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무인이동체기반 접근취약 철도시설물 자동화점검시스템 개발4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공공혁신조달연계 무인이동체 및 SW플랫폼 개발 과제번호 22DPIW-C153340-04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시설물 안전 유지관리 기술 | 시설물점검 진단기술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기계 | 로봇 자동화기계 | 자동화 관련 계측 센서기술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기계 | 항공시스템 | 고정익 회전익 항공기 기체 과제유형 응용
과제명 무인이동체기반 접근취약 철도시설물 자동화점검시스템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윤혁진
소속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위 실장
전화번호 031-460-5000 FAX 031-460-5814
총 연구기간 2019-06-28 ~ 2023-06-27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4차년도 1,365,000,000 37,334,000 256,000,000 293,334,000 1,658,334,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철도시설물이 매년 증가하고 또한 전철화 증가에 따른 전기분야 주요시설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시설물 유지관리 인력은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에 있음
- 최근 5년간 철도시설물 및 전기분야 주요시설물 유지관리 인력 각 7%와 4% 씩 감소
- 한국철도공사의 주요 토목구조물 및 전기시설물에 대한 인당 정기점검 개소는 각 579개소와 13.8개소로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어려움
- 열차운행 1억km당 작업자 사망자수는 6.17명('14)으로 선진국대비 8배 높은 수준(독일 0.77명)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 확보가 필요함

○ 접근취약지역 철도시설 유지관리를 목적으로 무인이동체 운영 착수
- 국토부 철도시설안전과 주관으로 철도공사(시설, 전기 분야) 및 철도시설공단에서 시범운용 수행('17.05~10)
?무인이동체의 철도시설 유지관리 목적으로 적용 가능성 검토
?상용 UAV를 이용하여 접근취약개소의 영상 획득만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인력점검대비 점검시간 단축 효과를 확인
- 철도공사에서는 21대의 상용 무인이동체를 각 지역본부에서 영상획득 용도로 활용중('19.05)이며, 토목시설처 주관으로 운용을 위한 전담조직 준비중
- 철도시설공단에서는 철도보호지구 관리를 위하여 무인이동체를 시험 운용('18.12)하였으며, '19년에 2대의 무인이동체를 도입 예정

○ 무인이동체를 이용하여 철도시설물 정기점검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사항
- 전차선, 송선선로 등 전자기파 발생개소 운용시 철도운영환경에 강인한 무인이동체 기술
- 현장 작업자의 수동조작을 최소화하며 운영할 수 있는 점검 자동화 기술
- 철도시설물 근접운용시 안전확보를 위한 지침, 시험평가
-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통합관리, 손상진단, 상태분석 시스템
- 주기적인 변상추적, 외관 조사망도 생성 및 표출 시스템

○ 무인이동체기반 철도시설물 점검 자동화 기술 개발
- 철도운영환경에 강인한 자동화 점검용 무인이동체 제어 기술 개발
?전차선 고전압, 고자기장에 강인한 무인이동체 제어 기술 개발
?열차풍에 대한 무인이동체의 위치, 자세 안정화 기술 개발
?전차선 등 지장물 자동회피 기술 개발
- 원격제어 점검을 위한 무인이동체 3차원 운용 시스템 개발
?무인이동체간 점검시나리오 연계기술 개발 (무인이동체의 고장, 배터리 잔량 등 고려)
?점검을 위한 철도 시설물별 3차원 자동화 운용 기술 개발
?열차 운행 스케쥴과 연계된 원격제어 안전성 향상 및 현시 기술 개발
?조달청 우수물품 심사 신청 및 등록
- 철도시설물 근접 안전기준 및 시험평가 기술 개발
?무인이동체의 철도시설물 근접을 위한 기준규격 및 평가 항목 도출
?철도환경에 특화된 무인이동체 시험평가를 위한 계측장비 개발
?접근취약 철도시설물의 정기점검용 무인이동체 시험평가를 위한 Test Bed(철도종합시험선로 활용) 구축
?장기 시험운용을 위한 확장방안 및 활용계획 수립

