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흙막이 개착현장 주변의 지반함몰 예측 및 지진 시 액상화 평가 기술 개발4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건설기술연구사업 과제번호 22SCIP-C151438-04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국토정책 계획 | 국토정책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안전 유지관리 기술 | 자연재해 저감기술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국토정책 계획 | 국토계획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흙막이 개착현장 주변의 지반함몰 예측 및 지진 시 액상화 평가 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정문경
소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직위 선임연구위원
전화번호 031-910-0114 FAX -
총 연구기간 2019-04-08 ~ 2022-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4차년도 1,913,000,000 13,417,000 120,645,000 134,062,000 2,047,062,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대한민국에서 「안전」은 모든 분야에서 가장 최우선시 되고 있으나, 대한민국의 「지반」은 여전히 안전하지 않음
- 2018년 서울 상도동과 가산동에서 두 건의 심각한 흙막이 붕괴 사고로 주변시설물 및 주민 피해 발생
- 2017년 11월 7일 국내 최초로 포항지역에서 지진에 의해 지반 액상화 현상이 확인됨
○ 굴착 중 붕괴 사고의 경우 계획-시공-사고대응 단계에서 각종 제도 및 계측 관리 운영에서의 문제점이 국토교통부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2018년 10월)에서 논의되고 대책문건에서 적시한 바와 같이 공론화됨
- 위험징후를 조기에 감지하기 위해 지반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토록 계측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나, 세부규정이 미흡하고 관련설계기준도 산재됨.
- 현장 감리를 보완하기 위해 공사 중 굴착공사에 대한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를 시행하고 있으나, 민간공사는 공사비 절감에만 주안점을 두어 안전을 경시한 설계변경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실정임

○ 2017년 11월 7일 발생한 규모 5.4 포항지진으로 인해 국내에서 최초로 17건의 액상화 현상이 공식적으로 보고되었고 지진에 대한 국민들의 경각심이 고조되었음
- 국내의 액상화 평가기법은 최근까지도 1970년대 발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고전적인 액상화 기법이 통용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선진국에서 사용하는 액상화 평가 기법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음
○ 정부에서는 제도 개선 노력 및 국가 R&D를 통해 「안전한 대한민국 지반」을 추구하고 있음.
- 제도적인 개선 노력: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지특법)을 시행 중이나, 현재 이를 전담하는 인력 및 담당 공무원의 기술역량 부족이 문제점으로 대두됨
