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비정형 공공시설물의 품질향상을 위한 재생 플라스틱용 3D 프린팅 기술 개발2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20CTAP-C152019-02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건설마감재료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시공 자동화기술 실용화대상여부 비실용화
3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친환경 재생건설재료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비정형 공공시설물의 품질향상을 위한 재생 플라스틱용 3D 프린팅 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순천향대학교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이태희
소속 순천향대학교산학협력단 직위 조교수
전화번호 041-530-1321 FAX 041-530-1321
총 연구기간 2019-04-15 ~ 2020-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0-01-01 ~ 2020-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2차년도 203,000,000 7,300,000 61,259,400 68,559,400 271,559,4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사회적 이슈]

■ 공공시설물 비정형 디자인 증가
- 전 세계적으로 도시의 정체성과 공공디자인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비정형 디자인을 통해 도시의 아이덴티티와 상징적 디자인 요소를 공공시설물에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
- 국내에서도 도시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지역별 공공시설물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기존의 일률적인 디자인과 차별화된 지자체의 정체성을 반영한 비정형 공공시설물을 설치하려는 시도와 사례들이 증가하는 추세임
- 이러한 공공시설물의 비정형 디자인 추세는 최근 개성을 중시하며 삶의 질을 강조하는 소비형태와 도시의 경쟁력확보 노력과 맞물려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됨

■ 건설폐기물 저감 노력

- 건설폐기물은 전체 산업폐기물에 50% 이상을 차지하며 최근 자재와 형태가 다양해짐에 따라 그 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불법으로 투기되는 폐기물이 많아 환경오염에 주된 요인으로 지목됨
-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환경부는 ‘건설폐기물 재활용 기본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에 있으며 주된 목표는 건설폐기물의 zero emission 추진과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자원화와 제품원료화 추진임
- 이 중 플라스틱은 중국이 2017년 7월부터 재활용 고체 쓰레기 수입을 중단하기로 발표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영국·독일 등은 폐플라스틱 처리에 대한 문제가 단순히 건설산업 뿐만이 아닌 국가차원의 문제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음
- 이에 폐플라스틱의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폐플라스틱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재활용 폐기물 관리 종합 대책”,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정책방향”등을 통한 노력들을 정부차원에서 추진 중에 있음

■ [비정형 공공시설 증가와 폐기물 저감의 문제점]

품질적 측면
- 비정형 디자인은 기존의 수직, 수평면이 아닌 경사면과 곡면을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 시공방식으로는 설계안을 그대로 구현하기가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는 품질의 저하로 나타남
- 곡률 설계부족, 곡면 형상제어 부족, 다른 형상이 접하는 조인트 부분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설계의도와 다르게 건물을 조잡하게 만들 수 있으며 건물의 가치를 떨어뜨림
- 이는 기존의 수직, 수평부재를 분리하여 생산하는 2D방식 마감재료 생산방식의 한계로 3차원 부재생산을 위한 새로운 생산방법이 요구됨

비용적 측면
- 비정형 부재는 정형의 부재를 깎아내어 만드는 과정에서 상당한 양의 재료를 낭비하며 이는 재료비가 상승하여 기존 공사비용보다 증가함
- 시공 측면에 있어서도 시공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 현장가공이 자주 발생하며 시공의 난이도가 높아 공사시간과 비용이 증가함

환경적 측면
- 대부분 금속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재료의 낭비, 재료의 가공을 위해 투입되는 에너지로 인해 비정형 건축물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환경부하가 상당함
- 건설폐기물 저감을 위해서는 재료의 사용량이 제한되며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를 사용해야 하나 비정형 건축물은 재활용 자재의 사용이 어려워 플라스틱과 같은 폐기물 저감에 도움이 되지 않음

