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나노기술을 활용한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기술개발3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나노기술을 활용한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기술개발 과제번호 22NANO-C156177-03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건설구조재료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재료 | 세라믹재료 | 나노세라믹 복합재료기술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환경 | 위해성평가 관리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위해성 평가 관리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나노기술을 활용한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기술개발
주관연구기관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오창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정상화
소속 (재단)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직위 본부장
전화번호 02-2102-2610 FAX 02-856-5623
총 연구기간 2020-04-01 ~ 2023-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3차년도 3,632,000,000 40,000,000 326,500,000 366,500,000 3,998,5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연구개발 추진배경]
-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인력 의존적이고 무겁고 부식되기 쉬운 특성으로 시공, 유지관리, 설계 등 건설 산업 주요 과정에서 철근콘크리트 적용에 따른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는 실정임
※ 국내 건설 산업은 현재 성장한계에 직면에 있으며,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고중량, 인력작업 및 현장시공 필요 등의 특성으로 진정한 건설자동화 구현에 어려움이 존재함에 따라, 재료의 고강도·경량화, 로봇 등으로도 시공이 가능할 정도의 취급용이성 확보 등이 필요함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 등 열화로 인하여 막대한 유지보수 비용과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첨단기술 도입에 의한 선제적 유지관리 실현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음
※ 현재 설계 기준은 재료 강도의 90% 가까이 활용 가능하며, 강도 중심으로 성능이 세분화되어 있으나, 재료 강도 이외의 내구성 등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음
- 국내 건설 산업의 미래를 위하여 건설 산업의 낮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건설 산업의 혁신이 필요하며, 건설 산업 혁신의 상당부분은 성능·기능이 향상된 건설재료에 의하여 달성 가능함

[연구개발 추진 목적]
- `나노기술을 활용한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의 첨단 나노기술을 접목하여 가벼우면서 강도가 높은, 열화 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기존 콘크리트 성능을 획기적으로 뛰어넘는 콘크리트 개발 기술

[기술개발의 필요성]
- 과거부터 현재까지 새로운 구조재료 개발에 따라 건설산업과 사회의 모습이 변화하고 발전되었음
※ 건설재료, 특히 구조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구조재료가 개발되고, 새로운 구조재료를 적용한 구조물의 해석 기술, 구조설계 기술, 시공 기술 등이 순차적으로 개발됨에 따라 구조물의 형상이 변화하고, 구조물이 고층화·대형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도시, 산업, 생활 등 사회의 모습이 변화하고 발전하였음.
- 구조재료의 개발에 따른 해석·설계 및 시공 기술 개발로 구조물의 초고층화·대형화가 실현된 반면에, 지속적으로 사회적 및 환경적 문제를 야기하였으며, 이는 건설재료에 의하여 해결이 가능함.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건설에 따라 주변 환경 영향에 따른 구조물의 수명 단축 및 이로 인한 폐기물 발생, 건설 전과정에서의 자원사용, 오염물질 배출 등으로 인한 환경부하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음.
※ 해석, 설계, 시공 등으로 해결이 어려움에 따라 재료적 측면에서의 해결방안 제시가 필요함
- 글로벌 건설산업의 미래를 위하여 건설산업의 낮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건설산업의 혁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건설산업 혁신의 상당부분은 성능·기능이 향상된 건설재료에 의하여 달성 가능함
※ World Economic Forum(WEF)에서는 건설산업의 미래를 위하여 건설산업의 낮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건설산업 변화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관련 주체의 변화 방향을 제시하고, 건설산업 혁신을 위하여 새로운 소재 활용 및 새로운 기능이 부여된 첨단 건설재료의 필요성을 제시함