- 지반함몰과 굴착공사 안전관련으로 2015년경부터 국토교통부 소관의 ①지반함몰 발생 및 피해 저감을 위한 지반 안정성 평가 및 굴착·복구 기술개발 ②도심지 지반함몰 저감을 위한 지하매설물 설치기술 개발 ③도로함몰 위험도 평가 및 분석기술 개발 등이 추진되었고, 미래창조과학부 소관으로 사물인터넷(IoT) 기반 도시 지하매설물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기술개발이 수행되었음. 본 연구에서는 전술된 연구과제에서 다루지 않은 문제에 대하여 해결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향후 포항지진 사례와 유사한 지반 액상화 발생 시 각종 SOC 시설물들에 대한 큰 피해가 예상됨. 현재 국내에는 최신기술이 반영된 액상화 평가기준이 없고 적절한 시설물별 액상 대책 매뉴얼이 부재한 상태임

○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정부의 제도 개선 노력 및 국가R&D 연구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대한민국 지반」을 이루기 위해 각종 관련 기술의 고도화 연구 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함

? 제안 주제 1 [CT-A,B]: 도심지 흙막이 굴착 시공 중 굴착 배면 및 인접 지반 변위 예측의 고도화
- 굴착 시공 중 인접 지역에서 나타나는 각종 문제패턴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는 기술
- 기존 지점계측의 한계를 극복하는 3차원 영상정보기반 굴착면 및 주변변위 측정기술
? 제안 주제 2 [CT-C]: 지반 보강체의 품질 확인 기술의 고도화
- 문제가 발생된 지반 내부에 주입한 보강체의 위치, 형상, 물성 등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기술
? 제안 주제 3 [CT-D]: 액상화 기준 개정 및 보수보강 매뉴얼 개발
- 선진국 수준의 국내 액상화 설계 기준 개정안 작성
- 주요 시설물 별 액상화 피해 평가법 및 대책 매뉴얼 작성
최종목표 1) [CT-A] 도심지 흙막이 굴착 시공 중 문제패턴 조기 인식을 위한 실시간 영상 및 이동체 수집 정보의 멀티소스 센서패키지 및 동적 데이터 전송 플랫폼 기술 개발
① 문제패턴 인식 멀티소스 센서패키지(흙막이 굴착면 기준 3H(H=최대굴착심도)의 굴착 배면부 영역에서 발생한 굴착 유발 문제패턴신호를 90% 이상 인식
② 멀티소스 데이터의 엣지 데이터처리 및 다이나믹 오프로딩 기술

2) [CT-B] 3D 영상정보 기반 비접촉식 실시간 Full-field measurement 측정 시스템 개발 기술
① 측정거리 30m까지 정확도 ±1mm, 정밀도 ±0.5mm 이하
② 비접촉식 실시간 full-field measurement 현장적용기술개발
③ 3D 실시간 full-field measurement 시스템 구축 및 영상처리 기술개발

3) [CT-C] 시공 후 품질관리가 가능한 전도성 그라우팅 재료 및 품질평가기술 개발
① 시공 후 보강 범위 기준의 품질평가가 가능한 전도성 그라우팅 재료
- 전도성 그라우팅 보강 후 4Ωm 이하의 전기비저항을 가지는 보강체
② 전도성 그라우팅 보강체의 보강 범위 기준 품질평가를 위한 소형 현장탐사 시험장비
- 30kg 이내 휴대용 장비로 구성된 시험장비
- 지표에서 운영되는 비파괴 시험법 대비 품질평가 정밀도 30% 향상
- 현장 특성에 따라 가속도, 전기비저항 센서 등을 활용한 10m 내외의 고심도 탐사 기능 포함
4) [CT-D] 국내 액상화 설계기준 개정 및 주요 시설물별 액상화 대책 매뉴얼 개발
① 국내 액상화 설계 기준 개정
- 예비평가 및 본평가 개선 기준(안)
· 국토교통부 설계기준 ‘KDS 17 10 00 내진설계 일반’ 內 액상화 기준 개정안
- 포항지역 액상화 상세 분석 기술서
- 액상화 실내실험(진동삼축시험, 반복직접전단시험 등) 표준화
- 지반 액상화 평가 전문가 검증 절차(Peer review process) 지침(안)
② 주요 시설물(철도, 교량, 제방, 건축물)별 액상화 대책 매뉴얼
- 주요시설물(철도, 교량, 제방, 건축물)별 액상화 피해 평가기술
- 주요시설물(철도, 교량, 제방, 건축물)별 액상화 보수·보강 지침(안)
연구내용 및 범위 1) 1차 연도
① 개발 목표
[CT-A]
○ 굴착 현장 주변 Macr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한 라이다 솔루션 설계
