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액상 폐자원 활용 전력생산플랜트를 위한 효율 25% 이상 역전기투석 스택 기술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22CTAP-C163702-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에너지·자원 | None | None 적용분야 환경
2순위 에너지·자원 | 석탄생산시스템 | None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보건·의료 | None | None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액상 폐자원 활용 전력생산플랜트를 위한 효율 25% 이상 역전기투석 스택 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남주연
소속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직위 -
전화번호 042-860-3114 FAX 042-860-3202
총 연구기간 2021-04-01 ~ 2022-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210,000,000 0 0 0 210,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본 과제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자립 도시 실현을 위한 저탄소, 친환경 역전기투석 (reverse electrodialysis, RED) 발전기술에 대한 것임. 음식물쓰레기, 목질계 폐기물, 하수 슬러지 등 고형 폐자원은 혐기소화, 수열탄화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처리와 동시에 에너지화 되는 반면 하폐수는 에너지를 소비하며 오염물질이 처리되고 자원화, 에너지화에 대한 연구보단 저에너지 소모형 수처리 기술 개발에 초점이 맞춰 있음.
○ 제안 기술은 각종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수, 가정에서 버려지는 오수, 자연에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물 등을 액상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하여 발전을 하는 기술로서 태양광이나 풍력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원과는 다르게 24시간 동안 일정하게 발전이 가능하고 컴팩트하며 오염물질 배출이 없어 입지 선정에 자유로운 장점이 있음
○ 우리나라 뿐만 아니리 전세계적으로 청정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매우 크고 에너지 전환정책, 그린뉴딜 등의 정책추진으로 인한 신재생에너지, 온실가스 저감 기술 개발 및 보급이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좁은 국토, 적은 에너지 자원, 이용률 극대화를 위한 여러 한계에 대응 할 수 있는 새로운 대체 에너지 폐자원을 발굴하고 안정적 에너지 공급이 가능한 컴팩트한 차세대 발전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상황임
○ 도심, 도외지역에 적용 가능한 액상 폐자원을 활용하여 기존 RED 발전 기술의 한계인 낮은 효율, 낮은 원수 톤당 에너지 회수율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성공적인 기술 개발시 컴팩트한 자원회수 플랜트 구축에 기여.
최종목표 ○ 최종목표
: 액상폐자원 기반 전력생산/자원회수 플랜트 컴팩트화를 위한 고효율 역전기투석 기술 개발

○ 세부목표
① 컴팩트한 플랜트 구축을 위해 원수사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cascade 방식 스택 개발 (효율 25% 이상)
② Multistage/cascade 스택 성능 최대화(Multistage 기준 비에너지 0.5 kWh/m3)를 위한 직/병렬연결, 원수 운전조건 최적화
③ 역전기투석 전극 부산물인 그린케미컬 (NaOCl, NaOH) 생산, 이를 원수(폐염수, 하수방류수 등) 전처리 및 스택유지세정에 활용하는 기술융합 시스템 확립
연구내용 및 범위 - 연구내용
○ 기존 역전기투석 스택은 parallel flow 방법으로 주로 구동이 됨. 이는 원수의 유량을 높이는 방식이며 전력생산 본공정의 전,후 공정 (전처리, 후처리) 사이즈도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집약적 플랜트 설계가 어렵게 되고 펌프 에너지도 높아짐. 뿐만 아니라 염폐수의 염도가 증가할수록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함. 이는 염도가 높아질수록 스택 내에서 전류누수 (current leakage)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짐. Series flow 적용은 고출력 생산을 위한 스택에는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함.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운전방식을 가지는 스택을 개발할 예정
○ 전력생산 중 비에너지(kWh/m3, specific energy)는 한정된 폐자원을 활용하는데 있어 중요한 성능지표임. 톤당 에너지 회수율 제고를 위해 다단 스택(Multistage stack)에 대한 성능테스트 및 최적화 수행
○ 역전기투석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또 다른 요인에는 원수 내 존재하는 다가이온이 있음. 환원전극에서 생산되는 NaOH를 이용하여 CO2와 함께 다가양이온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제안하고 통계적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CO2와 NaOH 주입량의 최적 조건을 도출함.
○ 산화전극의 부산물인 NaOCl의 생산 수율 향상 방법에 대하여 연구함. 이는 스택 구동시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 화합물로서 최대출력 유지와 동시에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면 역전기투석 기술의 경제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어 전극반응을 명확히 규명하고 정량화 하여 적절한 활용방안 제시.
○ 역전기투석 스택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은 유입수의 전도도, 온도 등의 환경적 요인에 가변적이어서 스택 에너지를 최대로 추출하여 전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력 제어 기술이 필요함. 연속적으로 운전되는 역전기투석 스택에 대해서 안정적인, 연속적인 고출력 생산을 위한 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수행 예정.