○ 철도시설물별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분석 및 상태진단 자동화 기술 개발
-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통합관리 및 상태분석 시스템 개발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및 외부표정요소의 GIS기반 현시기술 개발
?무인이동체 수집 데이터 통합관리 체계 개발
?데이터 이력기반 변상추적 기술 개발
?철도시설물 외관 조사망도 표출 및 생성 기술 개발(철도교량, 송전철탑 등 대상)
- 무인이동체 영상기반 철도시설물 손상진단 SW 개발
?시설물별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정보 상세분류 기술 개발
?점검 시설물별 외관 정보를 이용한 손상진단 자동화 기술 개발(점검항목 : 균열, 손상 등 변상유무)
- 실증을 위한 현장 Test Bed 구축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기반 철도시설물 상태진단 시스템 및 유지보수 지원 기술 개발
?무인이동체기반 자동화점검시스템 기술 검증을 위한 현장 Test Bed 구축(철도교량, 송전철탑 등 각 1개소 이상)
최종목표 <최종목표>
: 무인이동체를 활용하여 철도교량, 송전철탑 등 접근취약 고속 및 일반철도 시설물의 정기 점검을 자동화하고, 취득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손상진단 및 상태분석을 자동화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TRL 7단계)

<세부목표>
○ 무인이동체기반 철도시설물 점검 자동화 시스템 개발
- 수요기관 요구도를 반영한 무인비행체 개발
- 철도 운용환경에 강인한 무인이동체 제어시스템 개발
- 원격제어 점검 및 운용 자동화 시스템(이동형 지상국 및 SW) 개발

○ 철도시설물 근접운용 안전 시험평가 기술 개발
- 근접운용 안전 확보를 위한 시험규격 개발
- 근접운용을 위한 시험평가 장치 개발
- 철도운용 환경에 대한 시험평가를 위한 Test Bed 구축(철도종합시험선로 활용)

○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분석 및 상태진단 자동화 시스템 개발
-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통합관리 및 상태분석 시스템(서버 및 SW) 개발
- 취득영상기반 손상 진단 자동화 SW 개발
- 기술 검증을 위한 현장 Test Bed(철도교량 및 송전철탑 각 1개소) 구축
연구내용 및 범위 ○ 무인이동체 철도운용 환경 분석 및 시스템 기본설계 완료
- 철도시설물 자동화 점검을 위한 무인이동체 시스템 설계
- 위성불용 및 자기장 외란 환경에 강인한 복합항법알고리즘 개발
- 무인이동체의 철도시설물 근접을 위한 운영환경 분석
- 철도시설물 정기점검용 무인이동체 시험평가를 위한 TB선정
-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통합관리 및 상태분석 자동화 시스템 설계
- 시설물별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품질 분석 및 손상진단 자동화 알고리즘 설계
- 철도시설물 유지관리 체계내 자동화 점검시스템 적용 방안 수립

○ 상세설계 및 세부 모듈 제작 완료
- 철도시설물 자동화 점검을 위한 무인이동체 시스템 제작
- 철도환경 고신뢰성 융합항법알고리즘 개발 및 구현
- 열차풍에 대한 무인이동체 제어안전성 시험평가기술 개발
- 무인이동체의 철도시설물 정기점검을 위한 지침 개발
-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통합관리 및 GIS기반 현시기술 개발
- 시설물별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품질 분석 및 손상진단 데이터 학습 DB 구축
- 무인이동체기반 자동화점검시스템 운영 기술 개발

○ 시작품 제작 및 단위 성과별 시험검증 완료
- 철도종합시험선로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제어 및 자동화 운용 성능 시험
- 무인이동체 운용환경에 최적화된 융합항법 알고리즘 구현 및 성능 분석
- 무인이동체 전철전력 내성 시험평가기술 개발
- 철도시설물 정기점검용 무인이동체 시험평가를 위한 TB구축
- 철도시설물 외관 조사망도 생성 및 변상추적 기술 개발
- 무인이동체를 통한 취득영상 상세분류 및 DB 손상항목별 데이터 확보 및 학습 DB 구축
- 운영기관 유지보수 체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통합 시험 및 Test Bed 운영시험 완료
- 무인이동체기반 철도시설물 자동화 점검시스템 Test Bed 실증
- 무인이동체의 철도시설물 근접 안전 시험평가 수행
- 무인이동체의 철도시설물 근접운용을 위한 지침 개발
-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통합관리 및 상태분석 시스템 현장 구축
- 현장평가 성능시험을 통한 자동 손상진단 S/W 고도화
- 자동화 점검시스템 기술 검증을 위한 현장 Test Bed 구축