○ 굴착 배면부의 Mes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한 영상 취득 하드웨어 요구사항 분석
○ 굴착 배면부의 Micro 규모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선레이저 기반 센서 패키지 설계 및 가용성 분석
○ 오프로딩 비용 모델 및 동적 오프로딩 처리 기술 개발
[CT-B]
○ 카메라 자체의 자세 및 위치변이 검출 시스템 개발
○ 렌즈의 왜곡, 초점거리, 광축 등 카메라 매트릭스 추출 및 보정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CT-C]
○ 전도성 그라우팅 개발을 위한 전도성 재료 검토 및 재료별 전기전도도 정량화
○ 소형 현장탐사 시험장비 설계 및 기존 지반조사기법의 타당성 검증
[CT-D]
○ 시설물별 액상화 피해 평가법 조사 분석 및 시험 관련 규격 및 문헌조사 연구
○ 기존 액상화 평가 자료수집 및 액상화 평가를 통한 액상화 상세평가 지역 선정
○ 포항 액상화 지역(흥해읍 등) 3개소 지반조사 및 시료채취를 통한 포항지역 지반조사 데이터 수집 및 분석

2) 2차 연도
① 개발 목표
[CT-A]
○ Macr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한 라이다 사용 시 측위를 위한 랜드 마크 선정 및 추출 기술 개발
○ Mes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한 굴착 배면부 최적 영상 취득을 위한 촬영 기법 정립
○ Mes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한 지면에 표시한 격자의 기하학적 왜곡 분석 알고리즘의 개발
○ Micro 규모의 모니터링을 선레이저 사용 시 곡률에 따른 깊이 측정 모델 개발
○ 엣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모듈형 멀티소스 센서 패키지 플랫폼 HW 설계
[CT-B]
○ 카메라 자세 검출장치개발 및 하드웨어 변위계측 현장 적용성 평가
○ 2D, 3D 변위 검출 SW개발
[CT-C]
○ 기존 그라우팅 재료와 전도성 재료 간의 전기적/화학적 결합 기법 개발 및 개발된 전도성 그라우팅 재료의 성능 검증
○소형 현장탐사 시험장비 제작 및 모형실험을 통한 개발된 장비의 적용성 검증
[CT-D]
○ 포항 액상화 지역 진동삼축압축시험 및 반복전단시험수행
○ 액상화 평가를 위한 반복전단응력비 및 진동저항응력비 산정기술 개발
○ 포항 액상화 지역(시내지역 등) 3개소 지반조사 수행
○ 시설물별 액상화 피해 평가 관련 기본계획 수립
○ 시설물별 액상화 피해 평가 및 보수보강 관련 기존문헌 조사 및 설계기법 검토

3) 3차 연도
① 개발 목표
[CT-A]
○ Macr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한 라이다 솔루션 사용 시 문제패턴 인식을 위한 대상 선정 및 변위 측정 모델 개발
○ Mes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한 영상기반의 배면 지반 침하 분석 기법 개발
○ Micro 규모 모니터링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필터링 및 변위 측정 기법 개발
○ 동적 오프로딩 기반 멀티소스 센서 패키지 플랫폼 개발
[CT-B]
○ 3D 영상정보 기반 변위계측 시스템 현장 시험 적용 및 계측 데이터 사용자 환경 개발
○ 변위계측 통합 SW 개발 및 검증
[CT-C]
○ 전도성 그라우팅 재료를 이용하여 공동부를 포함한 느슨한 지반 내 보강체를 확인하기 위한 배합 조건별 정량화 기술 개발
○ 현장적용이 가능한 프로토 타입의 시험용 탐사장비를 제작 및 현장 적용성 분석
[CT-D]
○ 포항 액상화 상세분석 보고서 작성 및 국내 액상화 설계기준 및 해설 개선(안) 개발
○ 액상화 평가를 위한 시험 관련 규격(안) 제출 및 건축물 액상화 발생시 안정성 평가 및 보수보강 방법 작성
○ 시설물(철도, 교량, 제방)별 액상화 피해 평가를 위한 지표확립 및 평가법 제시
○ 시설물별 액상화 피해 평가에 대한 해석적 검토 및 피해 평가 매뉴얼 작성

