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미래 공존형 자율주행 혁신사업 기획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 과제번호 19RDPP-C152714-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도로교통기술 | 교통시설기반기술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건설 교통 | 도로교통기술 | 교통운영관리기술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도로교통기술 | 자동차기반기술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미래 공존형 자율주행 혁신사업 기획
주관연구기관 (주)더비엔아이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김윤명
소속 (주)더비엔아이 직위 대표이사
전화번호 02-3476-5500 FAX 02-3476-5590
총 연구기간 2019-04-29 ~ 2020-04-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9-04-29 ~ 2020-04-28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200,000,000 0 0 0 20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미래 공존형 자율주행 혁신사업’ 기획 필요성
- (시장 패러다임 급변) 자동차기술과 ICT기술의 융합으로 인한 산업생태계 급변 및 모빌리티 서비스의 확산으로 향후 자율주행차 시장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자율주행 필요성 증가) 지속적인 고령화 인구 증가 및 `30년 이후 인구감소로 인한 자율주행 필요성 증가
- (기술경쟁력 확보 시급) 자율주행차 시장이 확대될 전망임에 따라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이나 국내 자율주행 기술수준은 부족한 실정
- (투자여력 부족) 선도그룹과 기술격차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의 연구개발집약도는 글로벌 부품업체에 비해 열악한 수준
- (상용화 기반 부족)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서는 R&D와 함께 융합생태계 형성 및 상용화를 위한 기반구축이 필수적이나 현재는 매우 부족한 상태
- (국민수용성 증대 필요) 운전 주체가 전환되는 자율주행차의 특성상 상용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국민수용성의 확보가 필요

■ ‘미래 공존형 자율주행 혁신사업’ 비전 및 목표(안)
- (비전) 자율주행 신산업 육성을 통한 안전하고 편리한 국민의 삶 실현 : ‘27년 레벨 4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 완성
- (목표) ①AICBM 기반 자율주행 융합신산업 기술개발을 통한 기술수준 최고국 대비 90% 이상 달성, ②레벨 4 자율주행 상용화 기술 구현을 위한 주요 관련 법·제도 4개 개정안 수립, ③국민체감형 실증 및 홍보를 통한 자율주행차 국민신뢰도 80% 이상 달성
최종목표 최종 목표는 3단계로 나누어 진행
1. 기획 단계
1) 예상 목표 : 과학기술적, 정책적,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한 ‘미래 공존형 자율주행 혁신사업’ 기획에 따른 보고서 산출
2) 연구 내용
■ 자율주행차 관련 국내외 현황 분석
■ 기존 사업과의 차별성 및 연계방안
■ 분야별(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차량융합 신기술, 클라우드융합 신기술) 신규 R&D사업 기획
- 세부기술 내용
- 세부기술 목표
- 세부기술 로드맵
- 세부기술 예산 등
■ 미래 공존형 자율주행 혁신사업의 타당성 분석

2. 예비타당성조사 단계
1) 예상목표 : 기술성평가 통과,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2) 연구내용
■ 기술성평가 발표자료 작성
■ 기술성평가 결과(안)에 대한 부처검토의견서
■ 기획보고서 보완
■ 사업설명회 발표자료 작성
■ 1차, 2차, 3차 답변서 작성

