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혁신을 위한 오픈소스 솔루션 개발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 과제번호 20RDPP-C158835-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국토공간개발기술 | 국토지능화 공간정보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정보 통신 | 소프트웨어 | S W 솔루션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혁신을 위한 오픈소스 솔루션 개발 기획
주관연구기관 국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강혜경
소속 국토연구원 직위 연구위원
전화번호 031-380-0344 FAX 031-380-0484
총 연구기간 2020-06-11 ~ 2021-03-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0-06-11 ~ 2021-03-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120,000,000 0 0 0 12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이 기획연구의 목표는 국제사회(UN 등), 국내 공공·산업 부문에서 요구하는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혁신을 위한 오픈소스 솔루션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하는 것임
- 재해, 평화유지 활동, 건설, 선박 등 Mission-Oriented 현장상황에서 공간정보를 수집, 분석, 공유, 대응, 관리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 현장관리 핵심기술(요소기술)과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검증하는 것
○ 이 연구와 관련있는 주요개념은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현장관리 혁신과 오픈소스, 오픈소스 솔루션 개발로 나눌 수 있음
○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 현장(現場, field)은 사물이 현재 있는 곳, 일을 실제 진행하거나 작업하는 곳, 일이 생긴 그 자리를 의미함
- 건설, 선박제조 같은 현장에서는 BIM*, AEC** 등 전통적으로 CAD같은 설계SW***와 프로세스 자동화 SW가 주류를 이룸에 따라, 시설물의 분실, 현장상황 공유 등 통합적인 현장관리에 어려움이 존재(삼성중공업 3차원지오포털 ‘Mango3D’도입 인터뷰, 2018)
*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 ** AEC (Architecture, Engineering, Construction) *** 건축, 토목, 대형 기계설비류 도면을 CAD(Computer Aided Design) 환경에서 디지타이징한 데이터
- 평화유지 활동에서도 표준 통신체계, 무기 종속적 SW가 주류를 이루고, 공간정보는 기존 제작된 지도를 활용하여 상황을 인지, 모니터링하고 있어서, 실제 현장상황을 파악·공유하기에는 한계가 존재(유엔 현장사령부 전문가 인터뷰, 2017)
- 기존 캐드기반 전통적 현장운영 SW프로세스에 공간정보를 결합하면 현장상황의 실시간 공유 등으로 업무효율 개선과 비용절감, 현장직원의 안전향상 등이 가능함
- 이에 열악한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공간정보를 수집, 분석, 공유, 대응, 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 현장관리 솔루션 수요증가
○ 현장관리 혁신과 오픈소스
- 5G, 에지컴퓨팅 등 급변하는 기술환경 속에서 현장을 관리하는 기술환경도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음
- 버클리 대학의 첼스브로 교수는 기술환경이 급변할수록 기술창출 비용과 기간을 줄이기 위해서는‘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이 필요하다고 제안함
: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개방형 혁신은 기업이 가치를 창출하는 일련의 과정과 내부자원을 외부에 공개·공유하고 외부자원을 활용하여 가치창출 시간·비용을 절감하고 부가가치는 높이는 혁신방법론임