- 연구범위
○고효율 역전기투석 스택 개발
- 최종적으로 효율 25% 이상의 성능을 가지는 스택 개발
- 원수의 스택 내 체류시간을 높이기 위한 cascade 방식 스택 설계
- 전류손실을 최소화하는 manifold 설계 및 스택 운전 방식 확립- 비대칭형 스페이서 적용, 두가지 원수의 운전방식 이원화를 통한 효율 향상 방법 도출
○ 액상 폐자원으로부터 전력 생산
- 염폐수와 하수방류수로부터 전력 생산 및 Multistage 스택 운전을 통한 톤당 0.5 kWh 에너지 회수
- 원수 유,무기물 성분의 스택 내 거동 평가
○ 원수 사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컴팩트한 스택의 모듈화 및 생산 전력 제어
- Multistage/cascade 역전기투석 스택의 출력 향상을 위한 최적 직력/병렬 연결 조합 도출 및 전압/전류 향상
- Multistage/cascade 역전기투석 스택 모듈에서 전력전달 극대화 및 최대 전력점 추종(MPPT)을 위한 제어 기술 개발
- 종래의 스택 대비 물사용량을 70% 이상 감소시켜 전력플랜트의 소형화가 가능한 스택 최적운전 조건 도출
○ 전극반응으로부터 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
- 전극부산물을 활용한 원수 내 다가이온 처리 및 스택 유지세정
- 통계학적 최적기법을 이용한 제거율 향상을 위한 최적 조건 도출
- 다가이온 free 원수의 역전기투석 스택 적용 위한 통합시스템 구축
-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수소 가스 포집 및 에너지 잠재량 평가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Cascade 방식 RED 스택 성능평가 및 전극 부산물 활용 기술 개발 ○ Cascade 방식 RED 스택 개발
- 컴팩트화를 위한 저용량 원수 사용 cascade 방식 단일 스택 설계
- 단일 스택 내 전류손실(leakage current) 최소화, 효율 최대화 가능한 최적 stage 수 도출
- 원수의 유속/체류시간 최적 조건 도출
○ 최대 출력 조건에서 산화전극부의 염소계 산화제 생산
- 산화전극 종류에 따른 NaOCl 수율 평가
- 전압, 전류, 유속, 전해질에 따른 맞춤형 제어조건 도출
- 산화환원전위 분석에 따른 그린케미컬 생산 공정변수 확립
○ 저탄소/저에너지 다가이온 전처리 기술 최적화
- 환원전극반응 부산물 NaOH, 외부 공급 CO2를 이용 한 원수 내 다가 양이온 제거 평가
- 통계학적 최적화(반응표면법) 방법을 이용한 다가이온 제거 최적 조건 도출
- 전처리수 성분 분석을 통한 RED 스택 적용 가능성 평가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고효율 역전기투석 스택 개발
: 신개념 새로운 스택을 개발하고 저용량의 액상 폐자원으로부터 최고효율 도출
○ Multistage 스택 모듈의 전력제어 기술 개발
: 다단 역전기투석 스택모듈에서 최대 에너지 회수 극대화 및 안정적 전력 생산을 위한 제어 기법 도출
○ 스택오염 제어용 염소계 산화제 생산 기술 개발
: 역전기투석 스택의 전극반응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 이를 스택 오염제어에 사용할 수 있는 on-site 케미컬 생산 공정 확립
○저탄소/저에너지 다가이온제거 기술 개발
: 역전기투석 스택의 또 다른 전극 부산물인 가성소다와 온실가스인 CO2를 활용하여 폐염수 내 존재하는 다가이온 침전 제거. 통계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최적조건을 도출하고 처리수의 역전기투석 스택 응용 가능성 타진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폐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전력생산 기술 확보를 통한 발전기술의 패러다임 변화
○ 염분차 발전은 CO2-free 전력생산 기술로 알려져 있고, 기존 재생에너지의 결정적 문제점인 이용률과 부하변동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신발전 기술임. 농도의 차이를 가진 어떠한 물도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저탄소, 청정에너지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자 하는 현정부의 과학기술정책 기조에 부합되는 미래 국가 에너지안보를 대비한 차세대 발전기술임
○ 도시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적은 반면 세계 에너지수요의 약 65%를 차지하고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거주함. 따라서 각국의 도시는 재생에너지 보급의 선도적인 역할을 할 필요가 있음. 본 제안기술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적은 도시지역에 적용 가능하며 간헐적이거나 부지제약을 받는 태양광이나 풍력에너지와는 다르게 실내 설치가 용이한 컴팩트한 기술임. 따라서 도시 내 워터 그리드를 활용하여 물-에너지 지속가능성 구현
○ RED 발전 시 온실가스 발생량은 화력발전소에 비하연 지극히 미미한 상태로 100% 청정에너지라 할 수 있음. 따라서 입지선정시 주민수용성 확보가 용이함. 저탄소 폐자원 순환 복합플랜트에서 미활용 액상형 폐자원을 새로 발굴하고 이를 이용한 에너지 자립도시 실현
활용방안 ○ 기반연구 결과물을 바탕으로 단기적으로는 연구개발 종료 이후 획득한 연구결과물을 바탕으로 차상위 연구과제와 연계하여 연구의 지속성과 연계성을 확보하여 상용화를 위한 기초기술로 활용하고 여러 응용 분야의 적용 연구를 수행하며 실용화 전략을 제시함.
○ 본 제안기술은 폐자원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데 있어 컴팩트한 플랜트 구축에 기여를 할 수 있는 연구임. 환경기초시설의 지하화에 대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에너지 다소비 환경기초시설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에너지 생산형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임. 제안한 폐자원 활용 컴팩트한 전력 생산 기술은 미래도시 구현을 위한 자원순환형/지속가능한 물순환체계 실현에 활용 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관련 과제 수주를 통해 기술을 발전시켜 나갈 예정
○ 또한 제안 기술은 안정적이며 ESS가 필요 없고 부지제약이 없는 직접 전력 생산이 가능한 기술로서 성공적인 기술 개발시 오폐수가 발생하는 빌딩의 지하에 위치하여 건물의 전력 공급에 활용 혹은 분산형 전기충전 인프라 구축에 활용 가능함.
○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에서 에너지 효율 제고를 위한 하이브리드 공정으로서 활용 가능. 담수화 공정/수처리 공정과 연계하여 저에너지 소모형 수처리 조합기술로 활용 가능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역전기투석 액상 폐자원 전력생산 에너지효율 분산형 시스템
영문 Reverse electrodialysis Liquid waste resources Power production Energy efficiency Decentralized system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