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철도차량 주요장치 자가상태진단 및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개발4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철도차량 스마트 유지보수 기술개발사업 과제번호 22QPWO-C152194-04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기계 | 자동차 철도차량 | 차량지능화기술 적용분야 교통/정보통신/기타 기반시설
2순위 기계 | 자동차 철도차량 | 시스템제어 통합기술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정보 통신 | 소프트웨어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철도차량 주요장치 자가상태진단 및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개발
주관연구기관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김철수
소속 국립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직위 교수(학과장, 소장)
전화번호 031-460-0640 FAX 031-462-8807
총 연구기간 2019-04-20 ~ 2023-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4차년도 2,300,000,000 92,060,000 616,940,000 709,000,000 3,009,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 철도차량의 유지보수 비용 절감, 운영 데이터 이력 활용 증대, 주요장치 상태진단 및 예측을 통하여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시간기반(TBM)에서 상태기반 유지보수(CBM)로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
○ 운전자 중심의 기존 TCMS(열차종합제어장치)에서 정비원 중심의 『차상상태기반 진단 및 예측 시스템』 개발이 중요
○ 모바일 등 지원 시스템 활용하고 노후/습성 철도차량 주요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운영사별 최적 유지보수 자동화 전략을 수립하고자 함. 또한 본 과제 성과물로부터 Global after sales market and O&M 시장 경쟁력 확보

- 철도차량(일반 또는 도시)의 경정비 검수의 효율화·자동화를 위하여 IoT, 빅데이터 등 IT 기술을 적용하여 상태검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주요부품의 상태를 진단?향후 상태를 예측하고, 최적 유지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개발함
최종목표 철도차량 주요장치 자가상태진단 및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개발

○ 유지보수 효율화·자동화를 위한 철도차량 차상 상태 진단 및 예측 기술개발
- 도시철도차량 2종(전동차, 코레일/서울교통공사), 일반철도차량 1종(ITX-새마을, 코레일)
- 차상주요장치(BOU(Break Operating Unit), DCU(Door Control Unit), HVAC(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 Air compressor,
SIV(Static Inverter),CI(Converter/Inverter) 등)와 주요 열화부품(전력용콘덴서, 축상베어링, 전장품류(배터리/배전반/케이스 내부 최소 1종) 등)
○ 예지정비를 위한 능동유지보수 지원시스템 개발
- 사용연수(1년, 7년, 20년 이상)에 따른 3개 노선(수인선, ITX-새마을, 8호선) 차량기지
- 운용 중 기능확인과 빅데이터 분석 수명예측(각 2편성, 년간 5만km이상 데이터 구축)
연구내용 및 범위 ○ (1세부) 철도차량 차상 상태 진단 및 예측 기술개발
- 차상 데이터를 이용한 차상주요장치 상태 진단 및 예측 전략 수립
: 도시/일반철도차량(7 또는 8호선, 수인선, ITX-새마을) 기술사양 요구사항 분석
: 상태진단 및 예측시스템 개념설계, 테스트베드 구축방안 등 추진 전략 수립
- 주요부품 열화모델 및 복합진단 기술 개발
: 주요 열화부품(전력용콘덴서, 축상베어링, 전장품류(배터리/배전반/케이스 내부 최소 1종) 등)
: 시계열 데이터 기반 차량 상태진단 알고리즘 개발
- 차상주요장치 상태 진단 및 예측 모델 개발
