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도로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4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도로기술연구 과제번호 22POQW-C152342-04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도로교통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도로교통기술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건설 교통 | 건설 환경설비 기술 | 친환경 토목시설물 설계 시공 관리기술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환경 | 대기질 관리 | 미세먼지오염 개선기술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도로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주관연구기관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김혁중
소속 호서대학교 직위 부교수
전화번호 041-560-8344 FAX 041-563-0135
총 연구기간 2019-04-30 ~ 2023-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4차년도 5,397,000,000 67,639,000 462,267,000 529,906,000 5,926,906,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본 연구에서는 교통조건에 따른 도심부 도로 미세먼지를 추정할 수 있는 비산먼지 농도 추정 모델을 개발하여 실제 도로변에서 보행자와 운전자가 느끼는 미세먼지 농도를 더욱 정확히 추정하여 도심부 미세먼지 저감 대책 시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한 선행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국민 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도로변 미세먼지 및 비산먼지 저감을 통해 국민 생활 안전 확보 제공 및 관계부처 합동 대책 중 국토교통부와 관련된 사업 범위로서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에 국토교통 연구개발 사업을 통하여 타 부처가 대응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한 미세먼지 및 비산/재비산먼지 저감 실현코자 함
?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로 대기환경 개선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로변 미세먼지 평가 및 저감 기술 개발 및 건설공사 단계별 도로노면 비산먼지 저감기술 개발을 하고자 함
최종목표 ? 도로 대기환경 개선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로변 미세먼지 평가·저감 기술 개발 및 건설공사 단계별 도로노면 비산먼지 저감기술 개발
- (1세부) 기능성 건설자재를 활용한 취약지점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 저감목표 : (미세먼지 PM10) 기존 대비 반밀폐 취약지점(정류장 등) 30% 이상, 개방된 취약지점(스쿨존 등) 10% 이상
- (2세부) 도로포장 전주기 비산먼지 저감 기술 개발
· 저감목표 : (비산먼지 PM10) 저감기술 적용 전 비산먼지 대비, 도로포장재료 생산단계 30%이상, 시공/운영단계 10% 이상
연구내용 및 범위 ? (1세부) 기능성 건설자재를 활용한 취약지점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기능성 건설자재 개발
· 도로변 미세먼지 전구체(NOx) 저감용 기능성 건설자재 개발
·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 소재의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 고정화 기술 개발
· 다공성 아스콘 포장공법 및 현장 적용기술 개발
-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로시설물 개발
· 나노버블시스템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
· 버스정류장내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기술 개발
· Double Effect Green Wall System 개발
- 도로변 미세먼지 취약지점 모니터링을 위한 미세먼지 및 전구체(NOx)감지기술 개발
· 기존 NOx센서를 이용한 미세먼지 전구체(NOx) 모니터링을 위한 감지기술 개발
· 미세먼지 및 전구체(NOx) 이동형 모니터링시스템 개발
-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기술 실증 및 효과 검증
