 지역/ 교통정보수집, 도로방범, 과속단속, 버스전용 차로단속/ 전자요금 징수시스템, 노후경유차량단속, 스마트톨링(원톨링), 스마트단속시스템 등
  • 수요처 : 교통정보가 필요하거나 무인 단속 시행 지역의 해당 기관/ 국토교통부, 경찰청, 한국도로공사, 국도관리청 및 각 지자체 도로 운영부서, 민간도로 관리 기관

04
연구성과 정보

1. 지재권 현황

발명의 명칭 출원번호 권리현황
단일 카메라 기반 영상 다차로 차량번호인식 시스템 교통-43 NET(교통신기술)
단일카메라를 이용한 다차로상의 차량 검지 및 차량번호인식 시스템 및 방법 10-2016-0081339 등록
단일카메라를 이용한 다차로상의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10-2017-0094625 등록
차량번호판(다차로) 인식장치용 소프트웨어 C-2017-018302 등록(프로그램)

2. 시험결과(시공실적) 및 시제품 현황

  • 시험결과 : AVI 기본성능평가(3, 4차로)-최상급/ KC인증(전자파 적합성)-적합/ IR LED 조명장치 광학시험-적합(1억 회)/ 방진, 방수 환경시험(3, 4차로)-IP66
  • 시공실적 : 오산시 4차로 ANPR 5대 설치

3. R&D 수행이력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명 다차로(3,4차로)상의 차량번호 인식률이 85%이상 성능을 가지는 단일 카메라 기반 ANPR 시스템 개발
연구기간 2014.8 ~ 2017.8
연구비 1,200,000,000원

4. 기술준비도(TRL)

  • 기술 개념 확립
  • 연구실 환경 검증
  • 시제품 제작
  • 실제 환경 검증
  • 신뢰성 평가
  • 상용품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