3. 기획사업 추진(기술개발 단계)
1) 예상목표 : 사업기획 내용에 따른 사업운영체계 구성과 실질적 수행 추진, 기획 단계에서 도출한 세부기술 개발 및 기술별 목표 달성
2) 연구내용
■ 세부기술별 추진 로드맵에 따른 연구개발
■ 기술개발 내용에 따른 연구 추진 및 성과창출
연구내용 및 범위 □ 본 기획연구는 국토교통부의 신규 R&D사업인 ‘미래 공존형 자율주행 혁신사업’ 기획을 추진하며 이를 위해 △국내외 현황분석, △기존 사업과의 차별성 및 연계방안 도출, △신규 R&D사업 기획, △사업추진 당위성 확보를 위한 타당성(정책/기술/경제) 분석,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및 대응 등을 핵심 내용으로 수행
○ (국내외 현황분석) 자율주행차 관련 주요 선진국 및 국내의 기술개발 동향 및 트랜드 변화, 정책/투자동향, 산업/시장동향 조사?분석을 통해 본 사업 수행의 필요성과 기술개발 방향을 정립
- 핵심기술 개념 및 범위 정립, 글로벌 메가트렌드 및 이슈 정립과 변화 동인 분석, 국내외 정책 및 기존 사업·시장·기술 현황분석 등을 통한 시사점 도출
○ (기존 사업과 차별성 및 연계방안)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수준 분석 및 기존 사업·과제 등의 투자현황 및 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신규사업을 통해 추진되는 기술개발 과제의 차별화 전략 및 연계방안을 마련
○ (신규사업 기획) △중점과제 및 세부기술개발과제 기획, △사업 필요성 및 시급성, △정부지원 타당성 및 정책 부합성, △사업 비전, 추진전략, 추진방안, 추진체계, △사업운영?관리 및 예산확보 방안 등 사업기획 수행
○ (사업홍보 및 의견수렴) 예비타당성조사 과정에서 사업 기획의 충실성 및 체계성 확보를 위해 자율주행차 관련 산학연 전문가와 예상 소비자의 수요반영을 위한 공청회 등 수행
- 홍보 및 의견수렴 등 수행 시 사업의 개념, 개발기술, 개발의 효과 등에 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시나리오(발표 및 홍보자료) 등 작성 추진
○ (사업 타당성 분석) 신규사업의 수행과 관련하여 당위성 검증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수행 세부지침’에 따른 정책적,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수행
○ (예비타당성조사 대응) △예비타당성조사 접수, △기술성 평가 발표 및 질의응답, △기획보고서 보완, △주관부처 사업설명회, △예비타당성조사 연구진(KISTEP) 질의응답 등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수행을 통한 통과율 제고 추진
- 최종적으로 사업의 종합검토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반영하며, 실질적인 사업추진 및 수행 방향성을 제시

□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을 위하여 주요 연구단계를 Phase와 Step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의 연구결과가 다음 단계와 연계되어 최적의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 프레임을 구축
○ [Phase 1] 자율주행차 국내외 현황분석
- Step 1. 자율주행차 핵심기술 개념 정립 및 범위, 사전 이해 고도화
- Step 2. 기술 메가트렌드 및 이슈 정립과 변화 동인 분석
- Step 3. 주요 선진국의 공공/민간 R&D 프로젝트 추진현황 분석
- Step 4. 국내외 정책·산업·시장·기술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Phase 2] 기존 사업과의 차별성 및 연계방안
- Step 5. 국내외 기술수준 및 기술개발 역량분석
- Step 6. 공공?민간부문의 자율주행차 R&D 및 성과 현황분석
- Step 7. 기존 사업과의 연계방안 도출 및 R&D 위상 정립
○ [Phase 3] 신규 R&D사업 기획
- Step 8. 사업 개념 및 지원 방향 설정
- Step 9. 사업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도출
- Step 10. 사업 추진체계, 추진방법 등 세부 추진방안 구축
- Step 11. 신규 R&D사업 추진 분야 및 세부기술 도출
- Step 12. 세부기술 분야별 기술개발 목표 및 범위 설정
- Step 13. 세부기술 분야별 단계별(연차별) 추진계획 수립
- Step 14. 세부기술 분야별 예산확보 및 사업화 전략 구축
- Step 15. 사업홍보 및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세미나, 설명회 등) 개최
○ [Phase 4] 기획사업 타당성 분석
- Step 16. 정책적 타당성 분석
- Step 17. 기술적 타당성 분석
- Step 18. 경제적 타당성 분석
- Step 19. 파급효과 분석
○ [Phase 5] 예비타당성조사 대응
- Step 20. 기술성 평가 대응 및 기획보고서 보완
- Step 21. 주관부처 사업설명회 및 예타연구진 질의 대응
- Step 22. 사업 종합검토 및 추진방향 제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자율주행 신산업 육성을 통한 안전하고 편리한 국민의 삶 실현 : ‘27년 레벨 4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 완성을 위한 미래 공존형 자율주행 혁신사업 기획보고서 완료 □ 본 기획연구는 국토교통부의 신규 R&D사업인 ‘미래 공존형 자율주행 혁신사업’ 기획을 추진하며 이를 위해 △국내외 현황분석, △기존 사업과의 차별성 및 연계방안 도출, △신규 R&D사업 기획, △사업추진 당위성 확보를 위한 타당성(정책/기술/경제) 분석,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및 대응 등을 핵심 내용으로 수행
○ (국내외 현황분석) 자율주행차 관련 주요 선진국 및 국내의 기술개발 동향 및 트랜드 변화, 정책/투자동향, 산업/시장동향 조사?분석을 통해 본 사업 수행의 필요성과 기술개발 방향을 정립
- 핵심기술 개념 및 범위 정립, 글로벌 메가트렌드 및 이슈 정립과 변화 동인 분석, 국내외 정책 및 기존 사업·시장·기술 현황분석 등을 통한 시사점 도출
○ (기존 사업과 차별성 및 연계방안)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수준 분석 및 기존 사업·과제 등의 투자현황 및 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신규사업을 통해 추진되는 기술개발 과제의 차별화 전략 및 연계방안을 마련
○ (신규사업 기획) △중점과제 및 세부기술개발과제 기획, △사업 필요성 및 시급성, △정부지원 타당성 및 정책 부합성, △사업 비전, 추진전략, 추진방안, 추진체계, △사업운영?관리 및 예산확보 방안 등 사업기획 수행
○ (사업홍보 및 의견수렴) 예비타당성조사 과정에서 사업 기획의 충실성 및 체계성 확보를 위해 자율주행차 관련 산학연 전문가와 예상 소비자의 수요반영을 위한 공청회 등 수행
- 홍보 및 의견수렴 등 수행 시 사업의 개념, 개발기술, 개발의 효과 등에 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시나리오(발표 및 홍보자료) 등 작성 추진
○ (사업 타당성 분석) 신규사업의 수행과 관련하여 당위성 검증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수행 세부지침’에 따른 정책적,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수행
○ (예비타당성조사 대응) △예비타당성조사 접수, △기술성 평가 발표 및 질의응답, △기획보고서 보완, △주관부처 사업설명회, △예비타당성조사 연구진(KISTEP) 질의응답 등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수행을 통한 통과율 제고 추진
- 최종적으로 사업의 종합검토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반영하며, 실질적인 사업추진 및 수행 방향성을 제시

