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18CTAP-C133224-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시공 자동화기술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건설시공관리기술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건축시공기술 과제유형 기초
과제명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 개발
주관연구기관 인하대학교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김영석
소속 인하대학교산학협력단 직위 교수
전화번호 032-860-7182 FAX 032-863-1332
총 연구기간 2017-06-30 ~ 2018-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8-01-01 ~ 2018-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220,000,000 0 0 0 22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강관말뚝은 국내에서 가장 오랜 기간 사용되어 온 말뚝기초 형식으로 단위면적 당 하중지지능력이 타 말뚝에 비해 우수하고, 횡하중 및 휨모멘트에 대한 지지력 또한 높으며, 이음과 절단이 용이하므로 지지층의 깊이가 깊은 지반에서도 말뚝을 소요길이까지 시공할 수 있어 현장 적용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음.
●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강관말뚝은 현재 국내에서 PHC말뚝 다음으로 높은 사용량을 보이는 대표적인 말뚝기초로 연평균 47만톤 이상의 출하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특히 횡하중 및 휨모멘트가 크게 작용하는 교량, 항만시설 등과 같은 토목구조물 공사에서는 강관말뚝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됨. 강관말뚝의 구조물별 시장규모를 조사한 결과, 교량이 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서 항만시설, 플랜트가 각 20%의 점유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됨.
● 최근에는 강관 관련 재료의 내구성 향상 및 수명 증대, 외력에 대한 저항력 향상 등 강관말뚝에 대한 기술 개발 및 개량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PHC말뚝 대비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복합말뚝(강관말뚝+PHC말뚝)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고려해 볼 때 향후 강관말뚝의 수요 및 적용 범위는 비약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기대됨(한국철강협회, 2011).
● 이러한 강관말뚝 공사는 크게 1)매입식/타입식 공법을 활용한 말뚝의 지반 관입, 2)강관말뚝 상부의 두부정리, 3)강관말뚝과 상부 구조물의 연결을 통한 지지력 확보의 3가지 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음. 이 중 강관말뚝 상부의 두부정리 작업은 말뚝의 지반 관입 이후 말뚝기초의 시공에서 기초의 레벨을 맞추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필수작업으로, 최근 현장에서는 관입된 말뚝의 상부를 일정한 높이로 절단하고 절단면 상부에 두부보강 캡을 씌우는 방식으로 작업이 수행되고 있음.
● 현재 강관말뚝 공사를 수행하고 있는 경기도 고양시 소재의 토목공사 현장을 대상으로 강관말뚝의 두부정리 작업 프로세스 분석 및 현장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한 결과, 최근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강관말뚝 두부정리 공법은 1)노무자 안전성 측면, 2)품질의 균일성 측면, 3)작업 생산성/편의성 측면, 4)숙련공 부족 측면에서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필히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및 분석됨.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 대안으로, 강관말뚝 두부정리 공법을 대상으로 한 여러 형태의 강관말뚝 두부정리 장비 개발이 국내·외적으로 수행된 바 있음. 그러나 현재까지 제시된 선행 개발기술의 기계화 대상 작업은 강관말뚝 두부정리 공법의 전체 작업 프로세스 중 강관말뚝 절단작업에만 국한되어 있어, 기존 재래식 방식 대비 노무자의 안전성, 작업 생산성 및 편의성, 품질 제고 측면에서의 향상 효과는 극히 제한적이며, 특히 중량의 강관말뚝 두부 절단 후 이를 전도, 인양, 운반 및 적재하는 과정에서의 노무자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 및 작업 생산성 저하 문제는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선계과제인 것으로 조사 및 분석됨.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강관말뚝 두부정리 작업에 있어, 두부보강 캡 설치작업을 제외한 1)강관말뚝 절단선 인식, 2)강관말뚝 절단, 3)절단 부위의 전도 및 인양, 4)운반 및 적재작업의 全 과정을 기계화함으로써 노무자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작업 생산성/편의성 향상은 물론 품질의 균일성 확보를 가능케 하는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기 절단된 말뚝 상부) 핸들링 로봇’의 시제품을 개발하는 것임.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될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의 시제품은 교량, 항만시설 등과 같은 토목구조물 뿐만 아니라, 깊은 기초를 필요로 하는 고층 빌딩 등의 건축구조물 기초공사에도 적용될 수 있음. 또한 강관말뚝의 지속적인 수요와 상부말뚝이 강관말뚝으로 이뤄진 복합말뚝 사용량의 증가 추세를 고려해 볼 때 개발로봇의 적용 범위 및 추후 실용화를 통한 기대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 결과물의 현장 적용성 및 기술적/경제적 타당성이 확보될 경우, 민간으로의 성공적 기술이전 및 개발 기술의 수출을 통한 해외 시장성 확보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최종목표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하고 국제적 수준의 기술력을 지닌 최첨단의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노무인력에 의존한 기존 재래식 작업 방식에 비해 시공 품질 및 작업 생산성이 우수하고 노무자의 안전사고 위험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 로봇을 개발하는 것임.