: 개방형 혁신활동 유형에는 외부 기술구매(licensing-in), 내부 기술자산의 외부판매(licensing-out), 외부 공동연구, 내부 기술 중심 분사화(spin-off)지원, 집단지성기반 기술개발(예: open source s/w) 등이 있음
- 오픈소스(Open source)는 개방형 혁신활동 중, 다수 전문가의 참여로 기술을 지속 개선하는 ‘집단지성 활용’형 개방형 혁신활동으로,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의 제작자의 권리를 지키면서 원시코드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 혹은 오픈소스 라이선스에 준하는 모든 것을 통칭”하는 개념임
: 특히 오픈소스는 외부의 기술, 개발자 등을 활용하여 지속적인 기술개발, 확산과 중복기술개발 방지 등에 용이함
- 오픈소스는 5G, 에지컴퓨팅 등 기술환경이 다양화되고 급속하게 변화하는 기술환경 속에서 유엔 등 국제기구와 대형제조업 현장활동 혁신을 위한 기술개발 방법론으로 오픈소스가 큰 장점이 있음
- 즉, 현장을 관리하는 기술환경도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어서, 오픈소스기반의 개방형 혁신이 필요함
○ 오픈소스 솔루션 개발
- 솔루션(solution) 개발이란 수요자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자 수요자의 요구에 맞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일(옥스포드 사전)
- 오픈소스 솔루션은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준수하는 조건아래 소스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소스코드를 변경할 수 있는 오픈소스 방식으로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
- 솔루션은 수요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별 요소기술을 연계, 통합하고 수요자 요구에 맞는 추가기능이 탑재된 소프트웨어로, 솔루션 자체가 수요자 요구를 이미 반영한 것이므로 시장생존 가능성이 높을 수 있음
- 중소기업이 주도하는 국가R&D에서 솔루션 개발의 의미는 예산, 인력, 시장인지도가 낮은 중소기업이라 하더라도 R&D 성과물을 시장에 진입, 확산시키는 것을 지원하는 의미가 있음
: 국가R&D로 요소기술 개발까지만 지원할 경우 국가R&D 이후 상용화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 즉 현장검증→제품출시→실수요처와의 시범사업→신제품 시장형성→신산업 창출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중소기업이 모두 감당하기는 자본, 인력 등에 한계가 있음
: 때문에 중소기업이 주도하는 국가R&D의 경우 실수요처와의 시범사업에 이르는 과정까지 국가R&D기간 내에 수행하여 국가R&D 성과물의 상용화를 지원이 필요
최종목표 ○ 본 기획연구 사업의 목표는 국제사회(UN 등), 국내 공공·산업 부문에서 요구하는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혁신을 위한 오픈소스 솔루션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하는 것임
- 재해, 평화유지 활동, 건설, 선박 등 Mission-Oriented 현장상황에서 공간정보를 수집, 분석, 공유, 대응, 관리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 현장관리 핵심기술(요소기술)과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검증하는 것임
○ 기획연구를 통해 한국이 기술기여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기술개발 및 현장검증 사업을 기획하고자 함
- 기획연구를 통해 오픈소스 무상 사용국가라는 오명(D.Oxil 2018)을 벗고,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기술기여국으로써의 한국위상을 강화시키는 본사업을 기획하고자 함
- D.Oxil(2018)은 QGIS, GeoServer 등의 오픈소스 공간정보 커뮤니티의 개발자 등을 분석하여 국가별 기여도를 분석했는데, 60여개 국가들 중 한국은 중하위권으로 기여도가 낮음