[정부지원 필요성]
- 본 과제는 고강도 경량 고내구 나노 콘크리트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해외기술 의존도 해소 및 세계 최고수준 기술 확보를 위한 초석 마련을 위한 개발과제임.
- 고강도 경량 고내구 나노콘크리트 기술은 건설 분야에서 모든 시설물에 적용될 수 있으나, 교량, 터널 등과 같은 고도의 건설 생산성 확보를 통한 공기 단축과 함께 안전성이 필요한 주요 사회기반 시설물에 적용함으로써 구조물의 사용성 향상 및 유지관리 비용 감소 등을 통해 국가예산을 감축할 수 있어 공공성 측면에서 접근이 필요함.
- 나노융합 건설기술 분야 전문 인력, 기술 수준, 연구 인프라 등의 미흡으로 향후 건설 기술의 해외 의존도 증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됨.
- 정부차원의 집중적인 연구개발 투자로 다른 분야 또는 기술보다 단기간에 세계적인 원천기술(World best technology) 확보가 가능한 분야로 건설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원이 될 수 있음.
최종목표 본 연구단의 연구개발 목표는 콘크리트 재료의 획기적 성능 개선을 통한 건설재료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나노기술 활용 단위중량 1.6t/m3, 압축강도 80MPa 및 내구연수 200년 이상의 경량·고강도·고내구 콘크리트를 개발하는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3개 세부의 세부별 목표는 다음과 같음.

- 내구연수 200년 이상 - 나노소재 사용 및 내부 공극 조절 기술 개발에 따른 콘크리트 내구성 향상
- 단위중량 1.6t/㎥ 이하 - 경량골재 및 마이크로-나노 솔리드 버블 기술 개발에 따른 단위중량 감소
- 압축강도 80MPa 이상 - 경량골재 사용으로 인한 강도 저하 극복 기술을 통한 압축강도 확보

[중점기술1] 나노 콘크리트 안전성 및 성능 평가 기술 확보
- 시멘트 복합체용 나노소재 성능 평가 기술 개발
- 나노 콘크리트 환경 및 인체 영향 평가 기술 개발
- 나노콘크리트 비파괴 성능평가 기술 개발

[중점기술2]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제조 기술 및 건설용 Low-Cost 벌크 나노소재 제조 기술 확보
-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재료 설계 및 역학적 성능 극대화 기술 개발
※ 나노소재-시멘트 복합체 수화 최적화/수화조직/구조제어 기술 개발
※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적용 경량·고강도 시멘트 페이스트 최적배합 개발
- 건설용 Low-Cost 벌크 나노소재 제조 및 활용기술 개발
※ 기존 대비 20% 이상 생산단가 절감 건설용 Low-Cost 벌크 CNT 제조기술 확보
※ 기존 대비 20% 이상 재료단가 절감 반응성 나노소재 활용 Low-Cost 복합 결합재 개발

[중점기술3] 경량(단위중량 1.6t/m3)·고강도(압축강도 80MPa) 나노 콘크리트 제조 기술 확보
- 나노기술 활용 고강도·경량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
- 나노기술 활용 고강도·고내구·경량 콘크리트 제조 기술 개발
- 고강도·고내구·경량 콘크리트 구조적 특성 및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내용 및 범위 [중점기술1] 나노 콘크리트 안전성 및 성능 평가 기술 개발
■ 시멘트 복합체용 나노소재 성능 평가 기술 개발
- 시멘트 복합체용 나노소재의 특성 평가기술 개발
-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의 특성 및 성능 평가기술 개발
- 시멘트 복합체용 나노소재 및 시멘트 나노 복합체의 성능평가 기술 표준화
■ 나노 콘크리트 환경 영향 평가 기술 개발
- 나노콘크리트 환경영향평가 기초자료 확보
- 나노콘크리트 수환경 유해영향 평가
- 나노콘크리트 육상환경 유해영향 평가
- 나노콘크리트용 나노소재 환경거동 및 노출평가
- 나노콘크리트용 각 소재별 LCI D/B
- 나노콘크리트 전과정 환경영향평가
■ 나노 콘크리트 인체 영향 평가 기술 개발
- 나노콘크리트 인체영향 평가 기초자료 확보
- 나노콘크리트 인체영향 평가
- 나노콘크리트 인체영향 평가 모델 및 지침(안) 마련
■ 나노콘크리트 비파괴 성능평가 기술 개발
- 나노 콘크리트와 비파괴 검사 특성 평가
- 측정, 결함 및 분산 평가
- 나노 콘크리트 결함 및 성능 평가
- 나노 콘크리트 비파괴역학성능 평가기술 분석
- 나노 콘크리트 내 결함 검출 기법 개발
- 나노 콘크리트 내 결함과 역학성능 상관관계 분석
- 비파괴 역학성능 예측 지침(안) 수립