□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을 위하여 주요 연구단계를 Phase와 Step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의 연구결과가 다음 단계와 연계되어 최적의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 프레임을 구축
○ [Phase 1] 자율주행차 국내외 현황분석
- Step 1. 자율주행차 핵심기술 개념 정립 및 범위, 사전 이해 고도화
- Step 2. 기술 메가트렌드 및 이슈 정립과 변화 동인 분석
- Step 3. 주요 선진국의 공공/민간 R&D 프로젝트 추진현황 분석
- Step 4. 국내외 정책·산업·시장·기술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Phase 2] 기존 사업과의 차별성 및 연계방안
- Step 5. 국내외 기술수준 및 기술개발 역량분석
- Step 6. 공공?민간부문의 자율주행차 R&D 및 성과 현황분석
- Step 7. 기존 사업과의 연계방안 도출 및 R&D 위상 정립
○ [Phase 3] 신규 R&D사업 기획
- Step 8. 사업 개념 및 지원 방향 설정
- Step 9. 사업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도출
- Step 10. 사업 추진체계, 추진방법 등 세부 추진방안 구축
- Step 11. 신규 R&D사업 추진 분야 및 세부기술 도출
- Step 12. 세부기술 분야별 기술개발 목표 및 범위 설정
- Step 13. 세부기술 분야별 단계별(연차별) 추진계획 수립
- Step 14. 세부기술 분야별 예산확보 및 사업화 전략 구축
- Step 15. 사업홍보 및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세미나, 설명회 등) 개최
○ [Phase 4] 기획사업 타당성 분석
- Step 16. 정책적 타당성 분석
- Step 17. 기술적 타당성 분석
- Step 18. 경제적 타당성 분석
- Step 19. 파급효과 분석
○ [Phase 5] 예비타당성조사 대응
- Step 20. 기술성 평가 대응 및 기획보고서 보완
- Step 21. 주관부처 사업설명회 및 예타연구진 질의 대응
- Step 22. 사업 종합검토 및 추진방향 제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정성적인 측면에서 국가적인 부품 관련 기술경쟁력 확보 기여, 전후방 산업 견인, 미래수요대응 등의 파급효과 예상
- 중장기 핵심기술 개발로 인한 기술선진국과의 기술격차 감소 및 추월, 세계 최고 수준의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리딩
- 핵심기술 개발로 인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감소 및 추월효과 발생, 세계 최고 기술 수준의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글로벌 기술 선도 가능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정성적인 측면에서 기술개발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및 국민수요 충족 등 기대
- 강소기업 및 스타트업 육성으로 산업 규모 확장 및 산업경쟁력 강화 기반 마련
- 자율주행 상용화 기술 구현을 위한 표준화 및 주요 관련 법·제도 개정으로 융합생태계 형성 가속화
- 국민체감형 실증 및 홍보를 통한 국민 신뢰도 향상으로 자율주행차 보급확대
- 자율주행차 보급확대를 통한 교통사고 저감(사상자 감소) 및 사회적 비용 저감
- 자율주행 공공서비스 개발을 통해 고령자, 과소지역 주민 등 교통약자 지원에 대한 사회적 현안 해결
활용방안 □ 자율주행차 관련 글로벌 트랜드 변화와 국내 R&D 역량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에 기반한 사업의 추진전략 및 세부기술개발과제를 도출하여 예산 투자와 사업 수행의 효율성 강화
○ 최근, 정부R&D 예산 증가율을 점차 둔화되고 있으며, 선택과 집중을 통한 예산 투자의 효율성 도모를 추진
○ 또한, 예산투자 효율성 강화를 위한 성과평가와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질적성과 중심의 사업운영·관리를 강조
○ 따라서, 국내 자동차산업이 직면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미래 이슈에 선제적인 대응이 가능한 추진 분야 및 세부기술 분야를 도출하여, 한정된 R&D 예산의 효율적 배분과 전략적 투자 강화에 기여

