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기술 개발1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 과제번호 15RDPP-C106386-01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국토정책 계획 | 국토정책 적용분야 환경
2순위 건설 교통 | 건설 환경설비 기술 | 건축 도시환경 시스템 정보화기술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건설 환경설비 기술 | 건축환경 설비기술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정영선
소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직위 공학박사
전화번호 031-910-0114 FAX -
총 연구기간 2015-12-23 ~ 2016-07-22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5-12-23 ~ 2016-07-22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1차년도 90,000,000 0 0 0 9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1997년 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 체계 이후, 그리고 2015년 파리 기후변화총회(COP 21) 회의로 예견되는 신기후체계 출범(Post-2020 감축 목표 수립*)을 앞두고 국제사회의 기후변화대응 노력에 발맞추어 한국도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절실

-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 및 건물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이끌 핵심 감축 기술을 발굴하여 정부가 집중 육성해야 할 핵심기술 개발 분야 및 과제를 도출하여야 함
- Post-2020 감축목표에 따라 2030년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및 감축잠재량 예측, 핵심기술 개발전략 등 목표달성을 위한 계획 및 실행방안 마련을 위해 국가레벨에서의 건물부문의 예측/평가 기술이 확보되어야 함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지원을 위한 기반구축을 통해 현재 국가수준의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확인(계측), 단계별/년도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감축 목표 달성 확인을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이 요구되며, 어디서, 얼마의 감축이 이루어졌는지 확인을 위한 세계최초 인벤토리 기반의 건물부문 온실가스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필요
최종목표 [총괄목표] POST-202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핵심기술을 발굴 및 확보하고, 합리적인 감축목표 설정과 정책적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국가수준의 건물부문 온실가스 평가 모델 개발 및 세계 최초의 건물부문 온실가스 통합관리시스템 개발에 대한 기획

○ 2015년 12월 도출 예정인 新기후체제를 앞두고 우리나라의 POST-202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30년 BAU 대비 37%로 결정함으로써 건물부문의 대응전략 마련 및 목표달성 방안 마련을 위한 기술개발 전략 수립
연구내용 및 범위 ○ 연구기획의 범위

①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시장·기술·정책 동향 분석
- 국내외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정책동향 분석
- 국내외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시장, 산업 및 기술동향 분석
- 타산업 및 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별 기술과의 중복성 및 차별성 상세 분석

②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핵심기술의 정의 및 목표 설정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필요한 핵심기술 정의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비전 목표체계 수립

③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연구내용 및 추진전략 도출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세부 연구내용 구성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연구성과 및 성과활용계획 수립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연구개발과제 투입인력 및 소요예산 도출

○ 연구분야 기획 내용

[연구분야 1] (예측/평가)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모델 개발
- 건물부문 에너지·온실가스 감축기술 데이터베이스 구축
- 국가수준 독자적인 상향식(Bottom-up) 온실가스 감축 평가모형(software model) 개발
- Post-2020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방법론 개발
- 중장기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분석 및 목표 수립

[연구분야 2] (기반구축) 건물부문 온실가스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 건물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 건물부문 온실가스 데이터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Post-2020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전략 수립
- 국가수준 건물부문 온실가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발

[연구분야 3] (추진정책)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추진 정책 개발
- Post-2020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및 추진시나리오 수립
- 건물부문 온실가스 통합관리 정책 개발

[연구분야 3] (핵심기술)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핵심기술 개발(제안)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핵심기술 수준 및 목표 설정
- 건물부문의 기존 기술에 대한 체계 분석 및 기술 우선순위 설정
- 기존 개발 및 완성기술에 대한 혁신적 발전 과제 도출
- 기존기술의 범위에서 탈피하여 신규 또는 신산업 기술과제 발굴

○ 최종 RFP 도출
- 기획연구 결과에 따라 과제 공모를 위한 연구과제 개발 제안서(RFP) 작성. RFP의 구성내용은 연구개발 목표, 필요성, 기술의 개요, 연구개발 상세 내용, 추진방법, 최종성과물, 연구개발과제의 규모 및 기대효과 등으로 구성 예정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1차년도 [총괄목표] POST-202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핵심기술을 발굴 및 확보하고, 합리적인 감축목표 설정과 정책적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국가수준의 건물부문 온실가스 평가 모델 개발 및 세계 최초의 건물부문 온실가스 통합관리시스템 개발에 대한 기획


○ 2015년 12월 도출 예정인 新기후체제를 앞두고 우리나라의 POST-202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30년 BAU 대비 37%로 결정함으로써 건물부문의 대응전략 마련 및 목표달성 방안 마련을 위한 기술개발 전략 수립
○ 연구기획의 범위

①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시장·기술·정책 동향 분석
- 국내외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정책동향 분석
- 국내외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시장, 산업 및 기술동향 분석
- 타산업 및 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별 기술과의 중복성 및 차별성 상세 분석

②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핵심기술의 정의 및 목표 설정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필요한 핵심기술 정의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비전 목표체계 수립