[중점기술2]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제조 기술 개발
■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재료 설계 및 역학적 성능 극대화 기술 개발
-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수화반응/조직발현 모델링 시스템 기반 구축
-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나노/마이크로 조직발현 모델링
-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나노/마이크로 조직발현 SW 개발
- 나노소재 활용 경량·고강도·고내구성 콘크리트용 시멘트 페이스트 최적배합 개발
-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성능 극대화를 위한 조직구조 제어 기술 개발
■ 건설용 Low-Cost 벌크 나노소재 제조 및 활용기술 개발
- 건설용 Low-Cost 벌크화 가능 나노소재 후보군 선정
- 건설용 Low-Cost 벌크 CNT 생산 및 고기능화 방안 검토
- 반응성 나노소재 활용 Low-Cost 복합 결합재 배합도출
- 건설용 Low-Cost 벌크 CNT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설계(안) 개발
- 반응성 나노소재 활용 Low-Cost 복합 결합재 분산성 확보기술 개발
- 건설용 Low-Cost 벌크 CNT를 활용한 고내구·경량·고강도 콘크리트용 시멘트 페이스트 최적배합 개발
- 반응성 나노소재 활용 Low-Cost 복합 결합재 시작품 개발

[중점기술3] 경량·고강도 나노 콘크리트 기술 개발
■ 임베디드 기반 경량골재 개발
- 고강도 경량골재 제작 나노임베디드용 유기 소재 스크리닝 작업
- 실험실 기반 경량골재 콘크리트 배합 및 특성 DB에 대한 SQL 서버 시스템 기반 구축
- 복합유기소재를 경량골재에 임베디드시키는 최적화 방법 개발 및 제작된 나노임베디드 경량골재 특성 평가
- 나노임베디드 경량골재 및 강도 특성 연구
- 나노 임베디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에 대한 양생조건 및 골재 품잴의 영향 평가
- 고강도 ‘나노임베디드 경량골재’ 대량생산 방법구축 및 신뢰성 확보
- 나노 임베디드 경량골재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대한 프로토타입 제시
■ 마이크로-나노 솔리드 버블을 적용한 시멘트 복합체 합성 기술
- 마이크로-나노 솔리드 버블 소재 선정 및 적합성 평가
- 매트릭스의 점성 조절을 통한 솔리드 버블 분산성 확보
- 마이크로-나노 솔리드 버블의 표면 개질 기술 개발
- 마이크로-나노 솔리드 버블 최적화를 통한 고강도 경량화 달성
■ 나노기술 활용 경량·고강도·고내구 콘크리트 제조 기술 개발
- 나노기술 활용 콘크리트 배합설계 기술 개발
- 나노소재 활용 콘크리트 제조 기술
- 나노기술 활용 콘크리트 성능평가 기술
- 나노기술 활용 콘크리트 적용 기술
■경량·고강도·고내구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 기술
- 나노소재 결합재에 따른 내구성 평가 방법 및 영향인자 분석
- 나노소재 결합재 기반 시멘트 복합체 및 고내구·경량·고강도 콘크리트의 내구성 평가 및 분석
- 나노소재 결합재 기반 고내구·경랑·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성 평가 및 분석
- 나노소재 결합재 기반 고내구·경랑·고강도 콘크리트의 내구성 및 사용성의 성능중심평가
■ 고강도·고내구·경량 나노콘크리트 해석 기법 및 설계 기준(안) 개발
-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요구 성능 도출
-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요소 구조 거동 평가
-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구조 부재 전단 거동 분석 및 성능 평가
-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적용 대표 구조 선정 및 설계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3차년도 [중점기술1]
나노 콘크리트 성능 및 영향평가를 위한 선행 연구조사 및 전략 수립
- 시멘트 복합체용 나노소재 DB 구축 전략 수립
- 나노 콘크리트 환경 및 인체영향평가 기초자료 확보 및 분석
- 나노 콘크리트 성능평가를 위한 기존 평가 기술 분석 및 선행 연구 조사
[중점기술2]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수화반응/수화구조 조직제어 기술 및 건설용 Low-Cost 벌크 나노소재 기반 기술 개발
- 시멘트 복합체용 나노소재 선별 및 모델링 시스템 구축
- 건설용 Low-Cost 나노소재 후보군 선정 및 생산 방안 검토
[중점기술3]
경량·고강도 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 개발
- 경량골재 제조를 위한 기반 기술 개발
- 마이크로-나노 솔리드 버블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 개발
- 나노 콘크리트용 배합설계 검토 및 특성 분석
- 나노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를 위한 기반 기술 개발
-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요구성능 도출
[중점기술1]
■ 시멘트 복합체용 나노소재 조사/분석/평가
- 시멘트 복합체용 나노소재 기술 조사
- 시멘트 복합체용 나노소재 특성/성능 평가
- 시멘트 복합체용 나노소재 DB 구축 전략 연구
■ 나노콘크리트 환경영향평가 기초자료 확보
- 나노콘크리트 기초 정보 조사
- 나노콘크리트 환경영향 관련 자료 조사
