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 과제번호 19RDPP-C152570-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안전 유지관리 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시설물안전 유지관리 기술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None | None | None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기초
과제명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
주관연구기관 와이젠글로벌(주)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조경민
소속 와이젠글로벌(주) 직위 대표이사
전화번호 02-6954-2292 FAX -
총 연구기간 2019-04-29 ~ 2020-11-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9-04-29 ~ 2020-11-28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300,000,000 0 0 0 30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동 연구는 노후화된 지하시설물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건설 및 체계적 유지관리·성능개선을 위해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타당성을 입증함으로써 사업예산 확보에 기여하고자 함
- (목표) 노후화된 지하시설물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건설 및 체계적 유지관리·성능개선을 위한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의 추진계획(안) 제시
- (산출물)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의 기획보고서, 예비타당성조사 대내외 평가과정에서의 각종 요구에 대한 대응자료, ­ 착수보고자료(예타요구서, 사업설명자료(국토교통부), 기술성평가 대응자료,­ 사업설명자료(평가단/기재부), ­사업추진 타당성 확보에 필요한 기타 자료)
- (추진 일정) 동 기획은 2019년 4/4분기 예비타당성조사 진입을 목표로 기획연구를 진행하고 추후 기술성평가에 대응하는 것으로 추진(제반 여건 및 일정에 따라 예비타당성조사 진입 시기는 변동 가능)
: 1단계 (2019.04-2019.11): 사업 기획 및 예비타당성조사 요구
: 2단계 (2019.11-2020.06): 기술성 평가 대응
최종목표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 추진타당성 및 예산확보
- ‘사업기획 →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의 추진계획(안) 제시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의 정의 및 범위 확정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관련 기술개발 동향 및 환경 분석을 통한 전략방향 도출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중장기 기술개발 로드맵 도출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 전략 수립 및 연구내용 도출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 이행을 위한 관련주체 및 이해관계자 협의 도출
연구내용 및 범위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의 정의 및 범위 제시
- 지하시설물의 범위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한 대상시설물로 정의하고, 이들 대상목적물에 대한 최근 동향과 대상 시설물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본 기획에서 다루고자 하는 대상목적물의 범위를 한정하여 제시
- 지하시설물에 대한 건설·유지관리 분야 기술현황을 분석하고, 최근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들을 검토하여 지하시설물에 대한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의 비전 제시 및 핵심기술과 기술개발 전략 수립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관련 기술개발 동향 및 환경 분석
- 국·내외 시장, 정책, 기술, 환경, 특허 및 논문 동향 분석
ㆍ 최근 10년간 R&D 기술 현황 분석(기존 건설기술연구사업 현황 분석 및 문제점 추가도출 포함)
ㆍ 국내·외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관련 개발의 성공 및 실패사례를 조사·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여 성공전략 제시
ㆍ 해외 기술개발 트렌드 및 미래 선도형 기술 분석
-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및 국내 인프라(기업, 연구소, 대학, 인력 등) 현황 분석
- 동향 및 환경 분석을 통한 사업 추진방향 정립
ㆍ 본 사업 추진 필요성 정립(기술개발 필요성, 정부지원 타당성 등)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중장기 기술개발 로드맵 작성
- 지하시설물에 대한 기존 건설 및 유지관리 기술과 4차 산업혁명 견인기술(AI, IoT, ICT 등)을 융복합하여 지하시설물의 안정성 확보 및 사용성능 극대화를 위해 수요가 예측되는 미래기술 발굴 및 단계별 세부 기술개발로드맵 작성
ㆍ 지하시설물의 노후화와 사용성능 저하, 안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정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과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과의 연계성을 고려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 전략 수립 및 연구내용 설정
ㆍ 현황 및 이슈분석을 통해 사업 추진의 필요성과 당위성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실현 가능성이 높은 사업의 범위와 방향을 설정
ㆍ 이를 통해 비전과 목표 및 추진전략 등을 설정하되, 정합성이 확보된 설정논리구조를 제시
- 대상 시설물 선정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근거와 논리 제시
- 설정된 비전 및 목표 달성을 위한 사업추진 및 기술개발전략 등 사업목표의 성공적 달성을 위한 체계적 전략 수립
ㆍ 기술예측 /수준 / 수요 / SWOT 분석 등을 통한 기술개발의 방향 및 중점분야를 도출하고 및 전략방향 정립(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중점분야별로 구체적으로 제시)
- 중점분야별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과제와 기술개발내용 도출 및 과제별 추진체계(사업단, 연구단, 일반과제 등) 설정
ㆍ 사업목표-중점분야-세부과제간 연계시나리오(수직), 중점분야간, 세부과제간 연계시나리오(수평) 구성
ㆍ 기술 개발의 시급성, 진보성, 파급효과 및 경제적 효과를 고려하여 과제를 도출하고, 과제간 연계 및 중복여부 등 종합검토
ㆍ 세부과제별 기술유형(기초/원천, 응용, 실용화, 사업화 등), 성과유형(시제품, S/W, 기준/지침, 정책제안 등), 제도개선사항 제시하고 성과목표 및 평가지표 설정
ㆍ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에 대한 성과목표 및 평가지표 설정
- 세부과제 연차별/단계별 기술개발 로드맵 및 성과 로드맵 제시
ㆍ 세부과제의 중요도를 평가하여 우선순위 선정(중요도 평가시 정량적 평가기준 제시)하고 이를 기술개발 로드맵 반영
ㆍ 개발기술의 성숙도(TRL) 및 핵심기술요소(CTE) 설정
- 과제구성에 따른 인력투입계획 및 소요예산 산정
ㆍ 연차별/단계별 예산산출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소요예산 적정성 검토(정부투자규모 대비 민간투자규모 수준 제시)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 추진타당성 및 예산확보
- ‘사업기획 →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의 추진계획(안) 제시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의 정의 및 범위 제시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관련 기술개발 동향 및 환경 분석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중장기 기술개발 로드맵 작성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 전략 수립 및 연구내용 설정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동 기획연구를 바탕으로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이 추진될 경우 기술적 기대성과는 아래와 같이 예상됨

