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Intelligent Agent 기반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통합제어 플랫폼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21CTAP-C163595-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원자력 | 노심 핵설계 기술 | None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원자력 | 노심 핵설계 기술 | None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원자력 | 노심 핵설계 기술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Intelligent Agent 기반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통합제어 플랫폼 개발
주관연구기관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남유진
소속 부산대학교 직위 부교수
전화번호 051-510-2324 FAX 051-512-9835
총 연구기간 2021-04-01 ~ 2022-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1-04-01 ~ 2021-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160,000,000 5,334,000 48,006,000 53,340,000 213,34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본 연구는 건물부문 에너지 저감 및 제로에너지빌딩 보급 확대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로 다양한 에너지원이 존재하는 건물에서 건물에너지 이용 및 생산 상황에 맞게 최적으로 에너지를 융통할 수 있는 Intelligent Agent (Digital Twin + 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 통합 제어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함.

○ 건물의 신재생에너지 이용에 있어 기존에는 주로 단일 시스템(태양광, 지열 등)에 의존하거나 복수 이용이라 할지라도 건물 이용자의 자의적 판단이나 단순 로직에 의한 운전이 대부분이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대상 건물의 에너지 부하 및 이용 상황, 시스템 성능 등을 예측함을 물론, 디지털트윈(Digital Twin)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에 기반한 최적의 설계 대안 및 운전법을 제시할 수 있음.

○ 연구레벨에서는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의 설계를 위해 EnergyPlus, TRNSYS 등의 성능예측모델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모델 제작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운전 방법이 제시될 수 있으나, 고가의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소규모의 건물에 이러한 해석툴을 모두 적용하기에는 시간적, 비용적 어려움이 있음.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통합 시스템 성능 예측과 함께 개별 건물의 에너지 부하 및 생산 상황에 대응하는 최적 운전 알고리즘을 도출하고, 이를 모듈화하여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개발하고자 함. 또한, 디바이스 직접적용이 어려운 건물에서는 IoT와 접목하여 서버에서 인공지능으로 예측된 실시간 최적 운전법을 시스템에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함.

○ 본 연구는 단순히 연구 개발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에 적용하여 성능 개선 효과, 도입 경제성, 사용 편의성 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함.
최종목표 ○ 본 연구는 건물부문 에너지 저감 및 제로에너지빌딩 보급 확대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로 다양한 에너지원이 존재하는 건물에서 건물에너지 이용 및 생산 상황에 맞게 최적으로 에너지를 융통할 수 있는 Intelligent Agent (Digital Twin + Artificial Intelligence)기반 통합 제어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함.

○ 연구레벨에서는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의 설계를 위해 EnergyPlus, TRNSYS 등의 성능예측모델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모델 제작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운전 방법이 제시될 수 있으나, 고가의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소규모의 건물에 이러한 해석툴을 모두 적용하기에는 시간적, 비용적 어려움이 있음.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통합 시스템 성능 예측과 함께 개별 건물의 에너지 부하 및 생산 상황에 대응하는 최적 운전 알고리즘을 도출하고, 이를 모듈화하여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개발하고자 함. 또한, 디바이스 직접적용이 어려운 건물에서는 IoT와 접목하여 서버에서 인공지능으로 예측된 실시간 최적 운전법을 시스템에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함.
연구내용 및 범위 ○ 디지털 트윈 기반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성능예측모델 개발
- 재실자 상황 및 외부조건(기상조건, 지표면온도)을 반영한 에너지부하모델 구축
- 건물부하모델 + 태양광열 모듈 + 히트펌프 + 열저장장치를 결합한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모델 구축
- Unmet Load Hour, Energy Use Intensities 분석을 통한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성능예측모델 검증

○ 인공지능 기반 실내환경 및 에너지소비량 예측모델 개발
- 시스템 상세 데이터 취득 및 입력변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예측모델 Input/Output 변수 설정
- 최적의 에너지 성능을 확보하도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환경 및 에너지소비량 예측모델 개발
- 데이터마이닝, 학습알고리즘, 파라미터 등 다양한 방법론 적용 예측모델 최적화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최적 디바이스 개발
- 간편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touch-screen형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제작
- 최적제어 알고리즘 탑재 및 실시간 모니터링/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 개발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실증 사이트에 최적제어 디바이스 실제 적용

○ 현장적용을 통한 적응형 최적 제어알고리즘 개발
- 실내환경 및 에너지소비량 예측모델을 내재한 적응형 제어 프로세스 구축
- 실내외 환경, 시스템 변수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 제어알고리즘의 성능개선 및 고도화
- 개발된 핵심제어기술 적용을 통한 시스템 에너지효율 및 운영비 절감 여부 검증

