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관리.평가모델 개발 및 협력프로그램 발굴5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가전략프로젝트 과제번호 22NSPS-C149910-05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국토공간개발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국토공간개발기술 적용분야 기타 산업
2순위 정보 통신 | 소프트웨어 | System Integration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관리.평가모델 개발 및 협력프로그램 발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김성식
소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직위 선임연구위원
전화번호 031-910-0114 FAX -
총 연구기간 2018-10-11 ~ 2022-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5차년도 260,200,000 0 0 0 260,2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o 기술의 정의
- 스마트시티는 교통, 안전,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ICT 기술 및 공간의 융복합적인 특성 상 전체 사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역할의 거버넌스 와 법적 규제로 인한 사업 추진 어려움을 선제적으로 해소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
-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각종 기반기술(예산집행 및 진도 관리기술, 인적자원관리기술, 성과관리 등)을 모듈화하여 공간적 시간적 제한이 없는 웹 기반 포털형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함
o PROJECTHUB 구축을 통한 사업단 관리체계 구축
- PROJECTHUB: 성공적인 스마트시티 사업 관리를 위한 종합 운영 프로그램으로 최신의 사업관리 모델이 적용된 혁신모델
- DATAHUB, CITYHUB 연계하의 웹기반 사업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사업단 관리체계 구축
-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수행 과정의 지식축적, 고도화, 효율화를 통해 향후 스마트시티 구축, 운영관리의 모범 모델로 확산보급
o 웹기반의 사업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 기술개발 Scope 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수행관리, 진도관리 및 점검, 인적자원관리 등 웹기반의 사업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웹사이트를 통한 성과 관리 공유 및 홍보체계 구축
o스마트시티 프로젝트 Delivery 구축
- 성공적인 스마트시티 사업수행을 위하여 스마트시티 사업관리자 요구기술을 도출하고 기술간 위계 및 선후행 관계를 고려한 프로젝트 업무프로세스 구축
- 사업추진 정보기반 프로젝트 Delivery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스마트시티 운영모델 Impact 분석 툴 및 City Protocol 구현
- 스마트시티 기술트리분석, 프로젝트 Delivery 가이드라인 및 매뉴얼 작성, 운영모델 Impact 분석 툴 개발, City Protocol 정립
o 서비스 디자인 레퍼런스 모델 구현
- 시민참여형 서비스 디자인 레퍼런스 모델 구현 및 디자인씽킹 기법 적용연구
- 도시문제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실현가능한 서비스 디자인 모델 구축
-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레퍼런스 모델과 매뉴얼 개발
o 데이터기반 스마트시티 서비스 검증 방법론 개발
- 실증도시 내 작동하는 서비스의 성과관리를 위하여 인프라의 표준 및 기술 부합성 검증과 데이터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며, 최종적으로 개발된 서비스의 기대성능 달성 여부 평가 필요
- 한국형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검증을 위하여 스마트커뮤니티와 크라우드소싱 방식 활용방안 모색
