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건축·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 개발 사업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 과제번호 19RDPP-C155081-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국토정책 계획 | 국토정책 적용분야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2순위 건설 교통 | 건설 환경설비 기술 | 친환경건축물 설계 시공 관리기술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건설 환경설비 기술 | 건물일체형 신재생에너지설비 설계 시공 관리기술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건축·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 개발 사업 기획
주관연구기관 (주)이노싱크컨설팅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정지윤
소속 (주)이노싱크컨설팅 직위 대표이사
전화번호 0313607540 FAX 0303-3445-8288
총 연구기간 2019-12-10 ~ 2020-12-09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9-12-10 ~ 2020-12-09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300,000,000 0 0 0 30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O 인구 고령화, 인구의 도시 집중으로 인한 도시화 가속과 이로 인한 에너지 및 자원 고갈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현대 사회는 산업과 기술 간 융복합화를 통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유엔 경제사회국(UN DESA)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세계 인구 중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 비율은 55%로, DESA는 향후 약 30년 사이 25억명이 도시 지역에 새로 정착, 2050년 기준 세계 도시인구 비율이 68%에 이를 것으로 전망
* 특히 이 기간 도시 인구 증가의 90%는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어, 저소득 또는 중저소득 국가의 팽창하는 도시에 대한 성공적 관리가 지속가능한 개발의 핵심 이슈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
O 신재생에너지 기술과 건축기술의 융복합화를 통해 도시의 에너지 생산량과 소비량 총합이 제로(0) 또는 플러스(+)상태로 유지되는 제로(플러스)에너지도시 구현 가능
- 기존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 작업을 통해 전면 재건축 없는 제로에너지도시 목표 달성을 위한 에너지 최적화 구현 필요
- 이와 동시에 건축자재 및 건설기술, 리모델링 기술 등에 대한 고도화를 통해 신규 건축물의 제로 또는 플러스에너지화를 통한 도시의 '에너지 재생'수단 마련 필요
* 기축건물의 에너지 소모 최소화 및 신규 건물의 플러스에너지화를 통해 도시 차원의 건물에너지 최적화 구현
O 이에 동 기획연구는 건설, 자재, 리모델링, 신재생에너지 연계 등 기축건물 및 신규건물의 에너지 최적화를 위한 요소기술을 고도화하고, 나아가 관련 신산업 창출을 독려하며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건물/도시에너지분야 신규 연구개발 사업의 기획을 추진하고자 함
- 도시 구성요소에 기반한 도시 일체형 신재생에너지 적용 및 건물부하/생산 등 요소기술 실증 중심의 사업 기획 추진
-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및 수검 간 대응을 통해 본 기획연구에서 도출될 사업이 정부의 국가에너지정책 로드맵 계획에 맞게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안의 목표 중 하나
최종목표 O (가칭)건물 및 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 개발 사업 상세 기획 및 예비타당성조사 수검
- 건물 신재생 및 융복합 산업분야의 요소기술 고도화와 국내 관련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통해 에너지 믹스 전환을 비롯한 미래 건물 및 도시 에너지 산업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연구개발 지원사업인 (가칭)건축.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개발사업을 기획하고,
- 동 기획연구의 수행을 통해 도출된 성과물을 기반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 예비타당성조사 전, 후 기간동안 관련 자료 제작 및 수시 대응이 필요한 다양한 사안에 대해 즉시 응대함으로서 신규 기획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함
연구내용 및 범위 O 신규 사업 기획
- (기존/유사사업 진단) 타 기관, 타 부처에서 수행한 유사 사업 분석을 통해 신규 사업 기획의 시사점 도출
* (기존/유사사업 비교분석) 신규 기획 사업과 유사한 기 수행 사업의 주요 특징 분석
* (문제점 및 개선 이슈 도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사업의 문제점 등 시사점을 도출하고, 신규 사업의 개선 이슈 및 차별성 확보 방안 제시