○ 인공지능 탑재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작 및 현장적용
- 계측 데이터 양방향 전송 및 실시간 측정 데이터 기반 PLC 제작
- 인공지능 탑재 PLC 실증 사이트 적용 가능성 검토 및 시스템 결합

○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기반 구축 및 유지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변수 및 외기조건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구축
- 최적 제어알고리즘의 안정적 운영 및 적용성 확대를 위한 지속적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 현장 데이터 취득 및 시스템 검토를 통한 안정성 확보 등 사후관리 체계 구축

○ 최적제어 적용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용량설계 매뉴얼 구축
- 경제성 분석 시나리오 설정 및 최적 용량설계가 반영된 개발 시스템의 초기투자비용 회수기간 도출
- 성능과 비용 측면을 모두 고려한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최적 용량설계 매뉴얼 구축
- 실제 사용자 중심의 최적제어 적용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의 용량설계 매뉴얼 보급 활성화 계획 수립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1. 주관연구개발기관(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 디지털 트윈 기반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성능예측모델 개발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초기 운전 알고리즘 구축
■ 실증 사이트 모니터링 및 실측 데이터 분석

2. 공동연구개발기관(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 인공지능 기반 실내환경 및 에너지소비량 예측모델 개발
■ 시스템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 및 예측모델 성능평가?최적화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최적 제어 알고리즘 초기안 개발

3. 공동연구개발기관(주식회사 린텍) :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최적제어 디바이스 개발 및 적용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설비용량 최적화
1. 주관연구개발기관(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 디지털 트윈 기반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성능예측모델 개발
- 재실자 상황 및 외부조건(기상조건, 지표면온도)을 반영한 에너지부하모델 구축
- 건물부하모델 + 태양광열 모듈 + 히트펌프 + 열저장장치를 결합한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모델 구축
- Unmet Load Hour, Energy Use Intensities 분석을 통한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성능예측모델 검증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초기 운전로직 구축
- 태양열원과 지중열원을 이용한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의 운전 알고리즘 선행연구 조사
- 건물부하조건, 열원조건(태양열, 지중열), 시스템 조건을 반영한 초기 운전로직 구축
- 운전로직에 기반한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냉난방/축열 Operation control signal 구축

■ 실증 사이트 모니터링 및 실측 데이터 분석
- 현재 진행 중인 타 연구과제(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실증 사이트 활용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실제 운전 데이터와 디지털 트윈 기반 성능예측모델 비교검토
- 인버터 제어를 통한 시스템 에너지 소비량 절감방법 도출

2. 공동연구개발기관(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 인공지능 기반 실내환경 및 에너지소비량 예측모델 개발
-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 최적 제어기술 동향 분석 및 실태조사
- 시스템 관련 환경조건 상세 데이터 취득 및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예측모델 입출력 변수 설정
- 축열 및 냉난방 시스템 setpoint, COP, 가동 모드 등 에너지 최적 운용을 위한 초기예측모델 개발
- 인공지능 기법(ex. ANN, SVM, RF, GPR)의 정확성, 안정성, 연산속도 등의 성능 비교?분석을 통한 학습 알고리즘 선정

■ 시스템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 및 예측모델 성능평가?최적화
-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을 통한 다양한 외기조건 및 시스템 변수 패턴에 따른 학습데이터 취득
- 데이터마이닝, 시뮬레이션, 학습기법 등 다양한 방법론 적용을 통한 초기예측모델 정확도 평가 및 최적화
- 변경된 환경조건의 최적 예측모델 적응성 평가를 통한 자가학습 프로세스 구축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최적 제어알고리즘 초기안 개발
- 제어 대상인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분석을 통해 제어 요소 및 목표 도출
- 최적 예측모델을 적용한 제어 계획 수립 및 최적 에너지 성능확보를 위한 초기 제어알고리즘 개발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통한 초기 제어알고리즘 구동 여부 파악 및 성능검증