○ 장기 운용 계획 및 확장방안 수립
- 무인이동체 시스템 장기 운용을 위한 매뉴얼 작성 및 관리계획 수립
- 무인이동체 시험평가를 위한 Test Bed 장기 시험운용 계획 수립
- 무인이동체기반 철도시설 유지관리 확장방안 수립
-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통합관리 및 상태분석 시스템 시험평가
- 시설물별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정보 상세분류 및 자동 손상진단 S/W 실용화
- 무인이동체기반 자동화점검 시스템 장기 운용 계획 수립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4차년도 ○ 무인이동체의 철도시설물 근접을 위한 운영환경 분석
○ 철도시설물 자동화 점검을 위한 무인이동체 시스템 설계
○ 위성불용 및 자기장 외란 환경에 강인한 복합항법알고리즘 개발
○ 철도시설물 정기점검용 무인이동체 시험평가를 위한 TB선정
○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통합관리 및 상태분석 자동화 시스템 설계
○ 시설물별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품질 분석 및 손상진단 자동화 알고리즘 설계
○ 철도시설물 유지관리 체계내 자동화 점검시스템 적용 방안 수립
○ 공동연구기관(유콘시스템(주)):
- 철도시설물 자동화 점검용 무인이동체 시스템 설계
?UAV 기체부, 센서제어시스템, 이동형 관제국, 고정형 지상국 설계
?자동화된 무인이동체 2기의 점검연계 운용을 위한 시나리오 및 지상관제장비 설계
- 철도운영환경을 고려한 무인이동체 제어 시스템 개발
?지구자기장 벡터을 이용한 지자계 외란 검출기법 개발
?지자계 외란시 관성 센서를 이용한 보조 헤딩 융합 알고리즘 개발
?열차풍 등 돌풍 외란에 강인한 프로펠러 가변피치 메카니즘 설계, 간이 추력시험으로 성능 비교 검증
?외란에 의한 무인이동체 자세/위치 안정화를 위한 강인제어 기법 설계
- 무인이동체의 3차원 자동화 운용 SW 세부 기능 개발
?3차원 운용관제 SW에 제한구역 설정 기능을 추가하여 전차선 등 지장물에 대한 진입금지 기능 개발
?제한구역 접근시 충돌경고 및 회피명령 생성 기능 개발
?시설물별 점검을 위한 비행계획/촬영계획 기능 개발
?촬영영상 및 메타데이터 저장/전송 기능 개발

○ 공동연구기관(세종대학교):
- 철도환경 복합항법시스템 연구 동향 조사
- 이종항법센서 선정 및 성능 분석 연구
- 맵연동 복합항법 구조 및 기본 플랫폼 기준 정립
- 영상정보 및 센서측정정보를 이용한 위성불용 환경 복합항법알고리즘 개발
?영상정보 기반 철도 구조물 개체인식 알고리즘 연구
?영상정보를 통합 무인이동체 항법 정보 보상 알고리즘 개발
?개체 위치정보 및 맵을 이용한 확장칼만필터기반 항법오차 보상 알고리즘 개발
?거리센서를 이용해 검출된 위치정보를 활용한 무인이동체 위치 보상 알고리즘 개발
?철도 환경 위성항법 가용성 판별 기준 정립
- 자기장 외란 환경에 강인한 복합 항법 알고리즘 개발
? 철도 환경에서 자기장 외란 특성 분석 및 문헌 조사
? 강성 왜곡과 약성 왜곡을 포함한 지자기 센서 측정치 모델링 연구
? 지자기 센서의 강/약성 왜곡 보상 알고리즘 개발

○ 주관연구기관(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무인이동체의 철도 운영환경 측정 시험 수행 및 주요 영향인자 분석
?열차통과시 열차와의 이격거리별 열차풍 강도 현장계측 시험 수행
?선로변 열차풍의 순간적인 크기 및 지속시간 분석
?전차선 및 송전철탑 주변부의 전자기장 분포 측정 시험 수행
?철도운용 환경에서 무인이동체의 통신, 제어, 항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 분석