: 시스템 S/W, H/W 레이아웃 개발, TCMS와 『차상주요장치 상태 진단 및 예측 시스템』 간 I/F
: 『차상주요장치 상태 진단 및 예측 시스템』 기본/상세설계 및 모니터링 계획수립
(BOU, DCU, HVAC, Air compressure, SIV, CI 등)
- 차상 상태 진단 및 예측 시스템 개발
: 시제품(『차상주요장치 상태 진단 및 예측 시스템』) 제작 및 성능평가
: 국내 철도안전법 형식승인, 개조관련 법규 및 운영사 안전성 검토
- 차상 상태 진단 및 예측 시스템 시험검증 및 현장 평가
: 도시/일반철도차량(7 또는 8호선, 수인선 / ITX-새마을) 3개 차종에 대한 년간 5만km 이상 시험검증

○ (2세부) 능동대응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개발
- 기존 유지보수 시스템 연계 방안
: 기존(도시/일반철도차량) 유지보수시스템 연계를 위한 요구사항 도출
- 최적 유지보수 자동화 전략 수립
: 능동형(데이터기반과 모델기반 혼합형) 유지보수 전략 수립
- 검수 데이터 수집·분석 플랫폼 및 차량상태 가시화 기술
: 검수 데이터, 차상상태진단 데이터 및 주요부품(열화) 데이터의 통합 플랫폼 구축
: 플랫폼 연계 차량 상태 가시화(S/W) 개발
- 차상주요장치의 유지보수시기 예측 등 최적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개발
: 플랫폼 연계 차량 상태 가시화(S/W) 탑재
: 능동형 유지보수 관점에서 빅데이터 기반 최적 유지보수(예지정비 주기) 지원 시스템 개발(H/W)
- 모바일 등 유지보수 효율화 지원 시스템 개발
: 영상기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개발(H/W 1종, 컨텐츠 10종)
: 2D/3D모델 기반 유지보수 교육 컨텐츠 개발(8종)
-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시험검증 및 현장평가
: 3개 노선(7 또는 8호선, 수인선 / ITX-새마을)과 3개 차종에 대한 년간 5만km 이상 시험검증
: 현장평가에 의한 공인기관 인증

- (현재)TCMS는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으로써 차내 장치들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열차 정보 관리 시스템(철도안전법상 형식승인 철도용품)은 개조 시 인증/승인이 필요함(최소 6개월)
- (본 컨소시엄 개념)차상주요장치 상태진단 및 예측시스템은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여 기존 TCMS의 데이터와 차상 주요장치의 센싱(열화모델) 빅데이터로부터 차량정비원 관점에서 차량 상태진단 및 예측함. → 계층화된 TCMS(신조차) + 차상주요장치 상태진단 및 예측 시스템(기존차량에서도 활용)
- (대불선과 종합시험선로(오송) 노선 한계) 테스트베드는 본 연구 특성상 운영기관에서 요구하는 현차시험 기간과 운영기관 요구 운행거리 불만족
- 대불선:12km, 오송종합시험선로:13km
- 차세대전동차는 철도안전법 개정 이전 차량으로써, 제작사승인 및 철도형식승인 미적용 → 영업선 운행 불가
- (본 컨소시엄 개념)목표 주행거리 최소 5만km/년
: 코레일 경정비 LI-3 기준(4.5만km/년), 서울교통공사 LI-4 기준(4만km)
: 한국철도공사 영업선(다편성) : 경부선: 441.7km, 수인선: 19.9km
: 서울교통공사 영업선(다편성) : 8호선: 17.7km
- (본 컨소시엄 개념)대상차량은 사용연수에 따른 열화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3개 사용연수로 구분하여 선정함
: 수인선 전동차(1년)/ITX-새마을(7년)/8호선 전동차(20, 27년)
: 신규 차량구매사양서에 CBM 항목 반영되어 신조차량은 제외함
- 차량기지와 차상서버 간 통신보안 관련 애로기술을 다각적 검토
: 시흥차량사업소(수인선 전동차) : LTE-R(~‘19.12 구축 예정)
: 부산차량사업소(ITX-새마을) : RTD 방식(망분리), 국정원 협의함
: 모란차량기지(8호선 전동차) : 무선통신보안 폐쇄망 추가 설치 필요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4차년도 - 차상 데이터를 이용한 차상주요장치 상태 진단 및 예측 전략 수립
- 주요부품 열화모델 및 복합진단 기술동향 조사와 적합성 검토
- 기존 유지보수 시스템 연계 방안
- 검수데이터 수집·분석 플랫폼(안) 및 차량상태 가시화(안) 개념설계
- 모바일 유지보수 효율화 지원시스템 개념설계
○ 차량상태 진단 및 예측 기술동향조사
○ 기존 TCMS 기술사양 조사 및 주요장치 상태데이터 활용 문제점 분석
- 기존 TCMS 시스템 구성 기술사양 및 상태 데이터 수집 현황