●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은 굴삭기 등의 건설장비에 장착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Attachment) 형태의 장비로 개발될 예정이며, 1)측량 및 강관말뚝 절단선 표시, 2)강관말뚝 절단, 3)절단 부위 전도 및 인양, 4)절단 부위 운반 및 적재 등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All-in-one)의 장비임.
연구내용 및 범위 ● 본 연구의 최종 연구개발 성과물은 실제 현장적용이 가능한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이며, 본 연구에서는 최종 연구개발 성과물을 이용하여 실험실 환경 내에서 강관말뚝 두부정리 작업의 품질과 작업 성능을 검증하고, 기존 재래식 공법 대비 LCC 기반의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고자 함.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의 구현을 위해 정의된 주요 연구내용(세부목표)은 다음과 같음.
- 레이저 레벨기를 활용한 강관말뚝 절단위치 자동인식 기술 개발
- 유압 클램프 기반의 강관말뚝 고정 기술 개발
- 플라즈마 기반 강관말뚝 두부절단 기술 개발
- 절단된 강관말뚝 상부 분리 및 회전, 인양 및 운반 기술 개발
- 개발로봇 시제품 관련 요소기술의 통합을 통한 다기능(All-in-one) 어태치먼트의 개발
- 개발로봇 시제품의 기술적 타당성 및 현장 적용성 분석 모델 개발
- 개발로봇 시제품의 성능 측정 및 LCC 기반 경제성 분석 모델 개발
●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의 구성은 크게 레이저 레벨기를 활용하여 절단면을 인식하고 강관말뚝 절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1)‘센싱 및 절단부’와 유압 클램프를 기반으로 강관말뚝을 고정하고 절단된 말뚝 상부를 분리, 회전, 운반 및 적재하기 위한 2)‘절단 부위 핸들링부’의 두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음. 본 연구에서는 1차년도에 ①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의 상세설계, ②절단면 인식 및 절단을 위한 센싱 및 절단부 개발을 수행하며, 2차년도에 ③절단 부위 핸들링부 개발 및 시스템 통합을 통한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의 개발, ④개발된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에 대한 종합성능 및 경제성 분석 등의 과업을 수행하고자 함.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이 실용화될 경우 기존 방식 대비 안전성 및 품질의 균일성 확보, 작업 생산성/편의성 향상, 숙련공 부족 문제 해결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을 개발하여, 현재 국내에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500㎜ 규격 내외의 강관말뚝을 대상으로 실험실 환경 내에서 개발로봇의 경제성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작업 성능을 검증(TRL 4단계)하는 것을 연구의 범위로 한정함.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의 구성은 크게 레이저 레벨기를 활용하여 절단면을 인식하고 강관말뚝 절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1)‘센싱 및 절단부’와 유압 클램프를 기반으로 강관말뚝을 고정하고 절단된 말뚝 상부를 분리, 회전, 운반 및 적재하기 위한 2)‘절단 부위 핸들링부’의 두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음. 본 연구에서는 1차년도에 ①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의 상세설계, ②절단면 인식 및 절단을 위한 센싱 및 절단부 개발을 수행하고자 함. ●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 개발을 위한 핵심 요소기술(센싱 및 구동방식) 선정
●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의 상세설계
● 강관말뚝 절단위치 인식을 위한 센싱 및 절단부의 핵심 요소기술 개발
● 상세설계, 핵심 요소기술 기반의 센싱 및 절단부 개발
● 구조해석을 통한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상세설계의 구조적 안정성(Stability) 분석
● 강관말뚝 절단위치 센싱 및 절단부, 절단 부위 핸들링부의 성능 분석모델 개발
●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의 종합성능 및 경제성 분석 모델 개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본 연구에서는 강관말뚝 두부정리 작업의 용이성 확보 및 생산성 제고, 품질의 균일성 확보가 가능한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을 개발할 계획임. 