○ 지하시설물 건설 및 유지관리 기술 고도화
- 세계 최고 수준의 도심지 노후관 위치조사 및 선형정보 관리기술 확보
- 비개착 기술을 활용한 노후관 교체 및 갱생기술 국내 도입 및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기술 수준 향상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정보 기반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체계 마련

○ 지하시설물 노후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술개발 추진
- 노후화된 지하시설물의 정확한 진단 및 의사결정을 통한 안전사고 방지
- 안전하고 경제적인 도심지 노후관 교체·갱생을 통한 지하시설물 노후화율 저감 및 지하 공간 활용성 제고

○ 지하시설물 관리체계 선진화
- 「지하안전관리를 위한 특별법」, 「지속 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 등 정부 정책에 부합하는 기술 지원
- 시설물 관리주체 간 단절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적 해결안 제시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동 기획연구를 바탕으로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이 추진될 경우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는 아래와 같이 예상됨

○ 지하시설물 건설 및 유지관리 비용 절감
- 지하시설물의 반복굴착으로 인한 교체비용 절감
- 지하시설물 신규·교체 공사 중 발생하는 주변 시설물 손상 등의 피해방지를 통한 시설물 관리 비용 절감

○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분야 신규시장 창출
- 비개착(Trenchless) 기술 국내 도입을 통한 신규 시장 창출
- 지하시설물 형상정보 DB 구축 사업을 통한 고용 창출
활용방안 동 기획연구 결과는 아래 목적으로 활용할 계획

○사업에 대한 추진 논리 및 예산 확보
- 사업 추진의 필요성과 국토교통부가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의 추진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는 당위성을 국가 및 산업 차원에서의 미충족 수요(=해결해야 할 문제)로 확실히 정의
-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구체적으로 지향하는 바와, 지원하고자 하는 분야 및 사업 개념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쾌하게 정리
­- 국내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개발 혁신역량에 대한 진단으로부터 강점과 잠재력을 갖춘 지원 영역 발굴
- 사업과 산업적 특성을 반영한 최적의 사업 운영계획 및 추진체계를 설계함으로써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확보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을 통해 상당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얻을 수 있는 근거 제시를 통하여 사업 추진의 효과 입증
- 효과성 제고가 필요한 국내 지하시설물 건설 및 유지관리 영역의 기술개발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공공적 혜택을 창출할 수 있는 사업을 기획하며 근거를 통하여 파급효과를 입증
­-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 연구사업의 국가적 추진을 통해 상당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얻을 수 있는 사업임을 입증할 수 있는 결과 제공

○ 사업의 비전과 목표에 대한 폭넓은 공감대 확보
- 국가과학기술심위위원회, 국회,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관련 부처, 관리주체(지자체, 공사, 민간사업자 등), 관련 분야 연구자, 산업계 등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 그룹의 공감대를 확보
- 정부의 재정투입 필요성, 사업 추진의 시급성에 대한 타당한 근거를 확보
- 기획위원회, 워크샵, 공청회(포럼) 등 개방형 기획을 통해 연관주체 및 산·학·연·관·민 각계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지하시설물 스마트 건설 유지관리 비개착시공기술 예비타당성조사
영문 Underground facilities Smart constructio Maintenance Trenchless technology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_지하시설물 스마트유지관리사업_수정 및 보완 완료_제출용.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