- 국외의 성공적인 스마트시티 구축 및 운영사례들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의 평가 방법론 마련
- 스마트도시의 성숙도와 잠재력, 목적과 방향, 물리적 기반시설의 성능, 데이터 및 시스템 운용성 등 스마트시티의 전반적인 평가 및 검증할 수 있는 지수(Index) 개발
- 스마트시티의 정의와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고 개별과제를 포괄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지수(Index)의 평가 및 검증방법체계가 마련되어야만 향후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음
o 거버넌스 체계 및 법제도 개선
- 4차 산업혁명의 사회실증 수단으로 핀테크, 스마트시티, AI, IoT 기술 등에 대해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하는 등 법제도 개선 중요
- 프로젝트 경험과 지식을 서로 공유하고 상호 연계하여 발생되는 시너지 창출을 목표로 싱가폴 스마트네이션 등 행정조직의 일원화, 바르셀로나 시티 프로토콜 소사이어티, 미국 GCTC 등 관련 기관이 공동으로 접근해 문제를 해결하는 소사이어티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일본, 영국 등은
- 국가전략프로젝트의 핵심 이해관계자들의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한 지적 자산화 및 성공적인 실증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시티 협력 협의체, 국내외 네트워크 협력 및 연계
- 새로운 스마트시티 패러다임과 국가 아젠다 등 이전과는 다른 환경에 따른 법체계 마련 및 데이터 보안, 개인정보보호, 도시 IoT 플랫폼, 데이터 허브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강조하는 부문에 대한 규제 발굴 및 해소 전략을 위한 연구
- 스마트시티 소사이어티 프로그램과 법제도 Compliance 연구 도출
- 무분별한 개별사업으로 인한 사업의 중복성 및 예산 낭비, 실효성 있는 성과 미비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스마트시티 사업의 컨트롤 타워, 부처간·사업간·유관기관간 협력 방안 마련
- 스마트시티 관련 다양한 부문의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내용의 스마트시티법 개정안을 발의하는 등 지속적으로 개선
최종목표 o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운영관리 모델로서 ‘PROJECTHUB’ 제시
- 프로젝트허브(PROJECTHUB)는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의 추진상황을 최신 프로젝트 관리 기법을 통해 관리하는 종합운영체계로,
- 세부요소로 SOS(System of Systems) 관리 Tool, 스마트시티 인덱스 및 평가체계가 적용되며 스마트 소사이어티 프로그램, 국제협력 기획 운영, 법제도 개선을 통한 지원체계 구축
o 사업단 연구과제 총괄운영 과제
- 1핵심 3세부에 속하지만 2핵심과 3핵심의 실증도시 추진과정과 운영성과가 모두 취합되어 관리되어야 함
- 따라서 사업단의 목표 하에 2, 3핵심의 실증구축과정에서의 추진성과, 운영자료 등을 총괄 관리하는 연계성을 가짐
- 또한 1핵심의 데이터허브 구축와 상호운영성을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 Compliance 검증을 추진함
연구내용 및 범위 1. 스마트시티 SOS(System Of Systems)관리 Tool 개발
o 스마트시티 포트폴리오-프로그램-프로젝트 프로세스 디자인
­ - 스마트시티 유형별, 도메인별 프로그램 추진을 위한 프로세스 개념정립 및 Stage-Gate 정의
­ - 스마트시티 사업단 핵심?세부 과제별 요구조건 정의 및 진행 프로세스 설계
­ - 스마트시티의 특성상 복합적인 시스템엔지니어링에 따른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처 검토
o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Delivery 구축 연구
­ -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Delivery 유형 세분화 기술(Program-Project-Subporject-Task-Activity)
­ -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Delivery 가이드라인 및 매뉴얼 작성
­ - 스마트시티 운영모델 Impact 분석 Tool 개발
­ -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운영모델개발