■ 나노콘크리트용 각 소재별 LCI D/B
- 기존 LCI DB 검토
■ 나노콘크리트 인체영향 평가 기초자료 확보
- 나노콘크리트 기초 정보 조사
- 일반콘크리트 적용 유해성 평가
■ 나노 콘크리트와 비파괴 검사 특성 평가
- 나노 콘크리트 성능평가 기술 관련 선행 연구 조사 및 분석
- 나노 콘크리트용 검지, 분산성, 검지 및 시각화 검사 준비
- 결함과 분산성 검지를 위한 검증 기술 및 결함 시각화 기술 정립
■ 나노 콘크리트 비파괴역학성능 평가기술 분석
- 일반 콘크리트 비파괴 역학성능 평가기술 분석
- 나노 콘크리트 적용가능 비파괴 역학성능 평가기술 분석
[중점기술2]
■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수화반응/조직발현 모델링 시스템 기반 구축
- 나노 스케일 나노소재-시멘트 결합 모델식 개발 기반 구축
- 마이크로 스케일 나노-시멘트 조직/공극 발현 모델링 기반 구축
■ 활용 가능 나노소재 선별 및 기초 평가
- 시멘트 복합체에의 적용 가능 각종 나노소재 기초 평가
- 건설용 나노소재 선별 및 후보군 제시
■ 건설용 Low-Cost 벌크화 가능 나노소재 후보군 선정
- Low-Cost 생산 가능 비반응성 나노소재 후보군 선정
- Low-Cost 복합 결합재 제조용 반응성 나노소재 후보군 선정
■ 건설용 Low-Cost 벌크 CNT 생산 및 고기능화 방안 검토
- 품질수준별 CNT Low-Cost 화 기본방안 수립
- 벌크 CNT 표면 분석 및 개질 기술 개발
[중점기술3]
■ 고강도 경량골재 제작에 사용될 나노임베디드용 유기 소재 스크리닝 작업
- 경량골재 자체강도 향상을 위한 나노임베디드 소재 선별
- 경량골재 콘크리트 관련 자료 조사
■ 실험실 기반 경량골재 콘크리트 배합 및 특성 DB에 대한 SQL 서버 시스템 기반 구축
- 콘크리트 배합 및 특성 DB에 대한 SQL 서버 시스템 기반 구축
■ 마이크로-나노 솔리드 버블 소재 선정 및 적합성 평가
- 마이크로 솔리드 버블 특성 분석
- 나노 솔리드 버블 특성 분석
- 솔리드 버블 최적화를 통한 강도 발현 기작 분석
■ 나노기술 활용 콘크리트 배합설계 기술 개발
- 나노 콘크리트 배합설계 특성 분석
- 나노 소재 활용 콘크리트 특성 검토
■ 나노소재 결합재에 따른 내구성 평가 방법 및 영향인자 분석
- 콘크리트의 내구성 영향인자 조사
- 나노소재 결합재의 내구성 특성분석
- OPC 및 고내구성 콘크리트의 내구성 분석
■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요구 성능 도출
-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요구 성능 분석
- 다기능·경량 하이퍼 콘크리트 부재 설계기준 및 시공지침 분석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나노소재를 기반한 고강도 경량 뿐만아니라 고내구 콘크리트 제조기술의 선도
- 나노소재를 적용한 콘크리트의 수화 모델 정립, 역학적/구조적 특성 모델 등에 대한 원천기술의 확보
- 나노소재의 콘크리트의 수화반응부터 강도 발현 및 장기적 재료거동 평가기술의 선도.
- ISO·KS 등 기준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
- 특허권 확보 등을 통한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여 공학기술 리딩을 선도하는 역할을 담당.
- 기초연구분야부터 기술산업화분야까지의 나노 소재를 활용한 건설재료의 기술력을 선점하여 산업화에 대한 글로벌 브랜드를 구축.
- 나노의 물성은 전 분야에 기술혁신을 가져옴에 따라 신규시장의 창출 또는 기존 시장의 완전대체가 가능함.
- 경량골재의 역학적 성능개선을 통한 국내 경량콘크리트 품질의 개선 및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경량골재의 대체가능.
- 나노기술과 콘크리트 기술의 융합에 의한 전문인력 양성 및 연구 인프라 확대.
- 국내·외 유사기술이 없는 원천기술로서 건설 신재료·신기술 등 국가 건설기술 브랜드 창출에 기여.
- 건설분야에 나노기술의 융합은 보다 우수한 첨단 건설 소재의 개발 및 기존 제품의 한계성능을 초과하는 성능향상을 구현함.
- 국외에서는 이미 NT를 건설분야에 응용하는 연구가 교량 및 도로등에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세계적 정세 흐름의 외면으로 기술의 격차가 크게 발생함에 따라 국가 R&D 연구를 통한 역량 구축.
- 건설분야 원천기술 개발부터 산업화에 이르는 전주기 R&D 시스템 구축 및 국내외 인력·공동 연구성과를 취합하여 공학 네트워크 구축.
- R&D 연구를 통한 핵심 기술 및 주기적 연구를 통한 건설분야 전반에 새로운 고부가가치 기술 혁신을 유도하여 창조형·개방형 R&D 시스템으로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2001년 국내 건설시장의 규모는 약 60조원, 2010년에는 120조원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해외 건설 시장이 97년 약 9조에서 00년 약 4조 7천억 원으로 위축되어 국제경쟁력 있는 첨단 건설, 환경 기술로 해외건설시장 적극 공략할 시점임.
- 건설산업에서 2016년 국내 콘크리트 소비량(레미콘 생산량)은 연간 평균적으로 1억 6천만 m3로 약 16조의 시장규모이며, 이중 2%를 고강도 콘크리트 시장에서 본 기술로 대체가 된다면 3,200억원 수준의 시장점유가 가능함.
- 본 기술의 장점인 자중감소에 따른 밑면전단력 감소와 압축강도를 향상시켜 단면의 크기를 감소하면, 보통강도 콘크리트 기둥 보다 콘크리트의 물량을 약 10% 줄일 수 있음. 콘크리트 물량 10 %의 감소는 전체체적의 30%를 차지하는 시멘트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환산하면 약 100억원을 절감할 수 있음.