- 캐나다 정부지원으로 GeoServer, uDig 등의 오픈소스 공간정보기술이 개발되었던 것처럼, 우리나라도 정부R&D를 토대로 글로벌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기여를 확대하도록 본사업을 기획할 예정임
○ 이 기획연구 사업에서 제시(잠정)할 본연구의 최종목표 및 세부 실행목표는 다음과 같으며, 이는 기획연구 수행과정을 통해 조정될 수 있음
- 최종 목표 :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기술개발로 한국의 기술기여국 위상강화
- 세부 목표
1. AR·IoT·Edge컴퓨팅환경 융합에 필요한 도전적 오픈소스 공간정보 기술 개발
: 오픈소스 기반 도전적 공간정보 기술 개발: Geo-AI, Geo-IoT, Geo-AR/MR, 포인트 클라우드 처리기술 등 처럼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미 개발된 신기술 중심의 공간정보기술을 오픈소스로 개발함
2. 국제기구 현장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솔루션 개발 및 현장검증
: 국제기구 현장지원 기술: 현장 상황 모니터링 및 인지, 전염병 확산 분석, 캠프 및 물류 관리 등 UN 등 현장에서 요구되어 직접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을 오픈소스 기반으로 개발
3. 오픈소스 공간정보 분야 국제 커뮤니티 주도
: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커뮤니티 지속 성장 토대: 개방형기술을 위한 국제기구 (OGGeo, LocationTech, OGC 등)의 지속적 성장에 기여하는 주도적 역할
○ 기획사업 이후 본연구 사업의 최종 목표성과는 다음 세 가지로 제시(잠정)할 예정이며, 이는 본 기획과제 제안서 평가, 선정시 제기된 사항이므로 본사업의 최종성과로 설정함
- 국제사회 기여-UN 기술 현장 지원 1건 이상
- 국내외 선도 기술 개발, 세계 오픈소스 SW 협회 및 기관 대상 1건 이상 리딩
- 국내 오픈소스 SW 도입 기관 1건 이상
연구내용 및 범위 ○ 과제제안요구서(RFP)에 명시된 기획연구의 범위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기획사업 이후 본사업에서 개발할 기술적 범위를 제시하는 것과, 본사업 추진전략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됨
- 먼저 첫 번째 범위인 기획연구 이후 본사업에서 개발할 ‘기술적 범위’제시와 관련하여 과제제안요구서(RFP)는 다음 연구내용을 명시함
* 오픈소스 기술 수요처의 요구와 현장관리 혁신에 필요한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을 고려하여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혁신 핵심기술 및 솔루션 개발
* 현장관리 혁신에 필요한 통합솔루션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간 연계방안 제시
* 현장관리 혁신에 필요한 핵심기술·솔루션 현장실증 방안제시
- 두 번째 기획연구 범위인‘사업전략 제시’와 관련하여 과제제안요구서(RFP)는 다음 연구내용을 명시함
* 기술성숙도가 높은 해외 오픈소스 관계기관과의 협업방안 모색: UN Open GIS Initiative를 주도하는 OSGeo 리더기관들과 협업중심 기술개발로 단기간 내 고품질 성과도출 및 연구성과 해외확산 방안모색
* 오픈소스 공간정보기술 수요처 의견수렴을 위한 협의체 운영
* 유엔 등 국제기구에 연구성과의 현장검증(Pilot Project)을 통하여 국내 기술의 해외 진출기반 마련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기획위원회 운영
○ AR·IoT·Edge컴퓨팅환경 융합에 필요한 도전적 연구 내용 및 성과
- 오픈소스 Geo-AI: 항공위성 데이터, 벡터데이터, 지형데이터, 시계열 데이터, PoI 데이터 및 포인트 클라우드 등 공간정보에 대한 Machine Learning/Deep Learning 모델 및 응용기술 개발
- 오픈소스 Geo-IoT: 위치 및 공간기반 Sensor 및 Actuator 연계 및 활용기술, Geo-IoT 플랫폼 개발
- 오픈소스 기반 공간정보 Edge 컴퓨팅: 대용량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적절하게 분산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컴퓨팅 기술 및 환경 개발
