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위성항법보정 탑재체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개발 과제번호 22GEOS-C164591-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정보 통신 | 위성 전파 | 위성항법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정보 통신 | 위성 전파 | 탑재체 관제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정보 통신 | 위성 전파 | 위성통신 네트워크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위성항법보정 탑재체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신천식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위 실장
전화번호 042-860-6114 FAX 042-860-1085
총 연구기간 2021-04-01 ~ 2027-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6,075,000,000 0 133,810,000 133,810,000 6,208,81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한국형 정밀 GPS 위치보정시스템(KASS) 개발 사업의 지속적·안정적 위성항법보정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에서 운용되는 SBAS 탑재체1식과 SBAS 탑재체를 검증하고 SBAS 탑재체를 이용한 SBAS 성능 고도화에 활용할 수 있는 지상검증장치 1식을 개발하는 사업임
본 연구개발 사업에서 개발되는 주요 기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 비행 모델급(FM: Flight Model) SBAS 탑재체 설계/제작 및 시험 기술 개발
- SBAS 탑재체의 전기적 기능 및 성능 검증을 위한 EGSE 기술 개발
※ EGSE: Electrical Ground Support Equipment
- SBAS 탑재체 우주 공간내 성능검증을 위한 궤도내 시험장치(IOT) 기술 개발
※ IOT: In Orbit Test
- SBAS 탑재체와 위성체간의 TM/TC 및 전력 인터페이스(ETB) 검증 기술 개발
※ ETB: Electronical Test Bench
- SBAS 탑재체와 위성체간 정합기술 개발
- SBAS 탑재체 환경시험(열·진공, 충격, 진동, 전자파·방사능 환경시험 등) 기술 개발
- 위성주파수 국제등록 및 위성식별코드(PRN) 확보
- SBAS 시스템에 대한 ITU-R M.1787 권고서 등록
- SBAS 탑재체 기능 및 성능 검증을 위한 지상검증장치 1식 개발
. 항법 보정신호 및 위성식별코드 생성 기술 개발
. 지상 안테나부 및 RF부 설계/제작/시험 및 설치
. KASS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지상검증장치 설치를 위한 사이트 조사 및 발굴 제시

o 연구개발 대상의 용도
- KASS 사업의 해외임차 위성의 계약종료 후에 연속적인 임무 교대로 중단없는 SBAS 서비스 제공에 직접 활용
. (APV-I급 KASS 서비스 임무교대) 동 사업에서 개발되는 SBAS 탑재체는 ‘22년 이후 제공되는 APV-I급 KASS 서비스 종료시 해당 임무교대에 활용
※ KASS 사업에서 임차했던 APV-I급 SBAS 탑재체 수명 종료에 따른 임무 교대에 직접 활용
※ 국토부는 ’14년~‘22년까지 한국형 정밀 GPS 위치보정시스템(KASS)구축을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인천 비행정보구역 내에 APV-I(Approaches with Vertical
Guidance-I)급 서비스(수평/수직 위치 정밀도: 각 16m/20m) 제공 계획 진행 중
※ 현재 APV-I급 서비스 제공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2기의 정지궤도 위성 중 첫 번째 SBAS 탑재체는 해외 위성사업자로부터 임차 계약 완료

. 2028년 위성에 대한 궤도내 시험(IOT)가 완료된 후 CAT-I급 SBAS 보정신호 우주공간 시험을 통한 CAT-I급 지상 알고리즘 성능 검증에 활용되고 2033년부터 약 2
년 간 CAT-I급 SBAS 시범서비스 추진에 SBAS 탑재체를 활용한 후 2035년 이후에는 현재 KASS 사업에서 사용할 1호기 위성 수명 종료에 따른 임무 교대 후 APV-I
급 KASS 서비스에 직접 활용

- (SBAS 서비스 성능 향상) 위성항법보정신호 성능향상(CAT-I급)을 위한 지상국 알고리즘 검증에 활용
- 현 KASS 사업에서 진행 중인 APV-I급 SBAS 서비스를 CAT-I급 위성항법보정 서비스로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지상 알고리즘 검증을 통한 KASS 시스템 성능 고도화