4) 4차 연도
① 개발 목표
[CT-A]
○ Macro, Meso, Micro 레벨의 센서들과 동적 데이터 전송 플랫폼의 연동을 통한 멀티소스 센서 패키지 플랫폼 제작
○ 멀티소스 센서 패키지 플랫폼 고도화 및 최적화
[CT-B]
○ 실규모 현장 조건에 최적화된 변위계측 통합 시스템 개발
○ 변위계측 통합 SW 성능 고도화
[CT-C]
○ 개발된 재료를 이용한 보강체 형상 구현 / 위치별 보강 품질 평가 현장실증 수행
○ 개발된 소형 현장탐사 시험장비의 Test bed 적용을 통한 현장실증 수행
[CT-D]
○ KDS 액상화 기준 개정안 중심위 대응 및 해설안 작성
○ 포항 액상화 현상 및 국내 액상화 기준 개정안 관련 국제 워크샵 개최
○ 시설물별(철도, 교량, 제방, 건축물) 액상화 보수보강 대책 방안 수립
○ 시설물별(철도, 교량, 제방, 건축물) 액상화 보수보강 대책 매뉴얼 작성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4차년도 1) 1차 연도
① 개발 목표
[CT-A]
○ 굴착 현장 주변 Macr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한 라이다 솔루션 설계
○ 굴착 배면부의 Mes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한 영상 취득 하드웨어 요구사항 분석
○ 굴착 배면부의 Micro 규모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선레이저 기반 센서 패키지 설계 및 가용성 분석
○ 오프로딩 비용 모델 및 동적 오프로딩 처리 기술 개발
[CT-B]
○ 카메라 자체의 자세 및 위치변이 검출 시스템 개발
○ 렌즈의 왜곡, 초점거리, 광축 등 카메라 매트릭스 추출 및 보정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CT-C]
○ 전도성 그라우팅 개발을 위한 전도성 재료 검토 및 재료별 전기전도도 정량화
○ 소형 현장탐사 시험장비 설계 및 기존 지반조사기법의 타당성 검증
[CT-D]
○ 시설물별 액상화 피해 평가법 조사 분석 및 시험 관련 규격 및 문헌조사 연구
○ 기존 액상화 평가 자료수집 및 액상화 평가를 통한 액상화 상세평가 지역 선정
○ 포항 액상화 지역(흥해읍 등) 3개소 지반조사 및 시료채취를 통한 포항지역 지반조사 데이터 수집 및 분석
② 개발 내용 및 범위
[CT-A]
○ 굴착현장 주변 Macr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해 이동체에 탑재하는 라이다에 대해 도심지 굴착 현장 주변 모니터링에 적합한 모듈 선택과 모듈간 통신 인터페이스의 최적화 설계
○ 굴착 배면부의 Mes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한 3차원 지반 변형 프로파일 작성 및 격자 변형 검토에 적합한 안정화된 영상 취득을 위한 영상 기기 요구사항 분석
○ 배면 지반의 변형 평가를 위해 지면에 표시할 격자의 기하학적 요구사항 분석 및 격자의 왜곡 분석용 이미지처리 방안 문헌조사
○ 굴착 배면부의 Micro 규모의 모니터링을 위한 차량 탑재 선레이저의 정밀 측정을 위한 최적 하드웨어 설계
○ 동적 오프로딩 처리 지원을 위한 정밀도와 시간 요구도 기반의 오프로딩 비용 모델 연구
○ 이동체 처리영역과 고성능서버 처리영역으로 구분 후, 작업 특성별 오프로딩 비용 모델에 따라 작업 영역을 동적으로 결정하는 구조 설계
[CT-B]
○ 3D변위 측정조건 결정
○ 카메라 최적 설치 조건 도출
○ 카메라 자체의 자세 및 위치 변이 검출 시스템 프레임 개발
○ 3D변위 측정 조건 및 현장 조건을 고려한 촬영방식 결정 : 회전방식 또는 확장 연접방식
○ 렌즈의 왜곡, 초점거리, 광축 등 카메라 매트릭스 추출 및 보정 최적화 알고리즘 분석
○ 광축과 영상 중심 일치화 및 렌즈 왜곡보정 알고리즘 개발
○ 외부 환경에 따른 영상매칭 및 측정 정밀도 확보를 위한 영상 조건 산출

[CT-C]
○ 기존 그라우팅 품질 평가 방법 및 그라우팅된 지반의 전기전도도 관련 문헌조사
○ 전기전도도 측정 시스템 제작
○ 전도성 재료 검토 및 전기전도도를 포함한 재료 자체의 특성 평가
○ 전도성 재료의 그라우팅 혼합 가능성 관련 문헌 조사