- 2000년 세계 나노소재 총 시장 규모는 4억 9250만달러 2005년에는 9억 10만달러 정도로 5년간 약 12.8% 의 연평균 성장률을 예상하고 있음.
- 나노의 물성은 선규시장의 창출 또는 기존 시장의 완전대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나노 소재 기술은 독점성이 강하며, 건설산업시장에서 대단히 큰 파급성을 지님.
- 우리나라 주택의 평균수명은 사회적·기능적·환경적 관점에서 약 20.5년으로 매우 짧음. 국내 30년 이상 노후 기반시설물의 변화 추이를 나타낸 것으로, 2014년 대비 2024년에는 2배 이상 급증으로 인하여 유지보수에 투자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에 대하여 나노 소재 개발을 통한 고강도·고내구성 건설재료의 개발로 시공 후 유지관리에 대한 경제적 효과가 가능함
- 또한, 극한지역(몽골, 러시아)과 우리나라 동절기의 경우 낮은 대기 온도로 인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억제하여 콘크리트 품질을 떨어트리지만, 고성능 나노시멘트를 이용할 경우 초기 높은 수화열가 빠른 압축강도발현으로 인해 낮은 대기온도에서도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함.
- 빠른 경화속도로 인해 초속경시멘트와 같은 특수시멘트로서 사용 가능성이 있으며, 높은 조기압축강도로 인하여 거푸집 탈형시기를 앞당길 수 있음. 이로 인해 공사비용이 절감됨에 따라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국내 건설분야의 투자 및 시장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국가 건설분야의 거점으로 해외 건설시장 진출 교두보가 가능.
- Roco(NSF)는 2015년 전세계의 NT인력이 2백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시장규모는 1조 달러로 예측하였음.
- NT분야 시장규모는 예측치가 다양하지만, 기술 분야별 비중에서는 대체적으로 소자와 소재 분야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전체시장의 80% 정도 차지할 것이라는데 일치하여 이들 분야의 인력수요 또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NT분야의 빠른 성장을 반영하여 R&D에 종사하는 나노분야 인력 또한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 됨.
- 건설 취업자는 전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0%에서 6.7%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나노 소재 개발 및 건설분야에 확대로 인한 고용 창출 효과가 가능.
활용방안 [핵심연구성과물별 활용방안]
1. 건설용 벌크 나노소재
- Low-cost 건설용 나노소재 개발은 기존 고가의 나노소재 활용성 및 경제성을 확보함으로서 다른 타 분야에서 활용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
- 나노소재는 건설분야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토목 구조용 콘크리트 뿐만 아니라 건축분야, 지반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
- 건설용 소재뿐만 아니라 나노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분야로의 가능성 확보
2. 나노 임베디드 경량골재 / 마이크로-나노 솔리브 버블 경량 매트릭스
- 기존 경량골재의 단점(강도 등)을 극복한 기술개발을 통해 경량 구조물 시장의 새로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경량골재 고유의 장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기술임
- 마이크로-나노 솔리드 버블 합성 기술은 콘크리트의 경량화를 위한 대체기술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며 경량골재와 함께 2차 제품으로 활용이 가능
- 최근 건축자재에 대한 기능성 및 활용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내열, 내화재 구성재료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
3. 나노소재 활용 시멘트 복합체 / 경량·고강도·고내구 나노 콘크리트
- 터널, 수리구조물, 원전구조물 등 유지보수가 힘든 콘크리트 구조물에 활용
- 건축물 지하층 등 지하시설물이나 교량, 터널, 댐, 수리시설물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균열 및 누수 시에 그 피해가 크게 확산되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아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상황임.
- 일반적인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사회기반시설물이나 특수구조물의 경우 초기 시공 시 비용이 더 소요되더라도 균열예방과 유지관리가 안정적인 공법이 요구됨.
- 염해, 균열, 동결융해 등의 복합적 열화로 인한 손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콘크리트 포장에 개발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하고 고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음
- 기존 콘크리트 구성기술과 차별화하여 획기적인 요소기술 개발을 통해 신개념의 구성배합기술을 도출하여 접목함으로써 콘크리트 기술력 향상의 전환점 마련이 가능함.