- 3D 공간정보 계산 기하학 라이브러리: 기존 CGAL을 개선하여 ISO 19107에서 정의하는 3차원 공간정보 연산을 처리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개발
- 3D 공간정보 공유 포털: Cesium을 대체할 수 있으며 대상의 범위를 실내/실외, 지하/지상으로 확대하며 데이터의 종류도 보다 Point Cloud, 삼각 메쉬, IFC, CityGML, IndoorGML, InfraGML 등을 모두 지원하며, 성능도 보다 개선된 3D 공간정보 공유 포털 개발
- Geo-AR/MR: Micro-Space에서 Macro-Space까지를 Seamless하게 전 지구적으로 이동하며 제공할 수 있는 AR/MR 기술 및 플랫폼 개발
- 포인트 클라우드 처리 및 가공 기술: 고해상도부터 저해상도까지, 전문적 LiDAR부터 일반 스마트폰에서 취득된 포인트 클라우드를 처리/가공하며, 객체화하는 기술 및 도구 개발
○ 국제기구의 현장 임무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솔루션 개발 및 현장검증
- Geo-IoT, 참여기반 현장 데이터 취득, 처리, 가공, 분석 솔루션 개발 및 현장검증: OpenStreetMap과 같이 일반 대중의 참여를 기반으로 수집되는 공간정보와 로봇 등의 공간정보 융합 IoT 기기에서 수집되는 공간정보의 통합, 유지관리, 품질유지, 공유 및 활용 체계 구축
* OGC와 같은 국제 표준체계로 요소기술을 수평적/수직적 연계 및 통합하는 솔루션 개발 및 국제 시범사업 수행
- Geo-IoT, Geo-AI기반 현장상황 인지 및 임무/작전 수행지원 솔루션 개발 및 현장검증: 임무 현장에서 속성, 공간정보, 텍스트, 이미지 및 비디오 데이터 그리고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취득, 가공하여 관리하며, 품질을 관리하고, 임무/작전 수행지원에 필요한 Geo-AI기반 공간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인지 솔루션 개발
- Geo-AI기반 전염병 확산 모니터링/분석 솔루션 개발 및 현장검증: 에볼라,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전염병의 확산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
○ 공간정보 오픈소스 커뮤니티 주도사업
- 공간정보 오픈소스 기술교육 개발: 본 과제로 개발되는 성과물에 대한 교육자료 구축 및 기술 교육 실시. 특히 UN 등의 현장요원에게 성과물의 설치 및 활용을 위한 교육
- 유엔 공간정보 기술협의체 (UN Open GIS Initiative) 협력지원: 유엔이 개방형 공간정보 기술수요가 있는 유엔 평화유지활동 및 지속개발협력활동(SDGs)에 개방형 공간정보 기술을 개발·보급하기 위하여 설립한 기술협의체 활동(기술개발, 기술교육, 기술전문가 파견, 사무국 운영 등)의 일부를 지원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 2020년 연구개발 목표는 “국제사회(UN 등), 국내 공공·산업 부문에서 요구하는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혁신을 위한 오픈소스 솔루션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하는 것임
○ 본 기획연구 사업의 목표는 국제사회(UN 등), 국내 공공·산업 부문에서 요구하는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혁신을 위한 오픈소스 솔루션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하는 것임
- 재해, 평화유지 활동, 건설, 선박 등 Mission-Oriented 현장상황에서 공간정보를 수집, 분석, 공유, 대응, 관리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 현장관리 핵심기술(요소기술)과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검증하는 것임
○ 기획연구를 통해 한국이 기술기여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기술개발 및 현장검증 사업을 기획하고자 함
○ 본 연구를 통한 최종 목표성과는 다음 세 가지 임
- 국제사회 기여-UN 기술 현장 지원 1건 이상
- 국내외 선도 기술 개발, 세계 오픈소스 SW 협회 및 기관 대상 1건 이상 리딩
- 국내 오픈소스 SW 도입 기관 1건 이상