- 기존 TCMS 주요장치 상태 데이터 활용 문제점 분석
○ 차종별 선정된 차상 주요장치 요구사항 조사
- 차량운행 연한 기준 ; 8호선(20년), 수인선(신형), ITX-새마을(7년)
- 위험도(빈도수, 치명도)에 따른 상태진단 차상주요장치 적합성 검토(기술사양서와 해외적용사례 참조)
- BOU, DCU, HVAC, SIV, CI 등
○ 차상주요장치의 상태 진단 및 예측 전략 수립
- 차종별 요구사항 도출(현장의견 수렴)
- 고장 검지 조건(임계치) 검토
- 『차상주요장치 상태 진단 및 예측 시스템』(차량 데이터를 이용한 차상주요장치 상태 데이터 서버) 개념설계
○ 열화모델 및 복합진단 기술동향조사
- 차종별 주요부품 고장 통계 자료 수집 및 분석
○ 주요부품 열화모델 적합성 검토
- 위험도(빈도수, 치명도)에 따른 주요부품 적합성 검토(기술사양서와 해외적용사례 참조)
- Air Compressor, DCU, HVAC, 전력용콘덴서(CI 또는 SIV), 축상베어링
- 차내 복합진단(공기질, 온/습도 등) 개념설계
○ 국내외 유지보수 시스템 기술동향 조사(현황 검토)
- 해외 : CAF, Bombardier, Siemens, Alstom
- 국내 : Korail과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요구사항 및 니즈분석
(현장인터뷰, 국내외 기술사양서)
○ 기존(도시/일반철도차량) 유지보수 시스템 연계 방안
- 국내외 EMU 구성품의 유지보수 주기 사례 조사
- 3개소(8호선, 수인선, ITX-새마을) 차량기지 유지보수 시스템의 데이터 분석 장비(통신/보안/수집/현시)구성 요구사항 도출
○ 검수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플랫폼(안)
- 장치간 I/F 데이터 테이블 제시
- 정비지원 하위레벨 계층화(hierarchy) 식별 제시
○ 플랫폼 연계 차량 상태 가시화(안)
- 차상 주요장치와 열화모델 주요부품의 위험도(빈도수, 치명도) 식별등급 기준 제시
○ 모바일을 활용한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국내외 기술동향 조사 및 분석
- 해외 : 독일 Siemens, 미국 FRA, 중국 CRH 등
- 국내 : 현장 요구사항 및 니즈분석
- 정비작업지침과 도면을 활용한 증강현실(AR) 기술 개발 자료 구축
○ 영상 기반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개념설계
- 개발 내용 및 시나리오 작성
- 검수데이터 음성/영상 인식 기능
- 구성품 선정(컨텐츠 10종 포함)
○ 2D/3D 모델기반 유지보수 교육 컨텐츠 대상 구성품 선정
- 도시철도차량 구성품 5종
- ITX-새마을 구성품 3종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 CBM 관점에서 철도운영기관은 본 연구 개발 최종 성과물인 최적 유지보수 지원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시/일반철도차량(기존/신조)을 대상으로 유지보수 교체주기를 능동적으로 결정함
- 기관사 중심의 기존 TCMS 정보를 계층화시켜 정비원에게 차량상태진단/예측 제공
- 대상 차량에 대해 기술사양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주요장치에 대한 상태 진단 및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주변장치 적용 확대
- 열화모델 및 복합진단 기술 등을 통해 주요장치 진단 및 예측 전략 수립
○ 최적 유지보수를 위해 예지정비를 위한 능동 유지보수 지원시스템에 활용
- 검수데이터, 철도차량 운영을 통해 수집된 차상 데이터 등을 통해 고장코드를 취득, 고장코드 분석 및 맵핑 기술로 주요장치 이상상태 진단
- 유지보수 데이터를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가시화하여 차량기지 서버실뿐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유지보수 데이터 확인 가능
- 예지정비가 가능함으로써 보수품 확보의 최적화로 유지보수비용 절감 가능
○ 본 과제에서 차상상태진단시스템, 센싱 기술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소자를 비롯하여 각종 센서류, 고성능 프로세서, 저장장치 등이 활용되므로 관련 전방 산업분야 활성화 기대
○ 차상의 TCMS 데이터, 센싱(열화) 데이터와 검수 데이터로부터 최적 유지보수 지원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빅데이터 ETL(Extract/Transfer/Loading) 연계 기술 확보를 통해 항공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산업분야로 기술적 확대 가능