에 필요한 테스트베드로 직접 활용
- KASS 시스템을 구성하는 지상국에서의 알고리즘 성능 검증에 직접 활용 및 SBAS 서비스 성능향상을 위한 지상 알고리즘 시험 검증용 테스트베드로 활용
○ 연구개발 대상의 적용분야
- 이중주파수 기반의 SBAS 서비스(CAT-I급) 제공 인프라 확보 및 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확산에 기여
- (CAT-I급 SBAS 기술 국산화) 항공기 등의 안전과 직결되는 서비스이므로, 위치정보 성능향상 국산화 기술 확보 및 지속적인 서비스 성능향상 도모 기여
- 해외위성 임차 추진시 적기 위성확보가 어려우며,문제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어렵고, 임차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는데 기여
- (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확산) 항공기 안전운항 및 이/착륙 외에도 다양한 정밀 위치정보 요구 분야 (예, 차량내비, 차량 주행, 드론 비행, 어로활동, 휴대단말 및 물류추
적, 각종 사고 관련 정보수집 등) 제공 우주 인프라로 활용 기대
최종목표 정밀한 위성항법기반 시스템 구축·고도화에 필요한 위성항법보정 탑재체(1식) 및 지상검증장치개발
- SBAS 탑재체 1식 제작 및 시험
-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에 탑재하여 우주공간내 시험 검증
- 지상검증장치 1식 제작 및 시험
- 사이트 발굴 4개소 발굴
- SBAS 위성식별코드 획득
- SBAS 탑재체 위성망 국제등록
- SBAS 탑재체 ITU-R 권고서 등록
- SBAS 탑재체 및 지상검증장치에 대한 국제 및 국내 규정 준수
- 주관연구기관 부지내 지상검증장치 초기 운영 및 검증
연구내용 및 범위 ○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탑재를 위한 SBAS 탑재체 1식 개발
- SBAS 탑재체 설계, 제작, 조립?시험, 운영 등 SBAS 탑재체 기술 개발
- SBAS 안테나 및 구성부품 설계, 제작 및 시험
- SBAS 중계기 및 구성부품(능동부품, 수동부품) 설계, 제작 및 시험
- SBAS 탑재체 레벨의 각종 환경 시험 및 관련 문서 작성
- 개발 과정에 대한 PA, RAMS 및 FMEA 분석서 작성 및 관리
- SBAS 탑재체에 대한 국내 및 국제 규정 만족 입증
- SBAS 탑재체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증빙 자료 작성
- 시스템, 위성본체, 지상국, 발사체와 호환성을 갖는 SBAS 탑재체 기술 개발
- SBAS 탑재체 성능 분석, 절차 관련 국제 권고서 분석
- KASS 시스템과의 연계 사용을 위한 방안 마련
- SBAS 관련 국제 규정 및 국제 표준화를 위한 ICWG/NSP/ITU 등 SBAS 관련 국제 기고 및 회의 참석
- 비행모델 패널에 장착되는 SBAS 탑재체 비행모델 구성품 납품 및 현지 조립 (납품처 : 총괄주관연구기관)
- 총괄주관연구기관의 위성체 총 조립시험 기술 지원
- SBAS 탑재체 개발 위험도 저감을 위해 1단계와 2단계 종합화 및 시험
- SBAS 탑재체 궤도내 시험(IOT)을 통한 SBAS 탑재체 기능 및 성능 검증 주도
. SBAS 탑재체 IOT 시험과정에서 확인되는 주요 파라미터는 EIRP(Equivalent Isotropic Radiated Power), SFD(Saturation Flux Density), Gain Transfer, G/T,
Amplitude/Frequency Response, Translation Frequency 등의 항목이 포함되어야 함
- 지상에서의 SBAS 탑재체 및 궤도내 시험(IOT) 과정에서의 SBAS 탑재체 성능 확인 주도
- SBAS 탑재체 궤도내 시험(IOT)에 필요한 지상 시험 장비는 임대 활용
- 발사 및 초기운영 기술 지원
- 위성 인도 이후 SBAS 탑재체 오동작시 원인분석?복원 주도 및 기술 지원
- 우주공간에서의 SBAS 탑재체 전파송출을 위한 궤도·주파수 국제등록
- ITU-R M.1787 권고서에 SBAS 탑재체 시스템 제원 등록
- SBAS 탑재체에 대한 위성식별코드(PRN) 확보
○ SBAS 탑재체 검증을 위한 지상검증장치 1식 개발
- 송/수신 안테나 및 RF 장비 개발
- 신호생성부 관련 PRN 신호 생성 및 메시지 포맷팅 기술 개발
- SBAS 탑재체 궤도시험(IOT) 종료 후 탑재체와의 연계 시험 운용방안 마련 및 시범운용 시나리오 개발
- 지상검증장치 설치부지 조사·발굴(4개소 이상)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SBAS 탑재체 규격/예비 설계 및 지상검증장치 규격/ oSBAS 탑재체
- C 대역 수신 배열 안테나 요구사항 분석, 기능/규격 및 안테나 규격
- L 대역 송신 배열 안테나 요구사항 분석, 기능/규격 및 안테나 규격
- SBAS 중계기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기능/규격