○ 공동연구기관(한국철도시설공단):
- 무인이동체의 철도운영 환경 시험평가를 위한 Test Bed 선정
?철도종합시험선로내 시험평가 위치 선정
?전력설비등을 고려한 시험평가 장비 등 설치 계획 수립
?시험자료 수집, 분석 등의 통합 정보처리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

○ 공동연구기관(소프트그래피):
- 철도시설물별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통합관리 및 상태분석 자동화 시스템 설계
?철도시설물(철도교량, 송전철탑 등) 점검지침과 업무특성을 반영한 요구사항 분석
?철도시설물별 무인이동체 영상과 도면, 손상 데이터 연계 및 통합관리 방법 정의
?요구사항 및 데이터 특성을 반영한 요소기술 자동화 방법 설계, 시스템 통합 설계
- 수요기관 요구분석을 위한 외관 조사망도 파일럿 S/W 개발
?철도시설물 도면 변환(전개도, 지리좌표) 구축
?도면을 이용한 부재별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추출 → 손상진단 자동화 연구에 제공
?부재별 전개도와 무인이동체 취득영상의 연계 도시
?영상을 이용한 외관 조사망도 작성 및 물량산출 → 수요기관 활용을 통한 요구분석

○ 공동연구기관(승화기술정책연구소):
- 시설물별 무인이동체 취득영상 품질 분석
?무인이동체 취득영상의 촬영정보, 외부표정요소(EO) 등으로 필터링된 영상의 품질 분석 알고리즘 개발
- 외관정보를 이용한 손상진단 자동화 기술 개발
?시설물별 손상유형을 학습할 수 있는 딥러닝 학습모델생성 알고리즘 개발
?딥러닝 학습모델을 적용하여 손상진단을 자동화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

○ 공동연구기관(한국철도공사):
- 자동화 점검 시스템 적용을 위한 철도 유지관리 환경 분석 및 Test Bed 선정
?무인이동체 운용에 따른 민원, 위험요인 등 요구사양 도출 (바람세기, 날씨, 기온 등)
?무인이동체 운용을 위한 운영기관 철도시설물 유지관리체계 분석
?개발 연구진의 정기점검 현장 참관회 및 점검결과 관리 및 분석방식 현황 설명회 개최
?Test Bed 범위(철도교량, 송전철탑 등) 도면 자료 등 데이터 지원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개발될 기술은 해외 철도운영기관(프랑스 SNCF, 미국 BNSF)들에서도 도입하려는 최신 기술로서, 신뢰성 검증 등을 통해 기술 확보에 조기 성공할 경우 경쟁업체 등이 적어 해외진출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
- 철도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무인이동체, 영상분석 기술에 대한 독자기술을 확보하여 철도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검측 기술 확립
- 기술개발, 고급인력 양성, 접근이 취약한 철도시설물 손상점검 자동화를 통해 유지관리 효율성과 철도운영 안전성 향상에 기여
- 객관적이고 지속적인 손상점검과 이력관리(시설물 도면, 무인이동체 영상 등 정기점검 자료)를 통하여 철도시설물 이상개소의 조기 파악으로 선제적 장애 예방, 체계적인 통합관리 및 열차안전운행 확보 가능
- 정기점검 이력 데이터와 타 데이터(유지보수, 기상기후 등)를 연계한 빅데이터 기술의 활용 기반 마련 및 무인이동체 영상과 도면의 매핑, 손상정보 추출 자동화를 통한 점검 결과의 신뢰성 및 효율성 확보
- GNSS 음영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무인이동체를 개발함으로써 실내외 환경에 모두 적용이 가능. 실시간 지자기 외란 보상 알고리즘은 다양한 지자기 외란 환경 및 실내 항법, 유도무기체계의 기술로 확대적용 가능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 유럽은 철도시설 관련 프로젝트로 3,410억 유로의 예산을 지출하고 있으며, 이중 약 1,942억 유로가 2015년~2022년까지의 시장 규모로 예상됨. 시설물 유지보수 및 개량 부분의 예산이 1,517억 유로로 가장 크며, 1,068억 유로의 시장 형성 예상
- 글로벌 철도유지보수시장의 규모는 2013년 약 61.5조의 규모로 연평균 성장률 3.7%이며, 2019년 약 92조 규모로 예상됨. 이는 향후 신규 철도시장의 규모보다 커질 것으로 예상됨
- 글로벌 철도 유지보수 장비 시장은 2016년 3조 4천억원에서 2021년 5조 8천억원 크기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 철도시설물의 유지보수 및 점검의 효율화를 위한 기술, 장비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무인이동체 기반 점검 자동화 기술 개발을 통한 해외 철도 유지보수 장비 시장 진출 가능
- 무인이동체의 글로벌 시장은 평균 22% (2015년 248억불 -> 2020년 673억불) 성장이 예상이 되며, 국내시장도 이에 준하여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최근 무인이동체 업체들의 사업매출을 보면 2017년 537억원에서 2017년 2033억원에 이르고 있으며, 민간분야의 경우 지속적인 활용분야 증대로 꾸준히 매출이 증대할 것으로 보임
- 외부 전파에 강인한 환경인지형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송전철탑 및 송전선로와 같은 강한 외란이 존재하는 취약 환경에서의 점검 및 감시용 무인이동체로 활용 가능하며, 무인이동체 시장에 경쟁력을 가지고 진출하는 강소기업 육성
- 프로스트앤설리번(Frost & Sullivan)의 ‘세계의 산업용 머신비전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산업용 머신비전시장의 매출이 45억 달러를 기록했고, 2013년에는 49억 달러 규모였으며, 2016년에는 67억5,000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국내 머신비전시장은 이러한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음
- 2018년에 이르러서는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손상 데이터 및 정보가 부족한 실정임
- 이러한 데이터 확보의 부재는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영상분석에 대한 발전이 어려워지며 개발된 기술은 현재 시장규모의 성장과 수요에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으로, 본 과제를 통해 국내 머신비전(이미지프로세싱/비주얼 인스펙션)기술을 개발하여 커져가는 머신비전 시장의 수요를 충족할 것으로 예상됨