3d 프린팅 기술
- 3D 프린팅 기술은 비정형 공공시설과 품질과 비용, 환경부하 저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적합한 생산 기술임
- 3D 프린팅의 생산방식은 노즐에서 재료를 출력하여 적층시켜 3d 형상을 구현하는 기술로 CNC 가공에 비해 정교한 형상제어가 가능하고 재료를 가공하는 방식이 아닌 적층하여 형상을 만드는 방식으로 재료의 낭비가 적음
- 3D 프린팅은 건설분야에 요구되는 높은 강성과 크기 때문에 적용이 어려웠으나 공공시설물의 부재를 생산하는 방식은 현재 프린터의 크기와 생산방식을 고려하였을 경우 실용성이 높음

재활용 플라스틱
- 재활용 3D 프린터 재료로 펠릿(원재료), 필라멘트(가공재료)를 사용하며 폐플라스틱의 사용으로 자원의 재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
- 재활용 펠릿은 폐플라스틱을 가공한 재활용 입자로써 플라스틱 가공을 위한 원료가 되는 재료로 필라멘트로의 가공 공정이 생략되어 에너지와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으며 재활용 필라멘트는 같은 조건의 3D 프린터에서 출력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음
- 두 방식 모두 폐플라스틱을 재활용을 하여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재료의 낭비를 줄이고 재사용을 통해 폐기물 처리로 인한 환경부하의 저감이 가능함
- 플라스틱은 현재 건축용 3d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에 비해 생산속도가 빠르고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하며 건축물을 폐기, 보수할 경우 파쇄하여 다시 펠릿형태로의 재가공이 가능하므로 건축된 시설물의 폐기 및 수정 시에도 폐기물 발생이 거의 없음
최종목표 본 연구는 비정형 공공시설물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재생플라스틱용 3D 프린팅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최종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3D 마감재 모델링, 3D 마감재 생산, 3D 마감재 시공 분야로 나눠 각 세부 분야의 핵심기술을 개발하며 세부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 3D 마감재 분할시 기존방식 대비 설치 마감재 수 20% 감소
- 3D 마감재 생산시 마감재 형태오차 및 변형 최소화
- 3D 마감재 시공시 기존방식 대비 시공속도 20% 향상
연구내용 및 범위 넓은 형태의 마감재를 생산하여 구조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마감재의 형상데이터를 3d 프린터에 입력하기 위한 프리폼 모텔링기술, 마감자재를 출력하기 위한 마감자재용 3D 프린터 기술, 기본구조와 구조물에 마감자재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기술의 연구가 필요함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3가지 기술을 본 연구의 핵심기술로 선정하여 과제를 진행하려 함


○ [Modeling] 3D마감재 최적모델링 기술

3D마감재 최적모델링 기술은 비정형입면을 분할하여 마감재를 모델링하는 기술로 생산과 원가를 고려하여 최적의 크기 및 형상으로 분할하여 모델링하고 출력방식을 설정하는 기술임

- 형상정보 모델링기술
- 마감재 최적분할 기술
- 마감재 최적출력 기술

[Manufacturing] 3D마감재 최적품질 프린팅 기술

3D마감재 최적품질 프린팅 기술은 마감재의 강도 및 품질을 유지하면서 생산 및 접합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생산최적화 기술로 마감재에 적합한 재료를 시험하고 마감재용 3D프린터의 사양을 개발하는 기술임

- 생산 및 시공 프로세스 설정
- 마감재용 재활용 플라스틱 재료 설정기술
- 마감재용 3d프린팅 생산기술
- 마감재용 면처리 기술

[Construction] 3D마감재 고속시공 기술

3D마감재 고속시공기술은 시공품질과 속도향상을 위한 최적시공 방식에 관한 연구로 시공이 용이한 프레임구조와 마감재 접합방식 개발하는 기술임

- 프레임 단순화 기술
- 마감재 최적 접합기술
- 비정형 벽면 시험시공


□ 3D마감재 최적모델링 기술

3D마감재 분할시 기존방식 대비 설치 마감재 수 20% 감소

□ 세부설정근거
- 마감재의 크기는 프린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정한 크기로 결정되나 분할된 마감재의 수가 많을수록 생산속도가 저하되고 접합부의 품질이 문제가 됨
- 본 연구는 3차원 최적배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기존 분할방식 대비 설치 마감재 수를 20% 줄여 품질항샹과 생산속도를 향상하려 함