- SBAS 중계기 패널 요구사항 분석 및 규격
- SBAS 중계기 시스템 시험장치(EGSE) 요구사항 분석, 기능/규격
- SBAS 탑재체 인증을 위한 관련 문서 작성
oSBAS 탑재체 검증용 지상검증장치
- 신호생성부(SGS) 요구사항 분석, 기능/규격
- 무선주파수부(RFS) 요구사항 분석, 기능/규격
- 사이트 요구사항 및 시험절차 분석
- 지상검증장치 인증을 위한 관련 문서 작성
oSBAS 탑재체 위성망 국제등록 및 PRN
- SBAS 탑재체 위성망 국제등록 신청
- SBAS 위성식별코드 신청
- SBAS 시스템 제원 ITU-R M.1787 개정 기고서 제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기술적 측면
- 국토부가 개발·구축 중인 초정밀 GPS 위성항법보정시스템 구축사업(KASS)과 위성항법보정(SBAS) 탑재체의 연계를 통해 대한민국 공역에서의 항공기
안전 및 위치기반 활용 기술력 제고에 기여
- 항공기 사고 예방 및 결항·지연 감소와 더불어 항공안전을 강화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 가능
- GPS와 같은 한국형 국가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기반 마련 및 국내 특성에 적합한 이온층 모델링 알고리즘 개발, 항법신호 모니터링 기술 및 항법 탑재체
구성 부품기술개발 등 원천기술 확보
※ 일부 선진국들이 선점하고 있는 SBAS 핵심기술인 레인징 신호생성기술, 이온층 모델링 기술 개발 기반 마련
-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 사업을 통해 SBAS 탑재체 기반기술 확보
. C 대역 결량/고효율 안테나 기술
. L 대역 소형 고효율 배열 안테나 기술
. L 대역 고효율 증폭기술

- SBAS 탑재체 능동부품 개발에서는 GaN Transistor와 함께 GaN 집적회로(MMIC)기반 위성용 능동부품 기술확보를 통해 Airbus, Lockheed Martin,
Boeing, BAE 등의 글로벌 기업들에 제품 공급 확대로, GaN MMIC 전력 증폭기 제품의 세계1위 기업으로의 성장이 가능함
※ RFHIC는 전세계 능동부품 공급업체와 경쟁 중이며, 본 사업을 통해 위성능동부품을 확보 가능함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위성항법보정 탑재체 개발을 통한 다목적 전공역 위성항법 보정시스템(SBAS) 구축으로 항공, 육상 및 해상, 일반 사용자에게까지 인명 안전 보정 정보
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수 있게 되어 높은 경제적 편익 기대
※ 상용위성의 고가의 임대비용으로 인해 국부 유출 방지
- 항공기, 차량, 선박, 철도 등의 운행 연료비 감소 및 소요시간 단축, 안전 강화, 환경오염 배출가스 감소 등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 창출
- 정확한 물류체계와 대중교통서비스 제공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저감, 대중교통 활성화
- 자녀, 여성, 장애인 등 노약자가 늦은 귀갓길에 부모 또는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거나 특정 지역 이탈여부 등 확인할 수 있음
- 신용카드(체크카드 포함) 결제 시 결제 가맹점의 위치를 가입자가 등록한 핸드폰의 위치와 비교하여 부정사용을 즉각 파악하여 도난사고를 예방
- 금융, 방범, 디지털 TV, 전력계통 감시, 전자상거래, 시점인증 등 국민 실생활의 편의와 안전에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신뢰성 있는 고정밀 동기신호 제공
- 자동기계조정으로 트랙터의 무인 조종이 가능하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모종이나 수확 시 중복 운행을 방지하여 시간 및 경비 절감과 농촌 노령화 대응
- 산업 규모가 커지고 있는 전 세계 위성항법 시장 선도에 동참하여 독자적 위성항법서비스 제공 국가로서의 국제적 위상 제고 및 국내 산업체 경쟁력 강화
- SBAS를 통해서 기존 보다 향상된 위치 및 시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이용하는 위치기반 서비스(LBS), 이동통신(스마트폰) 등의 응용 분야에서도 고부가가치 제품과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고 국내 기업의 관련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 및 선점 기여
- 현재의 높은 위성항법 관련 해외 의존도 축소 및 기술 자립화에 따른 수입 대체효과 및 수출 효과 기대
- 국내에서 수행하고 있는 위성산업활동 금액중 위성체 제작분야에 693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가 있음.
