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탄소 저감형 압출성형패널 제조 및 단열재 모듈화 패널 시공 기술
- LEC(Low Energy Curing binder)를 사용한 압출성형패널 제조 기술
- 압출성형패널과 단열재 모듈화 기술
- 모듈화 패널 시공 기술
01
기존 기술의
문제점
- 외장재/단열재 별도 시공으로 인한 패널 연결부위 단열재 손실 면적이 큼
- 단열재 시공 후 외장재 고정 철물 용접 시공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 있음
- 외장재 고정 철물을 통한 열교 현상 발생
02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해당기술 | |
---|---|
기능/성능 |
열교 최소화 외장/단열재 모듈화 (외단열 공법 유사) |
장/단점 |
단열재 연속이음 가능 (열교현상 최소화) 화재 위험성 적음 |
경제성 | 공기 단축/시공비 절감 단열재 부착 공정 없음 (인건비 9천 원/㎡↓) |
기존기술 | |
---|---|
기능/성능 |
외장재, 단열 시공 별도 (중/내 단열 공법) |
장/단점 |
단열재 불연속 이음 화재 위험성 |
경제성 | 단열재 부착 공정 있음 |
우수성
- 국내 압출성형패널과 단열재 모듈화 제품 없음
- LEC 무기바인더를 활용한 탄소 저감형
- 압출성형제조 공정
- 압출성형패널과 단열재 모듈화를 통한 현장
- 시공성(단열재 시공공정 없음) 개선
경제적 효과
- 양생 에너지 저감을 통한 탄소 배출량/에너지 사용비 감소
- 모듈화를 통한 냉·난방 에너지 연간 9.1kWh/m 2 절감(Test-bed 측정 기준)
- 현장 단열재 부착 공정 인건비 9,000원/m 2 절감
- 비용 단열재 시공 인건비 약 9,000원/m 2 절감
- 공사기간 단열재 시공기간 단축
- 간접효과 시장 확대, 고용 창출
03
기술내용 및
시공실적
기술내용

활용 실적
- 시제품 제작 및 Test-bed 적용 단계(음성 벽산BACE 공장 내 설치)
향후 활용 전망
- 제로 에너지 하우스 기반 외장재 적용하여 건축물 열관류율 개선
- 세대 간 경계벽 시스템 적용하여 자유로운 내부 공간 확보
04
희망 수요기관 및
적용대상
수요기관 | 적용대상 |
---|---|
건설업체 | 일반/전원 주택, 저층 빌딩, 관공서 건물 |
관공서 | 공장,주차장 |
05
권리 및
인증 현황
명칭 | 권리/인증번호 | 비고 |
---|---|---|
건축물 외장 복합 단열패널의 열교차단형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 | 10-2016-0156661 | 특허 결정 |
복합 단열패널의 제조 시스템 및 복합 단열 패널의 제조공정 | 10-154073200 | 등록 |
Urethane-Urea Copolymer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성능향상 및 보수, 보강 공법 | 10-1812596 | 등록 |
06
추가기술정보
기술수준 |
---|
|
R&D 수행이력 | |
---|---|
과제명 | LEC 압출패널과 단열재 모듈화를 통한 단열성능 향상 패널 개발 |
연구기간 | 2014.07 - 2016.11 |
연구비 | 436,000,000원 |
문의 | |
---|---|
관리자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일자리·사업화지원실 031-389-6322 techbiz@kaia.re.kr |
기술 개발자 |
㈜벽산 박성은(063-830-8883) separk@bsco.co.kr |
건축
기둥 부재의 내진성능 및 내구성
극대화를 위한 PU Spray 보수·보강 공법
분사식 고분자 폴리머계 폴리우레아를 이용하여 기존에 건설된 건축·토목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신규 건설되는 구조물의 보강에 적용하기 위한 고분자 재료와 이를 적용하기 위한 스프레이식 시공 공법
01
기존 기술의
문제점
- 기존 FRP 보강공법은 FRP재료 자체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어 재료비가 고가
-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계면 발생으로 시간경과에 따른 열화, 탈락 등의 문제 발생
- 에폭시의 사용에 의한 부착력 저하 현상과 불연속성으로 인한 취성 파괴의 위험
02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해당기술 | |
---|---|
기능/ 성능 |
강성 및 연성의 성능을 동시에 확보가능한 불연속면이 없는 고분자 폴리머계 내진보강 재료를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시공 속도가 매우 빠른 기둥부 내진보수 보강공법 |
장/ 단점 |
|
기존기술 | |
---|---|
기능/ 성능 |
인장강도가 높은 FRP시트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기둥부에 감싸는 내진보강 공법 |
장/ 단점 |
|
우수성
- 기존 FRP공법에 비해 기계화시공으로 약 30%의 시공비 절약 효과
- 원가 측면에서 FRP공법 대비 약 50% 이상의 원가 절감 효과
- 본 기술은 경화시간이 30초 이내로 매우 짧은 공사기간
경제적 효과
- 수입에 의존하던 고품질의 FRP 보강 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폴리머계 보강 재료의 개발로 외화 낭비 절약 효과, 연간 약 100억 원 이상의 국가예산 절감 기대
- 세계 최초로 개발된 폴리머계 보수 보강재료 및 공법의 개발로 연간 약 100억 원 이상의 기술 수출 예상(일본 45조 시장의 0.02%를 가정)
- 비용48.0만 원/㎡
- 유지관리비보수 사용재료의 내구성이 우수
- 공사기간스프레이 방식으로 기존 공법 대비 공사기간 30%이상 단축
- 간접효과고부가가치 산업용 보강재료의 개발로 건축·토목·조선 산업의 동반성장 기대
03
기술내용 및
시공실적
기술내용

활용 실적
- 강원도 태백시 평화교 하부 교각 현장시험 시공 실시(’16.09)
향후 활용 전망
- 국토교통부 및 각 교량관리주체, 시설물관리공단 등에서 추진중인 내진 대책에 바로 적용되어 우수한 품질과 시공 비용 절감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기존에 건설된 건축·토목 구조물의 보수·보강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기둥, 보, 주차장 및 초고층 구조물의 내력기둥, 부두의 잔교, 교각, 지하철 기둥에 적용이 가능하며, 군사시설 및 국가 주요 시설물에도 적용이 가능함
04
희망 수요기관 및
적용대상
수요기관 | 적용대상 |
---|---|
국토교통부, 교육청 |
시설물관리공단, 학교건물 등 |
한국도로공사 등 | 노후화교량 관리주체 |
05
권리 및
인증 현황
명칭 | 권리/인증번호 | 비고 |
---|---|---|
구조물의 내력향상 및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보수보강 공법 | 10-1166686 | 등록 |
기둥부재의 내진성능 및 내구성 극대화를 위한 초속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조성물 | 10-1782894 | 등록 |
Urethane-Urea Copolymer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성능향상 및 보수, 보강 공법 | 10-1812596 | 등록 |
06
추가기술정보
기술수준 |
---|
|
R&D 수행이력 | |
---|---|
과제명 | 기둥부재의 내진성능 및 내구성 극대화를 위한 PU Spray 보수·보강 공법의 실용화 |
연구기간 | 2014.11 - 2016.11 |
연구비 | 770,000,000원 |
문의 | |
---|---|
관리자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일자리·사업화지원실 031-389-6322 techbiz@kaia.re.kr |
기술 개발자 |
㈜홍지 이두성(031-698-4100) Lds1970@hgdc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