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그린 해상교량 기술개발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 과제번호 21RDPP-C164821-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도로교통기술 | 교통시설기반기술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건설 교통 | 도로교통기술 | 교통안전기술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안전 유지관리 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시설물안전 유지관리 기술 과제유형 기초
과제명 그린 해상교량 기술개발 기획
주관연구기관 (학교)대진대학교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김성수
소속 대진대학교 직위 교수
전화번호 031-539-2011 FAX 031-539-1930
총 연구기간 2021-06-07 ~ 2022-06-06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1-06-07 ~ 2022-06-06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120,000,000 0 0 0 12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그린에너지 자급형 해상교량 기술 기획(상부구조물), 그린에너지를 적용한 해상교량의 내구성 향상 기술기획(하부구조물), 그린에너지를 적용한 해상교량 세굴 저감 기술 기획(기초구조물) 및 그린에너지 자급형 해상교량 기술 검증방안을 기획하기 위하여 총 1단계(세부 3단계)에 걸쳐 기술개발 동향 및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기술에 대한 정의 및 사업추진방향을 정립함

(1-1단계)
기술개발
동향/수요조사 실시/기술 정의/추진방향 정립

(1-2단계)
기술 개발 전략 수립/연구 내용 설정

(1-3단계)
연구 개발 과제 기획
최종목표 □ 해상교량에 활용 가능한 태양광·풍력·파력 등 그린(재생)에너지 생산 기술 및 그린에너지 연계 해상교량 운영/유지관리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 기획

□ 동 기획 연구내용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함
① 그린에너지 자급형 해상교량 기술 기획(상부구조물)
② 그린에너지를 적용한 해상교량의 내구성 향상 기술 기획(하부구조물)
③ 그린에너지를 적용한 해상교량 세굴 저감 기술 기획(기초구조물)
④ 그린에너지 자급형 해상교량 기술 검증방안 기획
연구내용 및 범위 기획연구 내용

□ 1-1단계 : 기술개발 동향 및 수요조사 실시, 기술 정의, 사업추진방향 정립

○ (이슈 및 니즈 분석) 그린에너지를 활용한 해상교량의 에너지 자립 및 활용 기술 관련, 동향 및 환경 분석을 통한 미래이슈와 니즈 도출 및 이슈 해결을 위한 대안 제시

­ 국ㆍ내외 시장, 정책, 기술, 환경, 특허 및 논문 동향 분석

* 해외 및 민간 기술개발 트렌드, 관련 법·제도(국토부 및 타 부처) 등 심층 분석

­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및 국내 인프라(기업, 연구소, 대학, 인력 등) 현황 분석
­ 개발기술에 대한 국내 수요처 의견수렴 및 시장 요구사항 분석

○ (기술의 정의 및 범위) 환경 및 동향 분석을 통한 도출된 미래이슈와 니즈를 기반으로 사업의 목적 및 개념, 기술정의 및 기술개발 범위 제시

­ 그린에너지 생산·활용 기술, 해상교량 대상 그린에너지 적용 관련 기술, 해상교량 유지관리 기술 등 관련 기술의 개념, 정의 및 범위를 기존 및 최신 자료와 동향을 반영하여 검토하고 세분화하여 제시
­ 기존 기술 수준 및 현황 등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기술개발 가능성에 대해 심층 검토

○ (사업추진방향 정립) 과학기술부문 상위계획과 국토교통 관련 정부 정책과의 관련성 및 연계성을 분석하고, 미래이슈 및 니즈, 정부정책과의 부합성 등을 토대로 이슈 해결을 위한 사업추진방향 및 기술대안의 타당성 제시