· 미세먼지 저감 기능성 건설자재 및 도로시설물 성능평가 개발
·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 최적화 시스템 구축

? (2세부) 도로노면 비산먼지 저감 기술 개발
- 도로포장 재료 생산단계 발생 비산먼지 저감 기술 개발
· 도로포장 재료생산 설비별 비산먼지 저감 기술
· 설비별 맞춤형 비산먼지 측정방법 개발 및 표준화
· 도로포장 재료 생산단계 유해가스 저감 기술
- 비산/재비산먼지 저감 도로포장 시공기술 개발
· 도로포장 건설자재 운반 및 현장 정화시스템 기술 개발
· 굴착복구 공사 중 발생 비산먼지 저감 기술 및 임시포장 제로(대체) 공법 개발
· 노후 포장 맞춤형 해체 기술 및 재시공 기술 개발
· 건설시공 현장 맞춤형 비산/재비산먼지 감소기술 개발
· 비산먼지 저감 도로포장 재료 및 시공기술 개발
- 도로노면 비산/재비산먼지 저감 운영기술 개발
· 비산먼지 제거차량 운용 기술 및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포장표면 관리 기술 개발
· 교통데이터 기반의 도심부 비산먼지의 영향 평가
· 도로 환경 조건에 따른 도로포장 운영단계에서의 비산먼지 저감 대책 매뉴얼제시
- 도로 비산/재비산먼지 저감 모니터링 및 표준화 기술 개발
· 도로 비산/재비산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측정방법 표준화
· 도로노면 비산/재비산먼지 물리화학적 특성분석
· 차량주행에 따른 도로 비산먼지 발생량 분석 및 D/B 구축 방안 수립
· 도로노면 비산/재비산먼지 대기환경영향 및 평가체계 구축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4차년도 (미세먼지파트) 기능성 건설자재를 활용한 취약지점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 무기계 소재 건설자재 배합설계, 도로시설물 설계, 평가방법 설계, 도로면 미세먼지 오염원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비산먼지파트) 도로노면 비산먼지 저감 기술 개발
- 각 개발기술에 대한 설계 개발 방향 및 평가방법 마련
(미세먼지파트) 기능성 건설자재를 활용한 취약지점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기능성 건설자재 개발
· 무기계 소재와 건설자재 구성, 배합 설계 및 자료물성 평가
· 콘크리트 수평구조물 고정화 방법
-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로시설물 개발
· 버스승강장용 하이브리드 정전 집진시설 설계
· GreenWallSystem 콘크리트 구조 설계
- 도로변 미세먼지 취약지점 모니터링을 위한 미세먼지 및 전구체(NOx)감지기술 개발
· 도로변 미세먼지 오염원분석 및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기술 실증 및 효과검증
· 저감기술평가방법설계

(비산먼지파트) 도로노면 비산먼지 저감 기술 개발
- 도로포장 재료 생산단계 발생 비산먼지 저감 기술 개발
· 생산설비 및 단계별 비산먼지 발생량 조사 및 분석
· 생산설비 및 단계별 비산먼지 측정방법 조사 및 분석
- 비산/재비산먼지 저감 도로포장 시공기술 개발
· 도로공사시공공정별비산먼지 발생 특성 및 저감기술 분석
· 굴착복구 공사단계별 비산먼지 발생특성 및 저감기술 분석
· 건설공사 및 공정별 비산먼지 현황 및 분석
- 도로노면 비산/재비산먼지 저감 운영기술 개발
· 보도용 비산먼지제거차량 개발방안도출
· 도로표면관리기술개발 방안 도출
· 도심부재비산먼지 현황파악 및 평가방안 도출
- 도로 비산/재비산먼지 저감 모니터링 및 표준화 기술 개발
· 도로노면비산먼지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측정방법 표준화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기술적 측면]
- 미세먼지 저감 및 고내구성 건설자재 개발에 따른 장수명화 확보
- 도로 미세먼지에 대한 도로분야의 능동적 대응으로 청정 도로환경 제공
- 체계적인 도로비산먼지 인벤토리 구축, 평가 및 관리 체계 확립을 통해 과학적·종합적으로 도로 대기질을 모니터링 및 관리를 함으로써 도로 비산먼지 대응 정책의 실효성 확보
- 도로포장 재료 생산설비별 비산먼지 및 유해가스 저감 기술 확보
- 도로포장 재료 생산설비별 맞춤형 비산먼지 측정방법 개발로 타 분야 적용 가능
- 도로 건설자재 운반 차량 개선을 통한 비산먼지 발생 예방적 관리 기술 확보
- 노후 지하구조물 유지보수 공사 단계별(절단~포장시공) 핵심요소기술 개발을 통한 비산/재비산먼지 적용 전/후 10%이상(PM10 기준) 저감
- 위험 미세먼지 수준에 대한 예방적 도로포장 관리 기술의 확보
- 다기능 미세먼지 청소차량 및 주행저항성 저감 기술 등 복합적으로 적용 가능한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을 상황에 맞게 지침화하여 구현하기 때문에 미세먼지 저감 효율성에 대한 신뢰도 향상
- 도심부 비산먼지 저감 기술 및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도로포장 관리 분야 세계 선도 기술 수준 확보