□ 3D마감재 최적품질 프린팅 기술

3D마감재 생산시 마감재 형태오차 및 변형 최소화

□ 세부설정근거
- 마감재 생산을 위해서는 요구되는 기준강도를 확보하고 마감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 본 연구는 기준강도를 충족하는 재료의 시험과 프린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 및 변형(재료 수축 및 마감면 처리)을 줄일 수 있는 생산방식을 개발하여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품질저하 요소를 최소화하려 함

□ 3D마감재 고속시공 기술

3D마감재 시공시 기존방식 대비 시공속도 20% 향상

□ 세부설정근거
- 비정형 마감재 시공은 기존 프레임에 앵커를 통해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하여 앵커의 각도 및 깊이가 달라 시공에 많은 시간이 걸림
- 본 연구는 접합부를 마감재에 부착하여 일체화 생산함하고 접합부 방식을 단순화하여 전제 마감재의 시공시간을 기존보다 20% 단축하려 함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차년도 □ 재생플라스틱용 3D 프린팅 기술을 통한 비정형 공공시설물의 품질평가 20% 향상
□ 세부목표 설정근거
- 본 연구는 마감재수를 줄여 접합부의 하자를 줄이고 최적의 출력방식을 사용하여 마감재의 형태오차를 최소화하여 마감품질을 기존대비 20% 향상하려 함
- 방법으로 기존 마감재와 프린팅을 통한 마감재의 품질요소들을 쌍대비교하여(AHP 설문) 수치화시켜 기존보다 20% 높은 평가수치를 달성하려 함
① 개발 목표
- 주관연구기관(순천향대학교): 3D 마감재용 후처리기술 개발
- 공동연구기관(디에스그룹): 3D 마감재 최적 품질·설계 기술개발
- 공동연구기관(지인디자인): 3D 마감재용 프린팅 기술 시험시공

② 개발 내용 및 범위(시스템 구성도, 구조 등을 그림으로 구체적 표현)
- 주관연구기관(순천향대학교)
마감재용 3D 프린터 마감재 불량 및 오차검토
마감재용 3D 프린터 재료 및 사양 개선

3D 프린터 후처리 기술 분석
마감재용 보조 출력물 제거 아이디어 도출
마감재용 보조 출력물 제거 기술 개발
시험시공 벽면 마감재 생산
시험시공 및 마감재용 3D 기술개선

- 공동연구기관(디에스그룹)
3D 마감재 기준면 및 출력방향 설정
3D 마감재 최적 설계기술 개발
3D 마감재 최적 설계기술 적용 및 평가
3D 마감재 시험시공을 위한 shop-drawing 모델링