□ 1-2단계 : 기술개발 전략수립, 연구내용 설정

○ 기술개발사업 전략 수립 및 연구내용 설정

­ 비전 및 목표 제시를 통한 기술개발 전략 수립
● 기술예측ㆍ수요ㆍSWOT 분석 등을 통한 중점분야 도출 및 전략방향 정립

○ 연구개발 후보과제 우선순위 도출

­ 중점 추진분야별 연구개발 후보과제 설정 및 우선순위 도출
­ 후보과제 도출 및 과제별 기술·성과 설정
● 기술 개발의 시급성, 진보성, 파급효과 및 경제적 효과를 고려하여 과제를 도출하고, 과제 간 연계 및 중복여부 등 종합검토
● 후보과제별 기술유형(기초ㆍ원천, 응용, 실용화, 사업화 등), 성과유형(시제품, S/W, 기준ㆍ지침 등) 제시

○ 연구개발 후보과제별 과제카드 작성

­ 연구개발 목표, 기술개발 및 산업/시장 동향, 기존기술 활용방안, 기술개발 필요성, 주요연구내용, 정부지원 타당성, 기술 확보 전략, 과제규모, 최종성과물 및 활용방안 등
­ 후보과제별 연구유형(기초ㆍ원천, 응용, 실용화, 사업화 등), 성과물유형(시제품, S/W, 기준ㆍ지침, 정책제안, 표준제안 등), 시장경쟁력 확보방안, 실용화방안, 목표 TRL 단계, 제도개선 사항 등 제시

□ 1-3단계 : 연구개발과제 기획

○ 연구 목표 및 범위 설정

­ 목표 및 연구범위 설정(정량적이고 구체적인 목표)
­ 연구범위 및 핵심과제 설정

○ 세부과제(핵심 요소기술) 도출 및 연구내용 설정

­ 세부과제 연차별ㆍ단계별 기술개발 로드맵 및 성과 로드맵 제시
● 세부과제별 성과목표(정량적, 정성적)와 성과지표 설정

* 핵심 요소기술별 기술유형 및 기술성숙도(TRL) 제시

­ 과제구성에 따른 인력투입계획 및 소요예산 산정
● 연차별ㆍ단계별 예산산출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소요예산 적정성 검토(정부투자규모 대비 민간투자규모 수준 제시)

○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방안 수립

­ 기존 기술ㆍ인프라 등의 활용 및 연계 방안 수립

* 기술 수요기관의 충분한 의견수렴을 통한 실용성 확보
* 국제공동연구 파트너와 국내 관련 기관 및 전문가 분석, 활용계획 포함(필요시)

­ 컨소시엄 형태 등 최적 연구추진체계 제안

* 참여 주체별 역할과 전문영역을 고려한 바람직한 추진체계 제시

○ 성과물에 대한 활용방안 및 실용화 추진방안 제시

­ 성과분석 및 검증방안 제시

* 핵심성과별 목표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질적 성과점검(측정) 기준 및 측정방법 제시

­ 제도ㆍ정책 활용, 현장적용, 시범사업 등 구체적인 실용화 방안
­ 관련제품/기술의 해외시장 진출전략

○ 사전타당성 검토

­ (정책적 타당성) 국가 전략적 중요성,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연구개발 추진상의 위험요인과 대응방안 등에 대한 검토
­ (기술적 타당성) 기존 연구개발과의 중복성, 기술개발 계획의 우수성, 기술 수준 및 개발 성공 가능성 등에 대한 검토
­ (경제적 타당성) 경제성 분석, 경제ㆍ사회적 파급효과, 과학 기술적 파급효과 등에 대한 검토

○ 과제공모를 위한 RFP 작성 및 평가기준 설정

­ 연구목표와 내용, 추진전략 등을 바탕으로 본 과제를 공모하기 위한 RFP 작성
­ 연차별 평가를 위한 성과목표ㆍ지표ㆍ마일스톤의 설정, 평가방법 및 기준 설정

○ ?제4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21~’25)?에 따른 사업평가를 위해 ‘전략계획서’ 작성
­ 사업기획의도-수행내용-성과 간 연계성 확보를 위해 도출된 예산규모에 따라 사업 기획내용을 반영하여 작성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해상교량에 활용 가능한 태양광?풍력?파력 등 그린(재생)에너지 생산 기술 및 그린에너지 연계 해상교량 운영/유지관리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 기획 1-1단계 기술개발 동향 및 수요조사실시, 기술정의, 사업추진방향 정립
가. 국내외 정책동향
나. 국내외 시장현황 및 전망
다. 국내외 기술동향
라. 특허 분석
마. 유사·중복성 검토
바. 연구개발 인프라 분석