- 도로포장 운영단계의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매뉴얼 개발을 통한 본 연구의 현장 적용성 증대 효과
- 측정분석·도로공학 및 환경, 화학 등 여러 분야의 기술을 연계하는 융합 공학 분야의 발전
- 도로노면 비산 및 재비산 먼지에 대한 과학적인 모니터링 기술 확보
- 도로노면 비산 및 재비산 먼지 평가 및 관리 체계 확립을 실시하여 이를 통한 과학적·종합적 도로 비산먼지 관리 및 대책의 실효성 확보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경제적 측면]
- 국내 교통정체 구역 및 주요 도심지의 면적은 약 50,000,000 ㎡으로 추정되며, 이를 근거로 약 75,000백만원의 국내 시장이 창출
- 중국 주요 도시의 대기 오염 개선 예산이 향후 5년간 1조위안(180조원)으로 보도되어있으며, 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중국 시장 진출 시 막대한 수익 창출이 예상됨
- 중소기업 기반 기능성 건설소재·장비의 국내시장 활성화 및 해외시장 진출 토대 구축
- 도로포장 재료 생산설비별 비산먼지 저감 기술 실적용으로 효과가 입증된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전국의 플랜트에 제공하여 예산 낭비 저감
- 비용 고성능 급속 굴착복구 기술을 통한 포장 수명 증대로 도로 유지관리 비용 절감
- 임시포장 대체 기술 및 도로 재포장 Free 공법을 통한 재포장 공사비용 절감 및 조기파손 예방으로 유지보수 비용 절감※ 예) 굴착복구 한 개 사업자의 1km당 공사비용 약 2억 원(복구비용 60%) 소요※ 서울시 최근 5년간 평균 공사 건수 평균 4만건 이상, 평균면적 10,000㎡ 이상
- 도로청소차 보급 대수를 증가하는 대신 최적화된 방법으로 도로노면 비산먼지 제거차량 운용을 실시할 경우 정부 예산 276억원 절감 가능
- 주행저항성 및 타이어마모 저감 기술 등의 해외수출을 통한 신시장 개척 및 국가 경제적 이익 창출 가능
[사회적 측면]
- 도로먼지 제거를 통해 배출량을 감소하고 국민 삶의 질 향상
- 고령화 시대에 부합하는 도로 서비스 및 대기질 체계 개선을 통해 건강위해성 해소
- 도로포장 재료 생산 플랜트의 비산먼지 저감으로 인근 주민과의 갈등 해소
-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 저감으로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에 기여
- 도로 건설자재 운반 통합 관리를 통한 도심지 비산먼지/낙하물 발생 감소로 도로 운전자 및 이용자 사고 예방
- 노후 지하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한 도로 굴착복구 구간의 비산/재비산먼지 저감 및 확산 방지 기술/대책으로 쾌적한 도로 환경 구현을 통한 보행자 안전 확보
- 보도용 비산먼지 제거차량을 통한 유동인구 밀집지역 보행 환경 개선
- 국가적인 차원에서 최근 계속 높아지는 대기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하여 국민 불안 해소 및 삶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대한민국 건설에 기여
- 미세먼지로 인한 위험 질병 발생 피해 감소
- 타이어 트레드 및 도로 마모 등 비산먼지 발생원에 대한 예방적 도로표면 관리 시스템 구축
- 도로 비산먼지 평가 기술 확보를 통한 클린로드 구현
활용방안 (미세먼지파트) 기능성 건설자재를 활용한 취약지점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1)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능성 건설자재 개발
-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건설자재 기술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수행이 전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결과를 활용하여 초미세먼지 2차 생성 전구물질인 NOx 제거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정부, 지자체, 관련 기업과 연구자들에서 관련 기술의 적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기 위한 기술설명회를 개최함
- 무기계 복합소재 고정화 기술의 경우 도로구조물 적용뿐만 아니라 사회기반시설 및 전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활용을 위한 중앙정부, 도로공사 및 지자체의 공사 발주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2)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로시설물 개발
- 연구성과의 상용화ㆍ제품화를 위해 관련 분야의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향후 사업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
