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국내 도로설계기준을 만족하는 태양광 도로시스템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18CTAP-C129740-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도로교통기술 | 교통시설기반기술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건설 교통 | 철도교통기술 | 철도시스템 엔지니어링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설계 해석기술 | 도로 과제유형 기초
과제명 국내 도로설계기준을 만족하는 태양광 도로시스템 개발
주관연구기관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최재순
소속 서경대학교 직위 부교수
전화번호 02-940-7101 FAX 02-919-0345
총 연구기간 2017-04-01 ~ 2018-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8-01-01 ~ 2018-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192,000,000 7,000,000 63,000,000 70,000,000 262,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현재 세계 각국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친환경적 에너지인 태양광, 풍력, 조력 등 각종 자연 에너지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그 중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최근 반도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염가의 PV 셀(Photovoltaic Cell)이 개발됨에 따라 가장 유망한 대체 에너지 원으로 주목 받고 있음.
- 단기적으로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산업도 구조조정기를 겪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성장 전망을 보이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신재생에너지 시장 선점을 위한 국내외 업체간 경쟁이 가열될 것으로 판단됨.
- 제 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산업자원통상부, 2014)에 따르면,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1차에너지 대비 11% 공급하는 것으로 목표를 선정하였으나 2012년 기준으로 1차에너지 대비 3.18%에 비쳐 OECD 가입 34개국중 최하위권에 위치함.
- 건설공사분야에서도 최근 친환경적인 공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데, 네덜란드에서는 2014년도에 세계최초로 자전거 도로에 발전 패널을 접목시킨 Solar Bike Path(솔라 바이크 패쓰)를 시공한 바 있고, 미국에서도 2016년 태양광 발전 패널을 도로분야에 적용하여 신재생에너지를 발생시키는 Solar Roadways(솔라로드웨이)가 개발 및 시공 중임.
- 현재 국내에서도 주택, 주차장, 자전거 도로 등에 솔라 패널을 설치해 태양광발전을 시행하고 있으나 태양광 발전 패널 시설물 설치에만 국한되어 있어 해외사례와 같이 도로분야에서는 크게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임.
- 국내 연구수준은 압전도로, 집전도로 등의 유사 연구사례등은 있으나 도로 + 태양광 패널의 일체형 구조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며 해외 사례 등에 대한 조사결과도 미흡한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태양광 판넬 도로 구조체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및 기술적 개념을 정립하고 실험실 성능 평가를 실시하여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함.
최종목표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이 2035년까지 핵심에너지원으로 계획된 4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에 부합하여 이를 위한 요소기술의 하나로 태양광 도로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이때, 개발될 시스템은 국내 도로설계기준을 만족하는 기술로 기존 태양광 도로패널의 성능분석을 통한 국내 적합한 태양광 도로시스템의 개발 및 옥외시험 성능평가를 포함하며 태양광 도로설계기준(안)/시공매뉴얼(안)/사업화전략보고서도 작성하고자 함.
연구내용 및 범위 태양광 도로 타당성 연구경험의 주관기관/시험기제작/재료시험전문 중소기업/집전도로연구진 보유
의 도로전문중소기업
연구진의 선행연구/역할분담
1.1 국내외 태양광 도로 및 도로설계기준에 대한 문헌연구와 관련특허/기술수준분석
1.2 기존 태양광도로에 적용된 태양광패널에 대한 도로기능/에너지 관련된 성능분석
1.3 국내 적합한 태양광 도로시스템 개발 (특허출원/2년도 등록)
1.4 국내 태양광 도로설계기준(안) 작성
2.1 1차년도 작성된 태양광 도로설계기준(안)에 대한 전문가 자문
2.2 국내 태양광 적용환경 분석, 개발기술 및 기존기술에 대한 옥외 성능평가 (논문)
2.3 태양광 도로패널과의 연계기술 제안(특허출원), 국내 태양광도로 시공매뉴얼(안) 작성
2.4 태양광 적용분석틀 & 사업화전략 보고서 작성, 최종보고서 작성 (논문)
현재 우리나라는 SOC시설물이 1980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하여 이제 노후화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임. 이에 내구수명이 20년을 상회하는 태양광 패널 적용 도로시스템이 개발되면 이를 통해 도로의 운송기능과 전기공급이라는 2가지 공공재를 함께 창출할 수 있음.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광의 경우에는 태양광 대여사업의 의무화 조항을 제외하고는 정부가 민간참여를 독려하는 형태로 정책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실정임. 이러한 가운데 도로는 정부가 주로 운영하는 공공재로, 태양광 도로의 건설은 국가주도적으로 운영가능하여 그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됨.