- 공동연구기관(지인디자인)
프레임-마감재 접합부 시험 및 개선사항 도출
프레임-마감재 접합부 개선
시험시공벽면 프레임 제작
시험시공벽면 마감재 설치 및 분석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3D프린터용 필라멘트 연속 공급 장치] 순천향대학교
- 1차년도 세부연구목표<3D 마감재용 재료 및 프린팅기술 개발>연구를 진행하는 중에 주기적인 필라멘트 스풀 교체와 주변 환경의 변화로 출력이 멈추며 일정 품질 유지의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발생하였음. 이는 압출에서 출력의 단계를 일체화하여 지속적인 프린팅을 시도하는 방법의 기술개발로 이어짐.
- 본 연구 진행을 통해 필라멘트 원재료(펠릿)을 활용하여 기존의 ①펠릿-압출-필라멘트 스풀, ②필라멘트 스풀-3D 프린터 압출 노즐의 방식에서 원재료(펠릿)-필라멘트 압출-무한출력기-3D 프린터 압출 노즐로 즉시 연결되며 필라멘트를 공급하는 무한출력 방식의 특허개발을 진행, 현재 출원 중에 있음.
- 2차년도 세부연구목표<3D 마감재용 후처리기술 개발> 중 마감재 후처리면 평활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해당 개발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며, 출력 시 환경적인 요소를 최소화하여 일괄적인 마감재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3D프린팅을 활용한 비정형 패널 최적화 생산 방법] 순천향대학교
- 1차년도 세부연구개발<3D 마감재 최적분할 기술개발>연구에서 비정형 패널을 출력하는 과정 중 모든 패널의 크기가 다르므로 개별적으로 모델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방식을 택함. 이 과정에서 패널 1개의 무게중심축이 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출력하자가 반복적으로 발생함. 따라서 패널 2개를 서로 지지하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출력하게 되었으며 두 패널의 배치에 따라 이동경로가 결정됨. 이는 출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두 패널 사이를 이동하는 경로를 최소화하는 기술개발로 이어짐.
- 본 기술개발을 통해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비 출력경로가 최소화되는 알고리즘 특허개발을 진행하였으며 3D프린팅 시 패널의 출력 순서와 배치를 최적화함. 현재 출원 중에 있음.

- 2차년도 세부연구목표<3D 마감재 최적출력 기술개발>연구 중 세부연구개발<3D 마감재 최적출력 기술개발>에서 해당 개발기술을 적용할 예정. 또한 2차년도 질적 성과지표인 <마감재 품질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과 함께 2차년도 양적성과 달성치를 이끌어내고 연구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3D프린팅을 이용한 실내 비정형 마감재 생산 및 시공방법] 순천향대학교·지인디자인·디에스그룹
- 1차년도 세부연구목표<3D 마감재 접합기술 개발>연구에서 기존 프레임-마감재 접합기술보다 시공속도가 빠르고, 정확한 시공이 가능한 기술개발을 하고자 함. 마감재 테두리에 마감재 형태의 구조를 덧대어 마감재 구조를 설계하고, 구조에 각기 크기가 다른 일자형 날개를 덧대어 연결부를 설계하는 기술을 개발.
- 기존 방식과 달리 스페이스 프레임을 마감재에 연결 설계하는 방식을 택하여 시공용이성 및 속도를 각 10% 향상시켰으며 본 기술은 현재 출원 중에 있음.

- 2차년도 세부연구목표<3D 마감재용 프린팅 기술 시험시공>연구에서 현 개발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며, 본 기술의 시스템을 통해 비정형 형태의 디자인을 쉽게 구현할 수 있음. 또한 이는 프레임 구조를 선 시공 후 마감재를 부착하는 기존 방식보다 빠른 시간 내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핵심성과 중 <3D마감재 고속시공 기술>을 유사환경 기술시범 단계까지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 경제적 기대성과

■ 품질향상과 재생자재 사용을 통한 자원의 낭비 및 자재비용 저감
- 마감재의 불량 및 하자감소로 자원낭비 및 유지보수 비용 감소
- 재생 플라스틱 사용으로 자재가공비용 및 폐기물처리 비용 감소

■ 공공시설물 가치증가 및 도시경쟁력 확보
- 공공시설물의 마감품질 향상으로 인한 시설물의 심미성 및 경제적 가치 증대
- 비정형 공공시설물로 새로운 공간을 제공하여 도시경쟁력 상승에 기여

○ 사회적 기대성과

■ 도시 및 지자체의 정체성 강화 및 심미적 공간 제공
- 다양한 형태의 공공시설물로 지자체의 정체성 및 경쟁력 확보
- 공공장소에 심미적 공간 제공으로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 폐플라스틱 저감으로 환경문제 해결
-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제공하고, 시설의 이동, 확장, 폐기 시에도 파쇄하여 재생재료로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폐기물 처리와 자원의 순환 문제를 동시에 해결