3. 공동연구개발기관(주식회사 린텍) :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최적제어 디바이스 개발 및 적용 (부산대/중앙대 협업)
- 간편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touch-screen형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제작
- 최적제어 알고리즘 탑재 및 실시간 모니터링/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 개발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실증 사이트에 최적제어 디바이스 실제 적용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설비 구축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 실증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실내외 환경 및 시스템 성능 인자 센서 제작 설치
- 열원(태양열, 지중열) 및 장비(히트펌프, 순환펌프, 축열조) 등 실제 설비기기의 이용/가동시간에 근거한 설비용량 개선안 도출
- 융복합 시스템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적정 센서 설계법 검토(위치, 개수, 정확도 등)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기술적 측면
- 인공지능 탑재형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제어 기술 개발로 참여 기업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의 연구 개발 능력 및 시스템 설계/제어 기술력이 상승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음.
- 신재생에너지원인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와 열을 융합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2025년부터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는 제로에너지빌딩(ZEB)의 필수 아이템으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음.
- 태양에너지와 히트펌프를 융합한 시스템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건물의 냉방, 난방, 전기 부하를 효과적으로 줄여주는 건물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임.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경제적?산업적 측면
- 건축물 이용 신재생에너지 융합 기술을 통해 기존의 개별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며, 국가 에너지 안보 및 경쟁력 확보에 이바지 함.
- 개발 기술이 상용화되면, 제로에너지빌딩 적용 신재생에너지 기술로써 수출 가능성이 높고 국가에너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함.
- 신재생에너지 시장에서의 건전하고 현실적인 경쟁 구조를 만들어, 전체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가격 경쟁력 상승에 이바지 함.

○ 사회적 측면
- 본 기술의 보급을 통해 건축, 설비, IT 분야는 물론 건축물 이용 인공지능 분야의 핵심인재를 양성할 수 있음. 또한, 히트펌프 냉난방 설계 및 시공인력, 통합 유지·관리 S/W와 H/W 관련 분야에서 고용 창출에 이바지 함.
-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는 기술로써 국가 전력 계획에 기여할 것이며, 건물 부문의 에너지 수요 및 공급 안정화에 이바지 함.
활용방안 ○ 디지털 트윈 기반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성능예측 모델
-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하여 건물부하패턴조건, 시스템 용량설계 및 운전조건 등에 따른 시스템 성능을 예측하고 이에 근거하여 용량설계 대안과 운전방법을 제공
- 기존 중앙집중 및 수직통합 방식에서 수평 분권화 및 소형화로 변화하는 기술 트렌드에 적합한 새로운 융합 형태의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모델 제안 (IEA EBC Annex 54: Micro generation)
- 에너지저장장치, 수요관리시스템, ICT 플랫폼, 다른 기존기술과 융합화로 변화하는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대한 획기적인 기술제공 및 관련 시장 활성화에 기여
- 최근 추진 중인 정부정책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 ‘스마트빌리지(에코델타시티)’, ‘공공기관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등에 적합한 에너지 자립형 융복합 시스템 초기 모델 제안

○ 실내환경 및 에너지소비량 예측모델 및 제어알고리즘
- 인공지능+설비 제어 융?복합 기술로 고효율 에너지 설비 및 지능형 건물제어 분야 확대 적용
- 신재생+설비+인공지능 결합에 특화된 제어알고리즘 확보로 차별화된 혁신적 기술제공
- ‘국토교통부, 지능형 건축물 인증(제2020-1028호)’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
*에너지 절약형 건축 계획(A1-01-01), 제어 및 감시(M1-04-01), 자동제어에 의한 에너지 절약기법(M2-04-02), 장비 성능?에너지 분석(S2-04-01),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통합(S3-02-03), 설비 및 에너지 최적 관리기능 (F3-01-02) 부문
- 국내 인공지능 기반 건물에너지 효율화 산업 보급과 정부 지원정책 개선을 위한 근거 자료 제공
- 개발 기술의 적응성 및 적용 확장성 확보로 에너지 절감이 요구되는 다양한 용도의 건물에너지?공조설비 분야 Row Data 제공
- 건설사, 설비 전문기업 등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 제어 및 운영 가이드라인 제공
- BEMS, EMS 요소기술로의 적용 및 인공지능 관련 연구?산업 응용 활성화에 기여

○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최적제어 디바이스
- 신재생에너지와 더불어 2가지 공조시스템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기술 분야 확대 적용
- 단순 인버터 제어가 아닌 시간별, 계절별, 부하별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최적제어로직을 탑재하여 시스템의 효율향상과 건물 에너지 저감을 위한 제어방 법 제공
- 건물부하조건, 시스템조건, 지역조건, 용량조건 뿐만 아니라 재실자의 쾌적성(Thermal comfort)까지 충족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활용
- AICBM(AI, IoT, Cloud, Big data, Mobile) 확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최적제어 기반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용량설계 매뉴얼
- 시스템 성능 및 경제성 측면을 모두 고려한 매뉴얼을 통해 발주자(건축주 등)의 의사결정 편익도모
- 실제 실무자 중심의 매뉴얼 구축 및 보급을 통해 도입 건물의 종합적인 조건에 합리적인(reasonable) 신재생 융복합 시스템 용량설계 가이드라인 제공
- 신재생에너지보급 의무화(RPS), 신재생에너지의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등 국가정책 활성화를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신재생에너지 인공지능 최적제어 디지털트윈 실증
영문 Renewable energy Artificial intelligence Optimum control Digital twin Demonstration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