○ 기획보고서에 기술된 주요 내용은 과업지시서에 명시된 사항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음
- 기술의 정의 및 필요성
- 국내외 동향 및 환경분석: 국내외 정책, 시장, 기술동향 분석, 논문 및 특허분석, 국내 인프라(기업, 연구소 등) 현황분석, 기술수요조사, 기술공급분석, 후보과제군 도출, 사업추진방향 분석(SWOT 분석)
- 기술개발 전략 및 연구내용: 기술발전 시나리오, 비전 및 목표, 기술로드맵 및 중점 추진분야, 후보과제 및 우선순위, 후보과제 상세내용
- 연구개발과제 기획: 연구목표 및 범위, 세부과제(핵심요소기술, CTE) 도출, 세부과제별 주요내용, 추진방안(연구추진체계, 오픈소스 커뮤니티 평가기준, 라이선스 등), 성과활용 및 실용화 방안
- 사전타당성 및 과제제안 요구서(RFP) (안)
○ 2020년 연구개발(기획사업) 수행흐름과 연구방법은 네 부분으로 구성됨
- 먼저 기술정의는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오픈소스 솔루션”과 관려된 주요개념과 용어를 정리하고, 기술구상을 통해 개발범위를 설정함
* 기술정의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인터넷 조사, 전문가 자문, 인터뷰를 사용할 예정임
- 기술정의를 토대로“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오픈소스 솔루션”관련 기술개발 동향 및 환경분석을 수행함
* 동향조사, 분석 연구방법으로는 특허, 논문조사, 추세, 규모, 키워드분석을 사용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검토할 예정임
* 또,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오픈소스 솔루션”관련 기술수요와 기술공급 현황을 조사양식을 이용하여 현장조사 및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함
- 기술정의 및 기술동향, 수요조사 결과를 토대로 기술시나리오와 기술로드맵을 작성하고 중점분야 및 후보과제를 도출함
* 기술개발전략(로드맵)은 전문가 협동연구, 자문회의, 현장조사를 통해 수행함
- 마지막으로 연구개발과제 기획에서는 향후 5년간 수행할 연구개발과제의 목표와 범위, 세부과제, 추진체계, 추진전략 등을 제시하고, 사전타당성과 향후 본사업의 과제제안요구서(RFP)를 제시함
* 본사업 기획을 위해서는 추진체계 등을 구성하기 위하여 유관기관 의견수렴,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수행할 예정임
○ 본 사업의 최종 성과물인 「공간정보 기반 현장관리 혁신을 위한 오픈소스 솔루션 개발사업」기획연구보고서의 목차(안) 예시는 다음과 같음
- 목 차 (예시)
1. 기술의 정의 및 필요성
1-1. 기술의 정의
1-2. 기술개발 필요성
2. 국내외 동향 및 환경분석
2-1. 국내외 정책, 시장, 기술동향 분석
2-2. 논문 및 특허분석
2-3. 국내 인프라(기업, 연구소 등) 현황분석
2-4. 기술수요조사
2-5. 기술공급분석
2-6. 후보과제군 도출
2-7. 사업추진방향 분석(SWOT 분석)
3. 기술개발 전략 및 연구내용
3-1. 기술발전 시나리오
3-2. 비전 및 목표
3-3. 기술로드맵 및 중점 추진분야
3-4. 후보과제 및 우선순위
3-4. 후보과제 상세내용
4. 연구개발과제 기획
4-1. 연구목표 및 범위
4-2. 세부과제(핵심요소기술, CTE) 도출
4-3. 세부과제별 주요내용
4-4. 추진방안(연구추진체계,
오픈소스 커뮤니티 평가기준, 라이선스 등)
4-5. 성과활용 및 실용화 방안
5. 사전타당성
6. 과제제안 요구서(RFP) (안)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외산SW 라이선스 비용절감) 국가R&D로 지자체, 공공부문 외산기술 종속성 탈피에 기여
- 중앙정부, 지자체, 산업체 등 외산 SW 활용기관에 수백억원 대의 라이센스 비용 과다청구 발생 중
- 오픈소스 공간정보 기술(기술공공재) 개발로 외산SW를 대체하여 국내 독과점 시장개선에 기여
※ 1단계 오픈소스 R&D성과로 국방부내 외산 GIS SW 일부교체 성공으로 가능성 확인, 2단계 오픈소스 R&D 기획으로 공공부문 외산SW 교체 지속확산
○ (외산SW 대체확산) 기존 국토교통 연구성과 중심으로 외산SW대체 지속확산에 기여
- 기존 국토교통 R&D 우수 성과가 국내(국방부, 농림식품부 등) 및 국제사회(UN)에 적용된 후, 활용확산에 따른 추가 기술개발 수요가 사용자들로부터 지속 도출되고 있는 상황임