○ 전도성 그라우트 보강지반 조사를 위한 현장 탐사장비 설계
○ 센서 성능 테스트 및 최적의 센서, 재료 선정
○ 기존 성토체 다짐품질관리, 지반조사를 위한 장비 및 측정기술 조사
○ 지반조사 장비 검증을 위한 모형 토조제작 및 검증

[CT-D]
○ 진동삼축압축시험 및 반복직접전단시험의 규격 및 문헌조사
○ 기존 국내에서 수행되었던 동적실내시험에 대한 시험조건 및 결과 수집 및 분석
○ 포항지역 기존 액상화 평가 자료수집 및 분석
○ 수집된 D/B에서 대상 지반을 선정하고 시추자료와 표준관입시험 자료를 검토하여 SPT 기반 액상화 저항강도 검토
○ 포항 실측 지진파를 이용한 지반응답해석을 통해 지진 시 진동전단응력 결정을 통해 포항지진시 안전율과 액상화 발생 여부를 비교 분석
○ 기존 지료를 분석하여 Sand Boil 등으로 액상화 발생이 검증된 대표 액상화 지역(흥해읍 등) 3곳을 선정하여 진앙거리, 층상구조, 액상화 층의 두께 등 종합 검토
○ 최근 발간된 액상화 관련 논문과 다양한 국가의 기준을 분석하고 국내 지진환경을 검토하여 생략조건 검증
○ 3개 지점에 대한 시추조사 및 현장시험 (밀도검층, SPT, CPT, ER, 다운홀, MASW, 불교란 및 교란시료 채취 등)
○ 포항지역 지반조사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액상화 위험성 평가를 위한 토질 종류, 표준관입시험(SPT) N값, 전단파속도, 지하수위 및 각종 실내실험 데이터 표준화 방안 제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인력 중심의 고전적인 도심지 흙막이 굴착 시공의 유지관리 및 계측 기술에 첨단 센싱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접목될 수 있는 응용 기술 플랫폼을 구축 할 수 있음.
○ 굴착에 의한 지반 함몰 보강을 위한 전도성 그라우팅 재료 개발로 시공품질 규격화 가능 및 지반 보강 평가 효율성 개선
○ 추적자(tracer)와 지반재료와의 전기/화학적 결합 기술 개발을 통한 향후 다양한 지반공학 분야에서의 모니터링 기술 개발의 원천기술 확보
○ 측정 기기의 기술 발전으로 지중 보강체 및 시설물의 위치와 형상을 신속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또한, 지하 오염지역 탐사에도 적용함으로서 환경 분야로의 진출이 예상됨
○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고성능 첨단 탐사 기술의 디딤돌이 될 것으로 판단됨
○ 소형 현장탐사 시험장비가 개발되면 지반보강 결과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되어 기존의 주관적인 그라우팅 보강 품질평가 방법에 대한 개선이 가능 함
○ 흙막이 굴착 시공현장에서 그라우팅 보강에 대한 획기적 품질평가 방법 및 기준 개선이 가능함
○ 현장 작업자와 건설기계?장비의 실시간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건설인력 행동 및 장비의 운행 분석을 수행하여 현장 안전 솔루션을 제시
○ 국내 액상화가 예상되는 지역에 시설물별 피해 평가가 이루어짐으로써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대책공법의 제시 가능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본 연구에서 추진하는 고도화 기술 및 생산 결과물은 미래 핵심기술인 전자 ? 데이터 ? 통신 기술을 기존 건설시장에 접목하는 것으로써 해당분야의 새로운 시장을 열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도심지 흙막이 굴착 시공에 의해 회복하기 어려운 과다 변위 발생 이전에 효과적으로 문제를 인지하고 빠르게 대책을 수립하여 대처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예상됨.
○ 고전적인 흙막이 공사의 유지관리 기술에 최첨단 센싱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을 도입하여 개발될 신기술은 향후 해외기술 수출이 가능하리라 예상됨.