이를 위해 본 연구진은 다양한 현장 요구사항 분석 등을 통해 최적 개념디자인 및 시제품을 제시하고,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및 현장 적용성 분석 등을 통해 국내 실정에 적합한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핸들링 관련 요소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 강관말뚝 시장 및 기술동향을 조사한 결과, 강관말뚝 및 복합말뚝의 수요와 적용범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 시점에서 국내 현실에 적합한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 개발을 통해 국내 건설관련 과학 기술의 자립도를 확보함으로써 기술의 해외 의존도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기존에 연구 개발된 강관말뚝 두부정리 관련 특허 및 기술이 현장 요구사항을 반영하지 못하여 현장 적용성이 매우 낮으므로 본 연구진은 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연구개발 프로세스와 활용 가능한 첨단 기술을 제안함으로써 안전한 건설 작업환경 조성 및 건설산업의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본 연구는 안전성, 생산성 및 품질 향상뿐만 아니라 인력 의존형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기술의 개발을 통해 건설 기술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인력 절감형 시스템의 개발로 인해 시공 성력화를 위한 자동화 시공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됨.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 개발을 위한 관련 요소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축적된 연구개발 프로세스 및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분석 관련 지식은 향후 건축 또는 타 산업분야에서의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 및 연구개발 측면에서도 큰 의의가 있음.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강관말뚝 및 복합말뚝의 시장 규모 및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 국내 실정에서, 개발될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의 도입은 건설 산업의 이미지 제고는 물론 생산성 향상을 통한 노무비용 절감, 안전성 확보를 통한 안전사고 처리비용 절감 등을 기대할 수 있음. 또한 개발로봇의 현장 적용을 통한 강관말뚝 두부정리 작업의 안전성 확보, 작업 편의성 및 품질 제고에 따른 생산성 및 경제성 향상은 노무자 부족, 생산성 저하, 채산성 악화 문제 등 현재 국내 건설 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모범 사례로서도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본 연구의 결과물을 토대로 개발될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이 성공적으로 현장에 적용될 경우 이는 선진 외국에 비해 자동화 로봇 개발에 지극히 보수적인 국내 건설 산업에 있어 기술개발 의욕을 고취시키고, 현대의 첨단 기술을 수용하지 못함으로 인해 최근 다른 산업과의 기술격차가 극히 심화되고 있는 국내 건설 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될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시제품은 국내 실정에 적합하고 국제적 수준의 기술력을 지닌 최첨단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핸들링 로봇이 될 것으로 기대됨. 해당 로봇은 교량, 항만시설, 플랜트 등과 같은 토목구조물 공사 현장뿐만 아니라 깊은 기초를 필요로 하는 고층 빌딩 등의 건축구조물의 기초공사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건축/토목 기초공사 및 토공사업체, 강관말뚝 제작 업체 등 다양한 기술수요처가 존재할 것으로 기대됨.
● 또한 강관말뚝의 지속적인 수요와 상부말뚝이 강관말뚝으로 이뤄진 복합말뚝 사용량의 증가 추세를 고려해 볼 때, 개발로봇의 적용 범위 및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됨. 본 연구 결과물의 현장 적용성 및 기술적/경제적 타당성이 확보될 경우, 국내 민간 기술이전 및 해외 시장으로의 발전 가능성도 무한할 것으로 예상됨.
● 연구개발 결과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보유기술을 기반으로 직접 기업을 설립하여 추진하는 방법과 상용화 희망 기업에 개발 기술을 이전하는 방법이 있음. 본 연구진이 직접 새로운 기업을 설립하여 상용화를 추진하기에는 기업 운영의 전문성이 부족하고 관련 시장의 인지도를 구축하기 곤란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후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의 상용화를 희망하는 기업에 본 연구진이 직접 기술을 이전하는 방법으로 상용화를 추진하고자 함.
● 따라서 본 연구의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제작업체와 재래식 강관말뚝 시공업체를 통해 연구 초기부터 실험을 지원하도록 하고, 현재 상용화에 의지를 가지고 있는 기업을 기술이전 대상으로 활용할 계획임. 굴삭기 기반 강관말뚝 두부정리 및 절단 부위 핸들링 로봇 제작업체의 경우 본 로봇의 제작 기업이므로 상용화를 위한 추가 제품 생산을 담당하고, 강관말뚝 시공업체의 경우 기술 및 실무 지원과 기존의 인지도를 바탕으로 한 마케팅을 담당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마케팅을 펼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또한 본 연구결과의 국제 홍보 및 마케팅을 위하여 매년 개최되는 국제 건설자동화 및 로봇 심포지엄(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등에 연구 개발결과를 발표하고 홍보 브로셔 제작 및 배포 등을 통해 대내외적으로 연구결과의 우수성을 적극 홍보하고자 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강관말뚝 두부정리 건설로봇 안전성 향상 경제성
영문 Steel Pipe Pile Pile Head Cutting Work Construction Robot Safety Improvement Economic Feasibility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보완본).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