예를 들어 2015년 현재 도로현황을 보면 전체적으로 107,527km이며 도심지 교통밀도가 높은 도심지역을 제외한 고속국도와 일반국도, 지방도 등만을 고려하더라도 36,000km수준으로 이는 정부 및 지자체 중심으로 태양광 도로의 설치가 가능하여 그 파급효과가 매우 큼. 다만, 초기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에서 장기적 전략을 갖고 이에 대한 사업계획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특허 정보검색싸이트(www.kipris.or.kr)에서 태양광 도로, 태양광 도로시스템, 태양광 도로포장, 태양광 도로패널 등의 단어를 검색한 결과, 세종시 자전거 도로에 설치된 태양광 지붕과 같은 도로 부속시설 위주의 특허만이 검색됨. 이는 도로포장에 태양광 패널이 적용된 기술개발은 전무함을 보여주고 있음.
주관연구기관은 2015년 태양광 도로의 국내 적용성 연구를 위해 국내 고속도로 준공년한이 일정기간이 지난 지역을 중심으로 기상청 자료를 통해 일사량과 청명지수 분석을 통해 선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고속도로의 재포장시와 태양광 도로의 설치시의 경제성을 비교한 결과, 13.37년 사용시 에너지 창출로 인한 초기비용이 재포장시와 동일한 수준이 됨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음. (2015년 한국도로학회 가을학술대회)
참여기업의 연구진 중 일부는 국가R&D로 진행된 집전도로 개발연구를 수행한 바 있어 이와 유사한 태양광 도로시스템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음.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국내외 태양광 도로시스템에 대한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성능분석을 통하여 국내실정에 적합한 도로시스템 제안 및 특허출원
국내외 태양광 도로시스템에 관한 문헌자료들을 수집, 연구 그룹을 구성하였음. 국내외 특허 및 기술 수준 분석을 실시하여 관련연구에 관한 사업 동향 파악을 실시 예정. 국내 도로설계기준 문헌조사와 태양광 도로 방문조사와 더불어 앞선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에 적합한 태양광 도로시스템 제안을 할 예정.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태양광 패널은 20년이상 그 효율이 80% 이상 유지되는 장점이 있으나 이는 외부하중작용이 미비한 건축물 중심이고 도로에 적용될 경우에는 교통하중과 빛의 통과를 담당할 강화유리 등의 설비가 추가되어야 함. 이 경우, 패널의 크기에 따라 하중분담이 적어 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블록형태, 판넬형태 등 다양한 패널의 적용이 필요함.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고려한 도로시스템의 개발은 태양광 패널 요소기술의 개발에 앞서 기존 태양광 도로에서의 특장점을 분석하여 국내 적합한 도로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함.
-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도로설계기준을 만족하는 태양광 도로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옥외 성능평가를 통해 적용성 검토를 수행하는 주연구목표외에도 태양광 도로설계기준(안) 및 시공매뉴얼(안)의 작성을 포함하고 있어 향후 관련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음.
- 또한, 태양광 도로의 적정입지 선정을 위한 적용환경 분석틀도 이 연구를 통해 제안될 예정이므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기술의 도입이 가능함.
- 미국, 프랑스, 네델란드 등 선진국이 최근 시범도로를 운영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를 벤치마킹하여 국내 우수한 태양광 패널제작기술을 기초로 국내 우수한 도로시공기술이 접목되면 향후 세계적으로도 선도적인 위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IT기술의 급진적 성장과 함께 새로운 개념의 교통수단 개발과 함께 IT기술의 접목으로 스마트해지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전력의 공급이며 이러한 전력의 공급은 다양한 IOT기술과의 연계가 가능해져 모니터링 및 위기대응이 가능한 스마트 도로의 건설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됨.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화석연료와 원자력의 이용이 점차 기후변화와 재난발생의 위험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외면받고 있는 시점에 태양광을 통한 에너지창출원의 확보는 바람직하며 특히, 전세계적으로 태양광이 적절한 우리 나라의 환경에서도 가장 바람직한 신재생에너지의 창출이 될 것임.