- 위성용 RF능동부품/모듈 개발을 통하여 세계, 국내 위성통신시스템의 경쟁력 확보를 통한 RF 전력 제품의 매출 증대 및 글로벌 리더십 확보 가능.
- 본 사업의 결과물인 MMIC는 유사 주파수대역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이 가능. 그중 경제적/한업적 으로 확장 가능한 영역이 레이더 분야. 민수용
기상/차량용 레이더와 군용의 능동주사 (AESA,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방식 레이더등 여러 부분이 그 대상으로 산업 경쟁력을 확보함.

○ 사회적 측면
- ICAO 권고사항인 이중주파수 기반의 SBAS 서비스(CAT-I급) 제공 인프라 확보 및 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확산에 기여
- (CAT-I급 SBAS 기술 국산화) 항공기 등의 안전과 직결되는 서비스이므로, 위치정보 성능향상 국산화 기술 확보 및 지속적인 서비스 성능향상 도모 기여
- (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확산) 항공기 안전운항 및 이/착륙 외에도 다양한 정밀 위치정보 요구 분야(예, 차량내비, 차량 주행, 드론 비행, 어로활동, 휴대
단말 및 물류추적, 각종 사고 관련 정보수집 등)에 활용 기대
※ 기존 GPS 신호등과 같은 전 지구 위성항법시스템이 제공하는 항법신호 처리 단말 등에서도 KASS 시스템의 SBAS 탑재체가 방송해 주파수 보정
정보를 이용 가능
- 항법위성의 자주권 확보로 국제 사회에서의 국가 신인도 제고에 기여
- 한반도 최적궤도인 동경 128.2도에 위성을 위치함으로써 한반도내 최적의 항법정밀 서비스 제공은 물론 향후 지속적인 위성항법보정서비스 제공 기반
마련
- 해외 SBAS 탑재체 제공자 위주의 운영으로 운용 문제 발생 시 적기 대처 어려움에서 탈피할 수 있는 위 성의 독자적인 개발과 운영이 가능
- 본 과제를 통하여 국내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국가 차원의 기반기술 확보와 국제적 기술경쟁력을 갖춰 관련 산업계의 적극적인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 국내의 위성사업분야에 목표매출 693억을 달성한다면 산업연구원 고용유발계수(4.68명/10억, 제조업) 적용시 324.3명의 고용 효과가 있음.
- 위성통신용 GaN 집적회로(MMIC) 기반의 RF능동부품 개발을 통하여 사회전반의 위성통신 네트워크 구성의 빠른 확대로 좀 더 빠르고 편리한 사회의 건설과 위성산업 강국으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음.
- 집적회로(MMIC) 기반의 고효율 전력증폭기 개발을 통하여, 고효율의 집적화된 위성시스템 개발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탄소배출량을 줄여서 녹색성장을 위한 green IT기술에 이바지함.
- 차세대 중형위성, RF방식 무선전력전송, 방위산업 등의 고부가 가치 창출 산업 분야에서 국내 제품의 가격 경쟁력확보와 시스템의 경쟁력 확보로 국가 산업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함.
활용방안 - (APV-I급 KASS 서비스 임무교대) 동 사업에서 개발되는 SBAS 탑재체는 ‘22년 이후 제공되는 APV-I급 KASS 서비스 종료시 해당 임무교대에 활용
. KASS 사업에서 임차한 APV-I급 SBAS 탑재체 수명 종료로 임무 교대에 직접 활용
※ 국토부는 ’14년~‘22년까지 한국형 정밀 GPS 위치보정시스템(KASS)구축을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인천 비행정보구역 내에 APV-I(Approaches with Vertical Guidance-I)급 서비스 (수평/수직 위치 정밀도: 각 16m/20m) 제공 계획 진행 중
※ 현재 APV-I급 서비스 제공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2기의 정지궤도 위성 중 첫 번째 SBAS 탑재체는 해외 위성사업자로부터 임차 계약 완료
- (SBAS 서비스 성능 향상) 위성항법보정신호 성능향상(CAT-I급)을 위한 지상국 알고리즘 검증에 활용
. KASS 사업에서 진행 중인 APV-I급 SBAS 서비스를 CAT-I급 위성항법보정 서비스로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지상 알고리즘 검증에 활용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SBAS 탑재체 SBAS 시스템 SBAS 탑재체 지상통신국 SBAS 서비스 고도화
영문 GEO Public Complex Communication Satellite SBAS Payload SBAS System SBAS Payload Communication Earth Station SBAS Service Upgrad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