- (국내외 산업 환경 및 R&D 현황 분석) 신규 기획 사업 및 유관분야의 국내외 정책, 시장, 기술 동향과 국내 산업계의 R&D 역량 분석
* (정책/시장/기술동향 분석) 신규 기획 사업 및 유관분야의 관련 정책 및 상위계획, 시장현황과 산업규모, 주요 기술개발 동향 등을 분석하여 국내외 현황 파악
* (기술수준 및 R&D현황 분석) 기술수준조사, 특허 및 논문분석, R&D 인프라 분석 등을 통해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 논문/특허 동향 및 주요 구성원의 기술경쟁력, 향후 유관분야 기술개발의 방향성 도출 및 투자 효율성 제고방안 등을 조사
- (사업 기획) 기존 사업 진단 및 환경 분석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건축 및 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과 유관산업의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개발 지원 사업 기획
* (사업 전략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신규 R&D사업 기획을 위한 기본 방향과 사업 비전, 목표, 추진전략 등을 수립하고, 신규 사업 추진 시 예상되는 기대효과 및 미래사회 청사진 제시
* (사업 세부과제 기획) 기술수요조사, 기업 참여의향 조사 등을 통해 수요처의 니즈를 반영한 내역사업 및 세부과제 pool을 구성하고, 기획위원회와 기술위원회를 운영하여 신규사업의 내역사업과 세부과제를 확정하며 분야별, 요소기술별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트리 및 중장기 기술개발 로드맵을 제시
* (사업 운영 및 관리방안 수립) 사업 추진 주체별 역할, 운영위원회 구성방안, 연구개발인력 투입계획을 수립하고 사업 성과 목표 및 지표, 성과 관리와 활용 방안을 설정
* (사업 투자계획 및 재원조달 방안) 유사사업의 사업규모를 참고하여 R&D 추진 및 사업 운영을 위한 소요예산을 산출하고, 주관부처 연구개발 일몰계획 등을 바탕으로 재원조달 방안 수립
* (간담회 및 공청회 개최) 기획 내역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이해관계자 대상 간담회 및 공청회 실시
- (사업 타당성 분석) 신규 기획 사업의 기술적, 정책적, 경제적 타당성 및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향후 예비타당성조사 전 기술성평가 등에 대응
* (기술적 타당성 분석) 기술개발계획의 적정성, 성공 가능성, 기회요인 및 위협요인 검토
* (정책적 타당성 분석) 상위계획과의 관련성 및 연계성, 사업 추진 타당성 검토
* (경제적 타당성 분석) 과제별 소요예산을 바탕으로 투입 비용 대비 편익, 효과 검토
* (파급효과 분석) 과학기술적 파급효과,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추정
O 예비타당성조사 수검
- (기획보고서 작성 및 예비타당성조사 대응)
* 기획연구보고서,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서 및 민간검토위원회, 기술성평가 자료 등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위한 자료를 작성하고, 예비타당성조사 전, 후 기간 수시 대응이 필요한 다양한 사안에 대해 응대하여 신규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O 에너지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건물 및 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 개발 사업 상세 기획
- 에너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건물 신재생 및 융복합 산업의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지원할 건물 및 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 개발 사업 (가칭 건축.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 개발 사업)을 기획하고,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 수검하며 해당 기간 예비타당성조사용 자료 제작 및 관련 문의 등에 대해 즉시, 수시 응대함으로서 기획된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도록 지원
1. 타 기관, 타 부처의 기존 및 유사 사업 분석을 통해 기존 및 유사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 이슈를 도출, 이를 신규 사업 기획의 시사점으로 활용
2. 신규 기획 사업 및 유관분야의 국내외 정책, 시장, 기술 동향을 조사하고, 해당 분야의 국내 기술수준과 국내 산업계의 R&D 역량(특허, 논문 및 연구개발 인프라)을 진단하여 해당 분야의 정책, 시장, 기술 및 연구개발 여건이 정부 주도 대형 R&D 사업의 신규 추진에 적합한 상황인지 분석
3. 기존 사업 진단 및 환경 분석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신규 사업의 전략체계 및 추진전략 수립, 세부과제 기획, 운영 및 관리방안 수립, 투자계획 및 재원조달방안 수립 등 건축/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과 유관산업의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개발 지원 사업을 기획하고, 분야별 요소기술별 기술 트리 및 중장기 기술개발 로드맵 제시
4. 이해관계자 대상 간담회 및 공청회를 통해 신규 기획 사업에 대한 의견 수렴