[실용화 · 제품화 방안]
- 건설용 벌크 나노소재는 최적 생산설계 라인을 구축함으로써 건설자재로서 시장확보가 가능
- 나노기술을 활용한 경량골재는 기존의 경량골재 단점을 극복함으로서 원천기술 확보와 동시에 경량구조물의 자재로서 시장성 확보 가능
- 경량콘크리트 기준 동등 이하 단위중량을 확보함으로서 기존 시장 대체 기술로 2차 제품으로 활용 가능

[미래원천 기술 확보]
- 나노기술 활용 콘크리트 핵심원천기술을 선점하고 이를 통해 관련 미래선도 창의형 연구개발 가능
- 본 연구수행을 통해 기초기술뿐만 아니라 선진기술에 개발과 적용을 통해 국내시장에서의 자생력확보와 더 나아가 해외 시장분야 확대적용에 대한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
- 건설용 나노소재 제조 및 활용 메커니즘 해석과 소재에 대한 원천기술을 습득 확보함으로써 기존 선진 나노소재 활용 기술을 적용 요청시에 장시간과 고비용 소요를 개선하여 국내 적용기술 향상뿐만 아니라 해외 기술분야 적용이 가능하게 됨.
- 나노 소재 및 활용 기술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경량/고강도/고내구성을 확보함으로써 건설용 재로서서의 한계점을 극복한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대외적으로 보유기술 홍보를 통한 기술력 확인이 가능

[신산업 창출]
- 나노기술 활용 콘크리트는 구조물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2차제품 성형제품을 개발 적용시에 보다 더 폭넓은 콘크리트 시장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경량 / 고강도/고내구성을 확보한 나노 콘크리트는 구조체의 손상시에 큰 위험을 초래하는 원전구조물이나 핵폐기물처리 시설물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성 및 내구성 등을 확보함으로써 사회적 위험요소 제거산업에 진입 가능 예상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나노콘크리트 경량 고강도 성능평가 저가나노소재
영문 Nano-Concrete Light-weight High-strength Performance evaluation Low-cost nano-material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