③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연구내용 및 추진전략 도출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세부 연구내용 구성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연구성과 및 성과활용계획 수립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연구개발과제 투입인력 및 소요예산 도출

○ 연구분야 기획 내용

[연구분야 1] (예측/평가)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모델 개발
- 건물부문 에너지·온실가스 감축기술 데이터베이스 구축
- 국가수준 독자적인 상향식(Bottom-up) 온실가스 감축 평가모형(software model) 개발
- Post-2020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방법론 개발
- 중장기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분석 및 목표 수립

[연구분야 2] (기반구축) 건물부문 온실가스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 건물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 건물부문 온실가스 데이터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Post-2020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전략 수립
- 국가수준 건물부문 온실가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발

[연구분야 3] (추진정책)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추진 정책 개발
- Post-2020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및 추진시나리오 수립
- 건물부문 온실가스 통합관리 정책 개발

[연구분야 3] (핵심기술)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핵심기술 개발(제안)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핵심기술 수준 및 목표 설정
- 건물부문의 기존 기술에 대한 체계 분석 및 기술 우선순위 설정
- 기존 개발 및 완성기술에 대한 혁신적 발전 과제 도출
- 기존기술의 범위에서 탈피하여 신규 또는 신산업 기술과제 발굴

○ 최종 RFP 도출
- 기획연구 결과에 따라 과제 공모를 위한 연구과제 개발 제안서(RFP) 작성. RFP의 구성내용은 연구개발 목표, 필요성, 기술의 개요, 연구개발 상세 내용, 추진방법, 최종성과물, 연구개발과제의 규모 및 기대효과 등으로 구성 예정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및 로드맵 작성, 감축정책 검토 및 감축방안 마련 등 공공부문이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할 부분으로 정부주도하에 건물부문의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함으로써 국내 건축산업 및 녹색기술의 경쟁력 향상을 지원 가능

- 국제협상 등 신기후변화체계에서 국제적 협상력을 높이고 선제적으로 대응 또는 개발도상국을 리드

- 부문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이 확정되면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적 비용 소요가 예상되며 투입 비용 대비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큰 수단을 중심으로 감축 이행이 가능

- ‘패시브 건축물’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구현기술 및 온실가스 감축 핵심기술 개발은 건설 산업 참여자의 온실가스 절감을 위한 자발적인 노력에 기반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국가 온실가스 총 발생량의 감축 및 에너지소비량에 영향을 미쳐 국가 경쟁력의 강화에 긍정적 효과로 작용

- 국내 건물의 기존 노후 건축물 리모델링 시 최적의 녹색화 기술을 적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국가적 정책인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 목표에 기여하고, 녹색화 성능 기준 마련에 활용 가능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국제 기후변화협약 이행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정보 구축으로써 EU 등 선진국 뿐만 아니라 중국, 멕시코 등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노력하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국내 기술 및 정책 시스템을 전파할 수 있음

- 기후변화회의 COP21(2015년 12월) 이후 신기후체계에서의 국제 기후변화협약 이행 및 국제적 협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신기후체계의 메커니즘에 선도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국익을 높일 수 있음

- 온실가스 의무감축에서 오는 비용(탄소배출 비용 등)을 줄이고 개발 기술 등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비용을 줄임으로써 국가적 낭비를 줄이고 기회비용 확보

- 제로에너지 그린빌딩에서 건물외피시스템의 개발만으로 2015년 이산화탄소 배출 및 에너지절감 목표 80% 달성이 가능하며, 연간 5000억원의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매우 큰 효과 예상되는 분야이며, 특히 냉난방, 급탕, 환기, 조명부문 뿐만 아니라 기존건축물의 에너지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분야에서 다양한 감축 기술 적용은 향후 주요 건축시장으로 형성 예상
활용방안 POST-2020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기술 개발’을 위한 국토해양부 R&D 연구 과제 도출

① 건축물 온실가스 감축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후보 연구과제 도출
② 2030년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을 위한 국가수준의 감축모델 기획
③ 건물부문 온실가스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체화 방안 및 추진내용 도출
④ 2030년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실행을 위한 보급 활성화 정책 전략 수립
⑤ 본 연구과제 추진 및 수행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상세기획보고서 제시

○ 녹색 건축물 지원 기술수요와 미래시장의 기술수요 예측을 통한 시장 요구형 시스템 개발 및 실용화를 국토해양부 R&D 연구과제 중점 추진분야로 도출

○ 최종 RFP 도출
- 기획연구 결과에 따라 과제 공모를 위한 연구과제 개발 제안서(RFP) 작성. RFP의 구성내용은 연구개발 목표, 필요성, 기술의 개요, 연구개발 상세 내용, 추진방법, 최종성과물, 연구개발과제의 규모 및 기대효과 등으로 구성 예정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온실가스 감축 평가모델 지원시스템 과제발굴
영문 Greenhouse-Gas Mitigation Model Support System Request for Proposal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표지포함).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