- 이에 국제사회(UN), 정부(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체(선박, 반도체 등)에서 요구하는 기존 공간정보 오픈소스 연구성과 고도화와 새로운 기술개발 수요에 대응필요
- 기획연구 및 본연구개발사업 추진으로, 1단계 오픈소스 국가R&D 성과물로 외산SW를 대체한 국내 공공부문의 기술고도화 수요에 대응하고 지속적으로 외산SW를 대체, 전환, 확산하는데 기여함
○ AR·IoT·Edge컴퓨팅환경 융합에 필요한 도전적 연구 내용 및 성과
- 오픈소스 Geo-AI: 항공위성 데이터, 벡터데이터, 지형데이터, 시계열 데이터, PoI 데이터 및 포인트 클라우드 등 공간정보에 대한 Machine Learning/Deep Learning 모델 및 응용기술 개발
- 오픈소스 Geo-IoT: 위치 및 공간기반 Sensor 및 Actuator 연계 및 활용기술, Geo-IoT 플랫폼 개발
- 오픈소스 기반 공간정보 Edge 컴퓨팅: 대용량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적절하게 분산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컴퓨팅 기술 및 환경 개발
- 3D 공간정보 계산 기하학 라이브러리: 기존 CGAL을 개선하여 ISO 19107에서 정의하는 3차원 공간정보 연산을 처리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개발
- 3D 공간정보 공유 포털: Cesium을 대체할 수 있으며 대상의 범위를 실내/실외, 지하/지상으로 확대하며 데이터의 종류도 보다 Point Cloud, 삼각 메쉬, IFC, CityGML, IndoorGML, InfraGML 등을 모두 지원하며, 성능도 보다 개선된 3D 공간정보 공유 포털 개발
- Geo-AR/MR: Micro-Space에서 Macro-Space까지를 Seamless하게 전 지구적으로 이동하며 제공할 수 있는 AR/MR 기술 및 플랫폼 개발
- 포인트 클라우드 처리 및 가공 기술: 고해상도부터 저해상도까지, 전문적 LiDAR부터 일반 스마트폰에서 취득된 포인트 클라우드를 처리/가공하며, 객체화하는 기술 및 도구 개발
○ 국제기구의 현장 임무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솔루션 개발 및 현장검증
- Geo-IoT, 참여기반 현장 데이터 취득, 처리, 가공, 분석 솔루션 개발 및 현장검증: OpenStreetMap과 같이 일반 대중의 참여를 기반으로 수집되는 공간정보와 로봇 등의 공간정보 융합 IoT 기기에서 수집되는 공간정보의 통합, 유지관리, 품질유지, 공유 및 활용 체계 구축
* OGC와 같은 국제 표준체계로 요소기술을 수평적/수직적 연계 및 통합하는 솔루션 개발 및 국제 시범사업 수행
- Geo-IoT, Geo-AI기반 현장상황 인지 및 임무/작전 수행지원 솔루션 개발 및 현장검증: 임무 현장에서 속성, 공간정보, 텍스트, 이미지 및 비디오 데이터 그리고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취득, 가공하여 관리하며, 품질을 관리하고, 임무/작전 수행지원에 필요한 Geo-AI기반 공간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인지 솔루션 개발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국제기구 조달시장에서 한국경쟁력 강화) 유엔 등 국제기구중심 기술시장에서 한국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
- 유엔 공간정보·IT조달시장 규모는 약 1.8억불 정도인데, 상위 10위권 기업에 미국기업이 5개, 나머지는 스위스, 영국, 덴마크 등의 선진국 기업이 차지하고, 한국은 지난 5년 동안 35위권에 위치해 왔음
- 유엔기금으로 운영되는 유엔 IT기술시장에서 한국의 경쟁력 제고필요
○ (국제기구 내 한국리더십 강화) 기술중심 국제사회 기여로 한국의 위상제고
- 국제사회(UN)로부터 공간정보 등 한국의 기술중심 협력에 대한 지속적 요구발생
- 연구성과물의 국제기구 현장검증으로 한국의 국제사회 기여도를 높이고, 기술을 개발한 국내연구진의 해외인지도와 글로벌 역량을 제고함
○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기술기여국 위상강화) 오픈소스 공간정보 기술을 무상활용하는 국가에서 기여하는 국가로 위상정립에 기여
- 그동안 우리나라는 캐나다 정부, 미국 정부 등의 지원으로 개발된 GeoServer, PostGIS 등의 오픈소스 공간정보 기술을 많이 활용해 온 반면, 기술개발, 오류보고, 기술교육 등 국제사회에서 오픈소스 기술개발관련 기여도는 낮은 국가로 인식되어 왔음