□ 4차 산업혁명 핵심과제로 주목받고 있는 자율주행차 핵심기술개발의 전략적 추진 방향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
○ 문재인 정부의 5개년 국정운영 계획의 20대 국정전략으로 과학기술이 선도하는 4차 산업혁명을 제시
- 대통령 직속의 4차 산업혁명 위원회를 설치하고 기술·산업·사회·공공 등 분야별 혁신과제를 선정하여 100대 국정과제를 발표
○ 정부의 정책 방향에 부합함과 동시에 국토교통부 정책과 연계성을 갖춘 R&D사업 추진을 위한 핵심자료 도출
- 연구를 통해 도출되는 자료 및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 준비와 대응을 위한 전략적 자율주행차 R&D 추진전략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

□ 자율주행차 관련 기추진사업 및 과제 지원현황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과 성과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미래 자율주행 혁신사업 수행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도출
○ 첨단기술 융복합을 통한 자동차산업에 대한 해외 선진국의 정책·기술·산업 동향 조사를 통한 벤치마킹 요소를 도출 한 후, 국내외 여건과 심층 비교 분석을 통한 기술·정책적 Gap 도출
○ 해외 선진사례의 벤치마킹 및 국내 자동차산업 기술·정책 분야의 역량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을 통해 신규 R&D 추진에 따른 파급효과 극대화 도모

□ 자율주행차 부문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기존 자동차 시장 성장정체, 가격경쟁력 저하 등의 현안 이슈 해소와 4차 산업혁명 대응 기술수요를 발굴하여 자율주행차 분야 미래 신산업 발굴 및 고용창출효과 극대화
○ 자율주행차 시대의 본격 개막을 앞당겨, 해당 분야 서비스 및 BM이 파생되며 이를 통한 창업 및 고용창출이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
○ 자동차 생산라인 및 소비자 수요 충족, 4차산업 수요 등 전 단계에 걸쳐 첨단기술 적용 및 융복합을 통한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 제조업에서 새로운 ICT 융복합 산업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됨에 따라 미래 신산업을 발굴하며, 이에 따른 고용창출 효과를 극대화하여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 운영에 기여

□ 글로벌 자동차산업의 경쟁 심화 및 내수수요 감소로 인하여 자동차산업의 성장한계 극복 및 지속가능한 국토교통 발전을 위한 중장기 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
○ 국토교통 측면의 자동차 및 자율주행차 산업과 관련 분야 지원을 위한 현을 집대성한 보고서 도출되어, 정책 수립 시 활용 가능
- 국내 자동차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및 내수시장 수요 확대 등 성장한계 극복을 위한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수립의 방향성 제시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자율주행차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융합신기술 모빌리티 서비스 -
영문 Autonomous Vehicle C-ITS AICBM Mobility as a Service -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미래공존형 기술개발 혁신사업 연구개발 최종보고서 보완본(07.10).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