○ 보강 필요 지역 이외 지역에 대한 그라우팅 주입 상황 모니터링을 통해 과도한 시공 예방 및 그에 따른 시공비 절감
○ 보강 필요 지역에 대한 확실한 보강 및 전도성 측정을 통한 보강 확인을 통해 추후 재시공에 대한 비용 절감
○ 품질관리가 가능한 전도성 그라우팅 재료 및 품질관리 시스템 개발로 그라우팅 분야의 해외 진출 교두보 확보
○ 전도성 그라우팅 보강체의 보강 범위 기준 품질평가는 흙막이 굴착 시공 현장 뿐만 아니라 그라우팅으로 보강하는 다른 시공 현장들에도 적용 가능
○ 하나의 장비로 여러 시험을 수행함으로서, 현장 조사비용 절감 및 시공기간 단축
○ 조사장비 및 통합 신호 처리 시스템과 분석기법 개발을 통해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장비 및 소프트웨어의 국산화로 개발도상국 등 해외시장 진출
○ 액상화 평가법 고도화 및 제안된 최신 액상화 설계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국내 관련 연구자들의 최신 기술 개발 동기 부여 가능
○ 액상화 평가기준 고도화 및 시설물별 액상화 피해 평가 및 대책 매뉴얼 제시로 지진시 액상화에 대해 경제적이고 신뢰성 높은 내진 설계 가능
활용방안 ○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명시된 “지하안전영향평가”,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에 필요한 새로운 안전성 평가 기술을 제공
○ 서울 등 도심 건축물 밀집지역에서 재건축 등을 위한 대심도 굴착 현장에서 인근 건축물의 안정성 확보 기술로 제공
○ 버스, 택시 등 도심지 굴착 현장을 통과하는 대중교통 운행차량에 보편적으로 탑재할 수 있는 보급형 센서 패키지의 프로토 타입 제작함. 본 연구 후 대중교통에 보급하는 모델을 추후에 계획하고 있음
○ 3D 영상정보기반 비접촉식 실시간 계측 시스템은 굴착배면의 구조물 변형과 침하계측에 실전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음. 특히, 서울역과 같은 문화재와 보강토 옹벽 등과 같이 비정형 및 입체 구조물의 계측에 특장점이 있음
○ 현재 그라우팅 시공시 현장품질관리는 공사감독자의 입회하에 시험주입을 실시하고, 이후의 주입은 감독자의 승인하에 실시되는 상황으로 정량적인 품질관리가 어려운 실정임. 해당 기술의 개발을 통해, 그라우팅 구근체 형상 파악이 가능함으로써 경제적 시공 및 발주처의 현장품질관리 기준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이 높음
○ 전도성 그라우팅 보강체의 보강 범위 기준 품질평가를 위한 소형 현장탐사 시험장비에 대한 실험 표준화 매뉴얼을 제작하여 도심지 대심도 굴착현장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기술제공
○ 하나의 장비로 여러 시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비 및 측정시스템 개발로 측정 데이터의 동기화를 통해 데이터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장비 및 소프트웨어 국산화로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음
○ 본 연구를 통해 특정 재료에 대한 물리적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서, 다양한 현장에 적용 및 평가함으로서, 보급 시장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설계 반영으로 시공품질 판단에 활용할 수 있음
○ 전도성이 향상된 그라우트 재료의 지중 형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장비로서 요소기술 개발을 통한 시공적정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음
○ 액상화 평가법 고도화에 따른 국내 최적 액상화 설계기준 정립 및 국내 주요시설물(철도, 교량, 제방, 건축물)별 최적화된 액상화 피해 평가 및 대책 매뉴얼 제시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멀티소스 센서패키지 전도성 그라우팅 재료 및 측정장비 비접촉식 3차원 동시변형 측정 액상화 기준 액상화 대책 매뉴얼
영문 Multi source sensor package Electrically conductive grout and evaluating device Non-contact 3D real-time deformation measurement Liquefaction criteria Liquefaction countermeasure manual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