○ 사회적 기대효과
- 최적의 철도 시설물 유지관리 및 점검 기술을 도입하여 시설물 사용주기의 증대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시설물의 안정성 향상 및 대국민 신뢰도 제고
- 연간 현장 검측 인력이 감소하고 철도 운행 안전에 기여함으로써 작업자의 현장작업 빈도를 감소시켜 작업자 사망사고 저감
- 궁극적으로 안전하고 편리한 철도의 미래를 앞당김으로써 교통사고(장애) 및 체증 감소로 인한 사회적 비용 절감과 교통 환경개선, 관련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활성화 등에 기여
활용방안 - 무인이동체를 활용한 정기 검측개소의 자동점검 및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한 점검결과의 자동 해석 등을 통해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 절감 가능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16~'25)에 따라 철도 연장은 약 5,400km까지 확충될 예정으로, 본 과제의 연구성과물을 통해 연장된 철도 노선의 효율적 유지보수 가능
- 철도 연장이 '25년까지 '16년 대비 44% 연장(3,729→5,364km)될 계획인 바, 자동화시스템 등이 지원되지 않는 인력 중심의 현 체계로는 원활한 유지보수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
- 과제 종료 시점에 국내 철도운영기관(철도공사, 철도시설공단 등) 수요가 예상됨에 따라, 무인이동체기반 철도시설물 자동화 점검시스템을 보급하여 접근성 취약 시설물의 순회점검에 활용하게 할 계획임
- 공동연구기관(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실무자들에게 주기적인 사용방법의 사전교육과 피드백을 통하여 과제가 종료되는 즉시 실용화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함
- 철도운영기관 각 지역본부으로 개발 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 기존 시스템 및 데이터와 연계하여 활용
- 국내 철도 운영기관을 대상으로 상품화가 이루어질 경우, 저개발 국가의 철도유지관리 주체에 대한 해외 판매를 추진하고 유럽 등으로 확대할 계획임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무인이동체 철도시설물 점검 자동화 접근취약
영문 UAV Railway Facility Inspection Automated Access Vulnerable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