○ 도시 철도차량 및 일반 철도차량에 적용하고자 하는 주요장치 상태진단과 예측기술과 예지 정비를 위한 능동 유지보수 지원 기술은 4차 산업기술인 빅데이터, IoT, 진단 기술 능력을 배양하고, 자체 설계기술 및 제작기술을 보유하게 됨으로서 IT 산업 및 방위산업 등에 응용할 수 있음
○ IT 기술 강국으로서 IoT, 빅데이터를 활용한 4차 산업기술을 접목, 구현함으로써 선진국 기술이전을 탈피하여 국내 기술력으로 충분히 극복 가능
○ 본 과제를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개발 완료되면 현재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철도 선진국의 기술종속에 대응할 수 있음
○ 계층화(Hierarchy)에 따른 각 장치의 세부 고장정보(취약 개소, 고장등급)와 정비원의 의사결정 가능으로 철도차량 정비원의 기술력 향상 도모
○ 철도차량의 심각한 장애를 제외한 이상 징후는 차기 정비주기까지 제공으로 선제적 대응 가능으로 예지정비 기술 확보
○ 차량과 부품의 유지보수 이력과 운행 노선별 고장 상관분석이 가능하여 계절, 노선별 고장 유형/패턴 분석 등의 기술력 보유
○ 차량 내부설비 실시간 진단에 따른 향상된 승차감 및 쾌적성 제공할 수 있는 기술력 보유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검수업무의 능동 유지보수 지원) 매 3~7일마다 인력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일상 또는 월상 검수를 능동형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기반으로 운영됨으로 유휴인력을 효율적으로 투입하여 정비 외주화를 줄일 수 있음
○ 본 과제를 통해 상용화 성공시 기술료, 기술이전과 지식재산권에 관한 주도적 역할과 함께 수익창출 가능
○ 글로벌 철도 유지보수시장 개척 및 참여 가능성과 확대(예, 싱가폴 LTA 경우 CBM 기반 자산 정보 통합 소프트웨어 구축 비용은 210억 규모)
○ 차상 주요장치 상태 진단 및 예측 기술개발을 통해 사고예방으로 기회비용 환산 시 막대한 경제적 이득 효과
○ 동일본철도 E235계 전차 INYTEROS 고장예지건수(’17.10.∼‘18.9.) : 총 12건 사고 예방
○ 주요부품의 보수주기 그룹핑을 통한 보수주기 연장 가능으로 유지보수 비용 절감
○ (온라인 모니터링)자동화 기기에 의한 모니터링으로 데이터의 축적이 용이하게 되며, 장기간에 걸친 상태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고장예방을 통한 안전성 및 가용성 향상
○ (상태기반검수)상태에 기반한 유지보수체계의 확립을 통하여 불안감에서 주기적으로 수행하던 일상, 월상검수주기 연장 및 장기적으로 일상검수의 폐지
○ RCM 분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로 효율적인 유지보수 가격과 주기를 제안
○ 유지보수 주기 증가에 따라 노동 비용 감소
○ 유지보수 주기 변화에 따라 안전/운영 임계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158 DMU 도어 시스템 예상 비용절감
: 0.9~1.7억원/년 절감
: 2억원/년 투자(2년)→3.2년 후 손익 분기점
○ RCM 전체 적용 시 예상 절감 비용(8%)
:5.9~10.8억원/년 절감
활용방안 ○ 개발한 차상 주요장치 상태진단 및 예측시스템 성능시험 및 현차 시험 등에 대한 인증 확보
○ 도시철도차량(7 또는 8호선, 수인선), 일반철도차량(ITX-새마을) 등에 차상 주요장치 상태진단 시스템과 차량기지 능동 유지보수 지원시스템 도입
○ 기존 설치, 운용되고 있는 유지보수 시스템 교체시 대체품으로 가능 ⇒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실용화할 수 있는 수준의 제품을 개발함
○ (고급기술 안정적 확보 ) 유지보수인력의 고령화로 인한 경험전수가 차단되는 위험성으로부터 탈피하며 유지보수인력이 지속적이며, 안정적 수준의 유지보수 수행
○ 철도안전법에 따른 철도차량정비사 교육훈련 컨텐츠 활용과 6대 도시 철도운영기관 및 민간 운영기관 홍보교육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스마트 유지보수 자가 상태진단 열화모델 효율화 지원시스템 현장평가
영문 Smart maintenance Self-Diagnosis Degradation model Efficiency support system Field test bed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