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열린 월드 스마트시티 위크 행사 중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스마트시티사업단이 주관한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세미나에서 조대연 단장이 사회를 보고 있다.

스마트시티가 4차 산업혁명을 실현시킬 핵심 공간으로 부상하고 있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사업단을 이끄는 조대연 단장을 만나 스마트시티의 정의와 한국 스마트시티 발전을 위한 필수 조건에 대해 들어봤다.

스마트시티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는 상당히 다양합니다. 200가지가 넘죠. 일반적으로 스마트시티는 도시 인프라에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해서 도시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도시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사업단에서는 도시 안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시티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있고요.

세계에 많은 스마트시티들이 있는데요, 해외와 우리나라 스마트시티의 수준 차이는 어떠한가요?

스마트시티를 세계에서 최초로 시작한 나라는 한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04년에 동탄 신도시에서 유비쿼터스시티가 최초로 시작했습니다. 당시에는 초고속 광통신망을 바탕으로 도시통합센터를 설치하고, 도시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쪽으로 기술 중심의 도시를 추진했습니다.

이후 2008~2009년쯤 주로 유럽에서 에너지나 교통 등 스마트시티 솔루션이 많이 개발되기 시작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관리센터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 있는데, 2008년 계획에 들어가 2010년 문을 열었습니다. 그래서 2010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가 본격화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세계에서 스마트시티를 선도하는 도시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싱가포르를 꼽을 수 있어요. 스마트시티로 가장 유명한 바르셀로나는 세계 최대 스마트시티 행사인 ‘스마트시티 월드 엑스포 콩그레스(Smart City World Expo Congress)’를 해마다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들 스마트시티 선도 도시에 비해 현재 한국 스마트시티 기술은 다소 뒤쳐진 상태입니다.

한국이 스마트시티를 최초로 시작했음에도 해외와 기술 수준이 벌어진 이유는 무엇이라고 판단하시나요?

유비쿼터스 도시 사업은 주로 공급자 위주로 시작했고, 정부 주도의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2007년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통신이 유선에서 무선으로 넘어가는 변화가 이뤄지는데, 한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모바일에 대한 실질적인 대비를 하지 못했습니다. 이런 부분이 나중에는 스마트시티 기술 격차를 가져오게 됐습니다. 최근에 스마트시티가 한국 성장을 이끌 새로운 동력으로 부상했습니다. 향후 3년에서 5년 정도 스마트시티에 대한 집중 투자가 이뤄지면 한국이 스마트시티를 선도하는 위치에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한국을 대표하는 스마트시티는 서울과 인천 송도이며 특히 서울시의 교통 상황을 총괄 관리하는 토피스(TOPIS)는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합니다.

한국형 스마트시티를 해외에 수출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국가 간 협력을 통해 스마트시티를 해외로 수출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쿠웨이트 ‘사우스 사드 알 압둘라 신도시(South Saad Al-abdullah New City)’의 마스터 플랜과 실시설계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내년 실시설계가 마무리되면 한국형 스마트시티 수출이 본격화될 수 있다고 봅니다. 스마트시티 플랫폼 단계에서 한국 기업들이 수출한 사례가 있지만 스마트시티 수출이 본격화됐다고 보기엔 아직 일러요. 한국전력 같은 국내 공기업들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를 수출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는 상황입니다.

스마트시티가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바꿔놓을까요?

이 부분은 사실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스마트시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투자가 많이 이뤄져야 하는데, 투자가 이뤄진 만큼 효용을 발생시키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에너지를 예로 들자면, 스마트그리드를 사용한 스마트시티를 구현하려면 도시 내 신재생에너지가 보급되어야 하고, 전기자동차도 보급되어야 합니다.

세대마다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오토미터링시스템도 필요하죠. 이런 부분들이 전제되어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체제를 비로소 완성할 수 있어요. 그 과정까지 상당히 힘들죠.

이렇듯 스마트시티가 만들어지기까지 투자가 필요하고, 시간이 걸리지만 사람들은 당장의 서비스만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민들의 참여가 필수인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스마트시티가 제대로 이뤄지려면 시민들이 각각의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혜택을 볼 수 있는 상생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현재까지 스마트시티가 주는 혜택은 교통 분야에서 가장 두드러집니다. 교통정보를 제공해 사람들에게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있죠. 또한 범죄 발생을 CCTV 등을 통해 예방할 수 있어 범죄를 줄이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교통사고나 화재, 재난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파악하고 정보를 공유해 빠른 대처가 이뤄지게 하죠. 사고 발생 시 사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사후 대책을 계속해서 세울 수 있기 때문에 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도 있습니다.

한국이 스마트시티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들이 필요할까요?

스마트시티가 무엇을 추구하느냐에 따라 해답이 달라질 것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도시가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고, 스마트시티를 통해서 도시가 경쟁력이 생기면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스마트시티사업단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입장에서 스마트시티를 발전시키려면 정부 각 부서간, 부처간 공통의 협력이 일단 전제가 되어야 합니다. 스마트시티란 워낙 다양한 분야가 접목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부처나 단위 부서의 노력으로는 스마트시티 발전을 이룰 수 없습니다.

두 번째는 시민들의 참여입니다. 일방적으로 정책을 추진한다고 해서 스마트시티가 성공할 수 없어요. 시민들이 어떤 스마트시티를 만들고 싶은가에 따라서 스마트시티의 모습이 상당히 달라집니다.

그래서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시민들의 참여를 최대한 유도할 수 있어야 하죠. 스마트시티는 고도의 전문성과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시민들이 이 모든 전문성과 기술을 갖추고 있는 경우는 드물어요. 그래서 시민들의 대상으로 관련 교육이나 워크숍을 진행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와 함께 스마트시티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법이나 각종 규제들을 완화하거나 강화할 부분은 강화하는 혁신이 요구됩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이기 때문에 스마트시티 인더스트리가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야 합니다. 이러한 생태계 조성에는 정부와 민간, 시민들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임영현

사진 LS스튜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