- 국가R&D를 통해 IoT·AR·Edge Computing 등의 신기술을 오픈소스 방식으로 개발함으로써 기여없이 무상활용만 하는 국가라는 인식을 탈피하고, 신기술을 개발주도하는 기술선진국으로써의 위상을 제고함
○ (4차산업혁명 신시장 개척) 오픈소스 Smart Field 솔루션에 대한 대형제조업의 높은 시장수요에 대응하여 신시장 개척에 기여함
- 선박건조, 반도체 등 대형 제조업체의 작업현장관리 솔루션 수요증가
※「공간정보 SW활용을 위한 오픈소스 가공기술 개발」R&D사업을 통해 연구성과를 삼성중공업(거제), 현대미포조선에 적용함으로써 대규모 제조업 분야의 시장수요 확인
○ (해외시장 개척) 국제기구 현장검증으로 해외시장 기술인지도 지속 상승에 기여
- 1단계 오픈소스 R&D를 추진하는 동한 요소기술보다는 현장상황을 통합관리하는 솔루션 필요성 제기
※ 1단계 오픈소스 R&D성과를 UN본부(뉴욕) 및 남수단 현장사령부 등에서 기술검증하는 동안 통합솔루션의 필요성 제기
※ 유엔안보리 산하 Global Pulse, 영국 국방부 등도 1단계 오픈소스 R&D 기술개발협의체 참여하여 통합솔루션의 필요성 제기
- 해외국방시장, WHO 등 유엔협력기구 등 해외시장 지속발굴
※ 1단계 오픈소스 R&D성과를 성공적으로 우리나라 국방부에 적용한 사례를 토대로, 2단계 R&D시 해외 개발도상국 국방GIS분야 등 시장개척할 계획임
○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정부 R&D 성과 공개로 영세 공간정보기업 기술력 강화에 기여
- 국가R&D를 폐쇄, 독점방식으로 기술을 개발할 경우 연구성과가 특정 기업에게 종속되는 벤더 락 인(Vender lock-in effect)으로 인하여, 영세 중소기업들이 국가 R&D성과를 사용하는데 비용 등의 제약이 따르고, 연구성과 지속개발, 확산이 어려울 수 있음
- 공간정보기업 72%가 연매출 10억 미만의 영세기업(국토연구원, 2017)으로, 기술개발을 위한 예산, 고급 전문인력 보유가 어려움
- 오픈소스는 소스코드 및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개인, 스타트업 기업처럼 기술자산을 보유하지 않았더라도 새로운 기술자산을 쉽게 확보할 수 있어 1인 스타트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함
- 정부예산으로 개발된 기술을 특정기업이 독점하지 않고, 누구나 공유할 수 있는 개방형 방식으로 개발하여 재정이 열악한 벤처, 영세 중소기업이 소스코드까지 접근할 수 있는 기술공공재로 공급하여, 영세한 공간정보기업의 SW개발, 유지관리 부담 완화
- 이에 오픈소스 방식으로 국가R&D를 추진하면 ‘기술공공재’를 창출하게 되어, 특정기업에게 기술을 종속시키기 보다는 국내 여러 중소기업이 연구성과를 공동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 기술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음
활용방안 ○ 본 기획연구의 최종 성과물은 기획연구보고서와 본사업 발주를 위한 RFP(안)으로, 이 성과물을 본사업 관련 예산담당기관, 사업집행·관리기관, 기술개발 기관별로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음
-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 등 예산담당 부처: 본사업 발주여부 정책·경제 타당성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 R&D사업진행·관리기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본사업 기술개발 범위, 본사업 발주·집행·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기술개발기관(기업·학계): 본사업 기술개발 내용 및 성과목표 등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오픈소스 공간정보 IoT 융합 공간정보 현장 혁신 공간정보기반 현장 솔루션 공간정보 IoT 솔루션
영문 Open source for geospatial Open Geo-IoT Field-mission innovation Geospatial Solution for field management Open Geo-IoT solution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_KAIA 공간정보기반 현장관리 혁신을 위한 오픈소스 솔루션 개발기획(인쇄).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