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내용 및 범위 |
○ 연구내용 1: 재료개발 및 주입장치 개선- 요구 성능을 만족하는 되메움재 제품 2개 (프리믹스 제품 + 배합 가이드라인) - 공법 1) 프리팩트 굵은골재 적용 고유동성 배합 되메움에 적용하기 위한 고열전도성·고유동성 그라우트 배합 결정 및 프리믹스 제품(결합재, 잔골재, 화학혼화제 포함) 개발: 신규 주입장비 필요 - 공법 2) 버림 콘크리트형 된배합 되메움에 적용할 수 있는 고열전도성 배합비(결합재, 단위수량, 잔골재, 굵은골재)의 배합 가이드라인 (현장타설형) 제안: 일반 현장 콘크리트용 믹서 사용가능 (요구성능) (1) 열저항: 0.5 K.m/W 이상 (자갈과 함께 시공 후 기건시) (2) 부산물 사용량: 굵은 골재 무게비 70% 이상 (환경표시인증기준) ○ 연구내용 2: 공법개발 및 기술적용 - 주입장비 개선 1건: 고유동성 배합의 일괄타설 주입을 위한 장비 개선- 배합장비 특징: 재료저장 호퍼 4m3, 2축 스크류 믹서 탑재, 물 투입라인 개선 및 2축 스크류 믹서 혼합효율 개선, 혼합효율 및 토출량 증진을 위한 장비 레이아웃 변경 및 제작 되메움 공법 T/B 2건 - T/B 수행 1) 프리팩트 굵은골재 적용 고유동성 배합 되메움- T/B 수행 2) 버림 콘크리트형 된배합 되메움 - 상기 열저항 성능 규정 만족 및 T/B 운영 보고서 작성, 환경영향성 결과 확인 - 상기 공법 중 T/B를 통해 1건을 선정, 실제 공사현장에 선정 된 되메움 공법을 적용- 측정된 현장 열성능을 기반으로 지열시스템설계 프로그램(GLM software) 혹은 유효전력전송량 프로그램(한전) 등을 활용하여 전선량 감소/시공구간 축소 등의 정량적 성과를 확인 ○ 성과3: 지역현안 해결노력 - 해당 기술 분야의 전문가 8인 내외 구성, 연간 2회 이상 기술자문위원회 개최 - 위원 참석률 80% 이상 및 자체평가 70점 이상, 해당 기술관련 기관과 MOU 체결(2건 이상), MOU 체결기관과 기술세미나 개최(2회 이상) - 기술자문공증 후 의견 보고서 작성- 주관연구기관(케미우스코리아): 시공을 위한 되메움 재료의 섭외 및 이에 특화된 배합/주입 장비 개발, 계획된 2개 공법(공법 1: 프리팩트 굵은골재 적용 고유동성 그라우트 주입, 공법 2: 버림 콘크리트형 된배합 다짐)에 대한 실험시제품 생산방법 결정, 2개 공법에 대한 T/B 운영 - 공동연구기관 1(전남대학교): 실험실 및 T/B 수준에서의 되메움재 열적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흡수율, 건조속도, 배합비, 포화도) 검토, 지역전문가 인재풀 구성 및 장기적 자문단 선정, 지자체 및 관련 유관기관(한전)과의 협력방안 결정, 현장적용을 위한 장소섭외 - 공동연구기관 2(조선대학교): 배합에 따른 일반적 성능기준 측정(열저항, 유동성, 수축, 강도, 채움성능), 재료 자체 및 T/B 시공 후 중금속용출량 및 환경인증 통과 가능성 여부 검증 - 주관연구기관(케미우스코리아): 1단계의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한 공법 선정, 현장적용을 위한 실험시제품 생산(프리믹싱 배합 등), 현장적용 시공 (진행상황에 따라 지중화현장 or 지열현장 택일) - 공동연구기관 1(전남대학교): 현장열적성능검토(지중열교환 되메움인 경우 현장응답실험 (TRT), 지중화공사인 경우 매립전선 고점온도를 측정), 유관 자문단 공증을 위한 관련 학회 및 전문가 풀 구성 - 공동연구기관 2(조선대학교): T/B 및 현장적용 내용을 기반으로 한 시방서 초안 작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