5. 신규 기획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에 앞서, 기획된 사업의 기술적, 정책적, 경제적 타당성 및 동 사업의 추진을 통해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과학기술적,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에 검토하여 예비타당성조사 수검 전 기술성평가에 선제적으로 대응
6.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위해 신규사업 기획내역을 연구보고서 형태로 작성하고, 주관부처의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서 작성 및 예비타당성조사 수검 전 민간검토위원회, 기술성평가 자료 작성 등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및 수검 기간 주관기관 지원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O 기술적 기대효과
- 다양한 도시 유형 제로에너지화를 위한 재생에너지기반 차세대 지역냉난방 리모델링 기술 확보
- 건물 신재생에너지의 도시단위 확대를 위한 건물 일체형 신재생에너지 기술 고도화
* 다양한 건물 유형 맞춤형 신재생에너지 설치 및 활용 기술 확보
- 커뮤니티 단위 에너지 전환, 저장, 공유 기술 확보에 따른 신도시 및 노후화 도시의 도시 경쟁력 확보
* 재생에너지 기반 다양한 에너지 공급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도시단위 에너지 수요관리를 통한 열/전기 에너지 이용 효율 극대화 가능
- 다양한 미활용 및 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의 에너지 공급에 따른 SPC 활성화 및 분산에너지 사업자를 통한 에너지 공유 및 거래 시장을 위한 기술 확보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O 정책적 기대효과
- 국내 제로에너지건축 의무화 추진을 위한 제로에너지건축 보급 확산을 뒷받침할 수 있으며, 신규건축물 및 신도시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 및 노후화된 도시에 대한 리모델링을 통해 그린 리모델링 제도 지원 및 확산에 적합함
- 다양한 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의 에너지 공급 및 공유에 따른, 소비자의 에너지 공급자 선택권 확대를 통한 에너지산업 민주화 실현 가능
-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부합하고, 지구 온난화 및 탄소배출등 환경 문제 개선 및 신재생에너지 수용성 한계 극복 가능
* 정부 및 지자체 중심의 에너지 효율화/에너지 복지를 통한 국민 생활 체감형 기술 실증 실현 가능
O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 제로에너지도시화를 통한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화관련 신산업 창출
* 건물뿐만 아니라 도시단위의 에너지 수요관리/생산/공급 산업 활성화에 따른 신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증대
- 정부 및 지자체 중심의 에너지전환 정책 주도에서 에너지 SPC의 적극적인 참여 및 활성화로 다양한 민간중심의 에너지전환 산업 증대
* 도시단위 에너지 리모델링 시장 관련 신산업 창출 및 건물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중심 리모델링 시장 활성화와 일자리 증대
- 재생에너지시장이 국민의 새로운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건물 및 도시단위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민간주도로 선순환 확장
* 현재 건축산업이 신도시, 신축 공동주택 개발에 치우친 한계를 뛰어넘어 재생에너지중심의 리모델링 시장으로 변화되면서 건축산업 활성화 및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 창출
- 국내 제로에너지도시 관련 건축 산업의 역량 강화를 통해 해외 진출 및 주요 제로에너지도시 선도국가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회 마련
활용방안 O 동 기획 결과를 기초로 국토교통 R&D 사업에서 건물 및 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개발 추진
- 기획결과 도출되는 기술개발 로드맵을 기반으로 국토교통부의 R&D사업 추진 가능
O 한국형 에너지 최적화 건물 및 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 확보를 통한 에너지 이슈에 대한 대응역량 강화 및 비즈니스화
- 에너지 생산 및 소비의 주요 부분으로서 한국의 실정에 최적화된 건물 및 도시분야 에너지 최적화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
- 건물 및 도시의 다양한 에너지 이슈를 해결하고 국내 적용을 기반으로 해외 진출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로의 발전 기대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건축/도시 에너지 최적화 도시 에너지 전환 탄소중립 도시 메타볼리즘 제로(플러스) 에너지 도시
영문 Building/Urban Energy Optimization Urban Energy Transition Carbon Neutral Urban Metabolism Zero(Plus) Energy City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건축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개발 사업 기획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