1-2단계 사업추진방향 도출, 기술개발 전략 수립 연구내용 설정
가. 사업추진 방향 도출
나. 사업비전 및 목표 설정
다. 기술수요조사 및 과제도출(기술예측) 방안
라. 연구개발 후보과제 우선순위

1-3단계 연구개발과제 기획
가. 기술개발 전략 수립
나. 성과물 활용방안 및 실용화 추진방안 수립
다. 개발 과제 수립의 사전 타당성 검토
라. RFP 작성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본 기획은 최종 성과물은 현황분석 보고서, 산업포트폴리오, 최종목표 및 활동 로드맵, 기술개발 효과분석 및 성과물 활용방안, 소요연구비 예산서 그리고 RFP를 포함함

□ 기획연구 결과를 통한 본 연구에서 예상되는 성과는 해상교량에서의 그린에너지 자급 기술개발과 그린에너지 적용을 통한 해상교량의 내구성 향상기술 및 해상교각의 세굴 저감 기술개발이며 다음과 같이 세분화 할 수 있다.
첫 번째, (해상교량 상부구조물) 해상교량에서의 에너지 자급을 위해 주변 환경을 이용한 그린에너지 발전?활용 기술 및 운영관리(결빙방지) 기술
두 번째, (해상교량 하부구조물) 해상교량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해상교량 하부부(교각) 전기방식 기술 표준화 및 실용화
세 번째, (해상교량 기초구조물) 해상교량 기초구조물 환경을 활용한 그린에너지 자급 기술 및 세굴 저감?대응 기술로 나눌 수 있다.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그린에너지 생산 및 보급 확대, 화석에너지의 절감, 온실가스 배출 억제 등을 통해 안전하고 청정한 에너지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예상되고 환경문제를 해결함
○ 그린에너지의 효율적 사용 기술개발로 환경과 에너지를 연계하여 친환경 건설구조물 구현, 청정 공기 공급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임
○ 해상교량 자체 그린에너지 활용기술 개발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여 에너지 안보 대응 및 산업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됨
○ 해상교량의 운영?유지관리 기술이 획기적으로 개선됨에 따라 LCC(Life Cycle Cost)관점에서 해상교량의 유지비용이 저감될 것임
○ 그린에너지 발전을 구조물 자체에서 활용함에 따라 전기의 이송수단 확보를 위한 사회적 비용이 절감됨
○ 해상교량에서의 고효율?소형화로 특화된 그린에너지 발전기술과 하부구조물의 방식기술 및 기초구조물의 세굴저감기술 확보를 통한 신산업 창출이 예상됨
○ 그린에너지 연계 해상교량 활용 시장관련 건설업계, 교량 운영업계 등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이 가능할 것임
활용방안 ○ 국내외 동향 및 현황분석과 산업계 등 수요를 중심으로 그린 해상교량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비전, 목적 및 추진전략을 마련하여 정부정책에 반영
- 산학연 수요자 및 수혜자 집단의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정책적 타당성, 기술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 확보
- 논리적 타당성이 확보된 그린 해상교량 지원체계 마련

○ 기 추진 중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백기술분야 및 필요 인프라, 정책지원 분야 발굴을 통해 국가 전략적 추진과제를 정부예산에 반영
- 신규사업 정부예산 반영 지침에 부합하는 내역사업보고서를 작성하고 필요시 정부부처 의견을 반영
- 신규사업의 소요예산, 경제적 편익 등에 대한 논리적 타당성 확보를 통해 정책적 반영도 제고

○ 그린 해상교량 발전을 위한 신규 콘텐츠 발굴 및 과제화가 가능한 형태의 RFP 작성 및 로드맵, 소요예산 등의 구체적 제시를 통해 예산반영의 실행력 제고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그린에너지 해상교량 방식 세굴 방지 발전
영문 Green Energy offshore bridge corrosion protection Scour Protection power generation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