- 개발기술의 해외진출 희망 국내 건설사에 기술이전을 통해 해외사업 진출 지원이 될 수 있도록 기술을 제공
- 연구논문 발표 및 기술 강습회를 통해 국내 터널 및 관련 시설 설계기술자들에게 기술 보급
- 도로 이외에 터널 주변 및 지하보도, 지하철(역사) 등 지하공간의 미세먼지 저감에 활용
- 기존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도시부 도로의 미세먼지 저감 방안 수립 시 적용될 수 있도록 마케팅 계획 수립
(3)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기술 실증 및 효과검증
-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NOx 센서 모듈 및 시스템화 관련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추후 다양한 분야의 호기센서, 가스센서 시스템 등에 응용 및 관련 국내 센서업체에 보급·기술 이전
- 이동수단에 탑재 가능한 차량(택시, 버스, 청소차, 공공차량 등)에 적용하여 측정 사각지대 해소 및 이동통신사와 연동 사업을 추진
(4)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기술 실증 및 효과 검증
- 저감기술 평가방법 마련을 통해 국내 미세먼지 저감기술 성능평가 실시
-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최적화 시스템 구축을 통해 스마트 시티 연동사업 추진
(비산먼지파트) 도로노면 비산먼지 저감 기술 개발
(1) 도로포장 재료 생산단계 발생 비산먼지 저감 기술 개발
- 국·내외 도로포장 재료 생산시 발생하는 비산먼지 저감 기술별 효과 분석으로 국내 실정에 적합한 관련 기술 정보 제공
- 도로포장 재료 생산설비별 맞춤형 비산먼지 측정 방법 개발 및 표준화로 추후 객관적인 지표로 사용 가능
- 플랜트 종류, 생산설비, 생산량, 플랜트 주변 환경을 고려한 비산먼지 저감 설비 적용 기준 제공하여 전국의 도로포장 재료 생산 플랜트에 적용 가능
(2) 비산/재비산먼지 저감 도로포장 시공 기술 개발
- 본 연구는 건설현장 비산먼지 저감 재료 및 적용 기술을 개발함으로서 도로건설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최소화 하고 미세먼지 특별법(19.02.) 발효에 따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건설폐기물 외 건설자재 운반 차량 개선 및 법 제도화를 통한 운행 중 분진 및 낙하물로 인한 사고 예방 및 비산먼지 감소 기대
- 노후 지하구조물로 인한 도심지 굴착복구 공사 증가 예상으로 굴착복구 단계별 비산/재비산먼지 저감 최적화 공법 개발로 도심지 난공사 대응 및 도로 사용자로 하여금 쾌적한 주행 및 환경 조성 기대
- 저비용 고성능 급속 되메움 공법 개발을 통한 최적품질 확보 및 당일굴착?당일복구 실현
(3) 도로노면 비산/재비산먼지 저감 운용기술 개발
- 본 연구에서 개발할 도로 노면 비산먼지 제거 기술을 통해 차량 주행 시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재비산먼지를 제거하고 비산되는 먼지를 감소시켜 대기 환경을 개선하고 보행자들의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또한 보도, 도로노면에서 제거 차량에서 수집되는 먼지의 입도 및 성분을 분석하여 미세먼지 제거량을 확인하고 제거효율 분석을 위한 연구과정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정부가 제시한 미세먼지 관리 중 중장기대책에 의하면 도로청소 차량을 2배 이상 확보하고자함(2018,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국내에 다양한 비산먼지 제거차량이 존재하나 성과에 대한 평가가 제각각이므로 최적화된 운영방법을 통해 도로청소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통해 도로청소 담당자가 청소계획 등을 수립하여 도로청소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또한 기존 국외사례들의 단점을 극복한 차세대 비산먼지 제거 기술 및 차량으로 세계시장 진출을 통해 국가 건설기술력을 한 차원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타이어에서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재비산먼지 농도를 바탕으로 재비산먼지 발생원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로 먼지흡입 청소차 등 다양한 미세먼지 저감 정책에 대한 비교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도로인프라 건설공사 도로포장 미세먼지 비산먼지
영문 Roa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work Road pavement Fine dust Dust scattering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