■ 건축분야 첨단 및 친환경 이미지 제고
- 기존의 재래식 이미지를 비정형 디자인과 3D프린팅 기술을 통해 첨단 이미지를 제고
- 기존에 건설폐기물이 환경문제에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본 기술을 통해 자원을 순환시키는
친환경 이미지를 부각할 수 있음
활용방안 ○ 시험시공 계획
- 본 연구는 기초원천 연구과제로 TRL4 까지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나 각 기술의 실험실 성능평가 후 비정형 벽면을 유사환경에서 시험시공(TRL6)하는 것까지 연구를 진행하려 함
- 본 연구는 최종결과물을 통해 아산시립도서관 어린이자료실의 한쪽 벽면에 시험시공을 하여 성능을 검증하고 시설물의 유지를 통해 내구성을 검토하려함
- 주관연구기관인 순천향대학교의 Industry Inside 센터는 아산시립도서관과 2018년 MOU를 체결하여 복합미디어분야 사업과 프로그램을 협력하기로 하였으며 이 중 3D 프린팅 관련 교육 및 체험프로그램 또한 포함되어 있음
- 이에 순천향대학교는 시험시공을 통해 연구의 내용을 검증하고, 아산시립도서관은 아이들에게 창의적인 공간과 3D 프린팅의 결과물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시험시공은 두 기관의 협력 및 실현의지가 매우 높음
- 어린이자료실의 비정형 벽면설계는 디에스그룹이 담당하며, 마감재의 생산은 순천향대학교에서, 시공은 지인디자인이 담당하여 수행할 예정임

○ 제품화 방안
- 건축분야의 3D 프린팅 기술은 아직 초기적용단계로 구조체, 시설물, 조형물 생산 등에 대한 3D 프린팅 기술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는 시점임
- 본 연구는 비정형 공공시설물의 마감재를 대상으로 하지만 마감재의 특성상 어떤 건물이나 시설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과 확장성을 가짐
- 또한 본 연구는 모델링, 생산, 시공기술을 함께 개발하기 때문에 비정형 건축 마감재로 상품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
- 신재영 신재영 외 4인, 국내 건축분야 3D 프린팅 기술의 실무 도입에 관한 인식, 2017
의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건축상품을 설문을 통해 상품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건축상품을 조사하였고 디자인담장, 벽, 커튼월, 타일, 창호재 등 마감재 부분이 심미성에 있어 높은 점수를 받아 상품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본 연구의 결과물을 통해 후속과제를 진행하여 아트월, 커튼월 부재, 지붕재 등의 마감재로 확대시켜 상용화 모델을 구축할 계획임

○ 사업화 방안
- 본 연구기술의 사업화를 위해서는 비정형 건축물에 대한 현장적용 실적 및 검증이 필요하며 적용을 위한 실무적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함
- 주관연구기관인 순천향대학교는 이러한 공공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한 다양한 공공기관과 MOU를 맺고 있으며 공공기관의 수요에 따라 다양한 비정형 마감재 및 시설물을 본 연구기술을 통해 제공할 수 있음
- 또한 본 연구의 자문기관인 프리폼연구소는 아프리카 잠비아에 대형 3D 프린터를 통한 소형 건축물 구축사업을 KOTRA를 통해 수행할 예정이며 본 연구의 결과물인 비정형 마감재 생산기술과 연계하여 사업을 수행할 계획을 수립함
- 본 연구팀은 다양한 네트워크와 협력체계를 통해 연구의 결과물을 사업화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3D 프린팅 분야의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사업계획의 수립이 가능함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3D 프린팅 비정형 디자인 재생 플라스틱 마감재 품질향상
영문 3D Printing Freeform Design Recycled Plastic Finishing Material Improving Quality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서식1] 연구개발 최종보고서_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태희.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