- 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르면 2025년까지 태양광 에너지는 핵심에너지로 선정되어 향후 10년간 3배 정도의 신장을 계획해야 함. 이때, 민간참여를 유도하는 것보다는 최근 도로의 노후화로 인한 보수보강, 재포장 등이 후속되는 점을 고려하여 국가재산인 도로에 전력생산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운영하게 되면 도로의 교통기능과 전력생산기능을 함께 담당하는 하아브리드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음.
- 도로연장이 2015년 현재 10만킬로 이상인 점은 중장기계획의 설립으로 태양광 도로의 건설을 시행에 옮길 경우, 태양광 패널이 갖는 내구성을 감안한다면 장기적 측면에서 경제적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됨.
- 현재, 압전도로 등과 연계될 경우, 그 시너지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건설기술로 해외에 진출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본 연구성과물에서 태양광도로 포장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성능평가 과정을 진행하고 이와 관련하여 기술 개발 등에 관한 특허를 분석, 전문가를 활용하여 경제성 분석을 실시할 것임.
- 또한 2차연도에선 각 성과물에 관하여 사업화의 타당성을 조사 및 검토하고, 이에 따른 사업화의 경제성을 도출할 것임.
- 태양광 도로는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의 도로에도 다양한 기능의 추가가 가능하게 되어 균형적인 국토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음.
- 또한,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산악지역에서의 재난관리 모니터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
- 태양광 도로포장시스템에 압력센서, LED,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IT 기술이 융복합 될 경우 지방국도 지역에서 야생동물 출현시 주행중인 차량에 경고신호를 보내거나 도로에 LED를 이용한 경고신호를 보냄으로써 운전자와 야생동물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음.
- 주차장에 태양광 도로판넬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시 주차장의 전력을 자체해결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의 충전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또한 급전도로와 태양광 도로 판넬이 융합된다면 도로 주행중에도 충전 및 전력공급을 기대할 수 있음. 이는 충전소 등과 같은 인프라 부족으로 보급이 더딘 전기자동차 시장에 파급효과가 기대됨.
활용방안 태양광 도로는 기상과 관련되어 자연조건의 이용을 위해 기상자료(일사량, 청명지수) 등의 지역적 특성 분석을 통해 태양광 도로 건설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분석틀을 제공하므로써 태양광 도로 건설을 위한 적용성 검토에 이용가능.
도로는 주차장, 보도, 자전거도로, 일반도로 등 다양한 교통하중이 적용되는 시설로 사용환경에 따라 다른 설계기준이 적용됨. 따라서, 태양광 도로 또한 그 목적에 따라 사용패널을 달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태양광 패널의 에너지효율과 관련된 요소기술 외에 교통하중에 대한 성능 또한 구비되어야 함.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작성될 태양광 도로설계기준(안)과 태양광 도로 시공매뉴얼(안)은 향후 태양광 패널의 발전을 감안하더라도 이를 만족시키는 요소기술의 개발과 보조를 같이 할 수 있음.
최근 도로를 포함한 SOC시설물의 노후화로 인해 유지보수에 관련된 정책이 크게 집중받고 있는 실정으로 이에 본 연구개발성과는 국가가 주도하는 2가지의 공공재인 도로와 전력이 혼재된 하이브리드 개념을 갖고 있음. 특히, 2015년 도로연장이 아래와 같이 10만킬로미터를 상회하는 점은 국가주도의 태양광 에너지 증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음.
도로가 점점 스마트해지고 IOT기술 기반의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기술이 계속적으로 발전해가며 전기에너지를 포함한 도로시스템의 변화가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임. 이러한 점에서 도로가 전력을 창출하는 하이브리드 효과를 갖게 되면 기존 전력시설의 이용이 힘든 지역에도 이러한 스마트한 도로의 건설이 가능하게 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태양광 도로 태양광도로 설계기준 옥외 성능평가 하이브리드 공공재 사업화 전략
영문 solar road solar road design standard field performance evaluation hybrid public goods commercialization strategy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서경대학교)_평가후수정보완.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