­ - 스마트시티 Project-Program-Portfolio Framework 모델 개발
o 웹 기반 프로젝트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 - 프로젝트 관리기법에 따른 온라인 웹기반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구축(프로젝트관리의 글로벌 표준기법과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법을 결합)
­ - 과제관리 및 실증사업 정보연계 플랫폼개발
­ - 실증사업 통합 프로젝트관리 체계 구축
­ - 성과 연계기술 개발
­ - 주요 구성기술 연계관리 기능 구현
o 시맨틱웹(Web 3.0) 기반의 사업단 홈페이지 구성?운영
­ - 시맨틱웹 기반의 사업단 프로젝트관리 및 성과공유를 위한 홈페이지 구축
­ - 프로젝트-이벤트-리소스 관리기능(블로깅 기능 등) 포함
­ - 다양한 SNS와 연계, 한-영문 Dual Language
2. 스마트시티 Index 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
o 스마트시티 Index 개발
­ - 스마트시티 City Protocol 정립
­ - 스마트 인프라 지표 개발 (국내외 스마트시티 인프라 유형분석 및 성능 측정방법, 스마트 인프라 성능 지표)
­ - 스마트시티 데이터 지표 개발 (도시데이터 평가 방법론 개발, 도시데이터 품질 지표개발 및 관리기법 개발)
­ - 스마트시티 종합 인덱스 개발 (스마트시티 성숙도 모델, 인덱스 구성지표 도출)
­ - 스마트시티 인덱스 관리 방안 수립 (마일스톤 설정, 평가 및 검증 범위 설정, 인덱스 관리방안 및 평가체계 수립)
o 실증도시 데이터허브에 대한 표준 Compliance 검증
­ - 아키텍처 및 기술 표준 검증 및 분석 방법론 개발 (데이터허브 관련 이슈 분석, 스마트시티 기술 및 UOS 아키텍처 및 데이터허브검증분석)
­ - 아키텍처 및 기술 표준 준수 여부 검증 및 데이터허브코어모델 POC 이행점검 (데이터, 인터페이스 등 시스템의 구현 및 운영 여부(프로토콜, 데이터상호운용성 등)
­ - 도시데이터 거버넌스 및 관리방안 검증 (도시데이터 거버넌스 검증 방법론 개발, 데이터 공유, 처리 및 상호운용성이 보장되는 데이터 관리 방안 개발)
o Use Case/Living Lab 데이터 및 서비스 검증
­ - Use Case 및 Living Lab 데이터세트 표준 준수 검증 (데이터세트 표준검증 방법론, Use Case 및 리빙랩 데이터상호운용성, 카탈로그 표준)
­ - 데이터맵 기반 품질검증 및 신뢰도 평가 (Use Case 및 리빙랩 데이터품질 모니터링 및 데이터 품질 및 신뢰도 검증)
­ - 데이터품질 및 흐름관리및 서비스 유효성 검증
o 서비스 (Use Case/Living Lab)의 KPI 달성 여부의 검증
­ - 서비스 수준 관리 지표 개발 (서비스 성과 지표 개발 및 측정, 관리 가능성, 균형성, 연계성 등 KPI 개발)
­ - 서비스 성과 측정 기준 수립 (서비스 성과 관리 지표의 정량적 측정 기준?방법?체계 개발 및 목표수준분석 및 파악)
­ - 서비스 수준 리포팅 체계 개발 (양방향 의사소통체계, 서비스 모니터링, 사용자 피드백, 서비스수준 조사)
­ - Use Case / Living Lab KPI 달성도 검증 (실증도시 KPI 달성도 측정 및 평가, 스마트시티 성숙도에 따른 KPI 로드맵 개발, 국가시범도시 연계 및 활용성 검증)
­ - Alliance 및 스타트업 등 비즈니스 창출 성과 측정
o 사업단 내 세부과제와 연계활용 가능하도록 계획 수립 필요

3. 스마트시티 협력프로그램 기획운영
o 스마트시티 소사이어티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 스마트시티 협력 협의체 기획 및 운영
­ - 스마트시티 국내외 네트워크와 연계
­ - 기술기업의 비즈니스 연계 프로그램 개발
o 서비스 디자인 레퍼런스 모델 및 서비스 검증 방법론 개발
­ - 디자인 씽킹 방법론
­ - 디자인 레퍼런스 모델 개선 및 운영 매뉴얼 개발
­ - 크라우드 소싱 모델 개선 및 운영 매뉴얼 개발
­ - 서비스 쇼케이스 개발
o 스마트시티 법/제도 Compliance 연구
­ - 스마트시티 서비스 관련 법제도 모델 연구
­ - 스마트시티 추진 관련 규제 발굴 및 해소전략 연구
o 스마트시티 국제협력프로그램 추진
­ - 스마트시티 공동연구 프로그램 발굴
­ - 스마트시티 국제협력프로그램 추진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5차년도 -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 사업관리 운영 결과 종합
? 사업관리 운영 보고서(’22년) 작성
? 사업 홍보 1건

- 공동연구개발기관(연세대학교) (사업단과 추가 논의 예정)
1) 사업 실증에 따른 KPI 지표 고도화
? KPI 위원회 운영으로 각 세부 핵심별 대표 KPI에 대한 적절성 검증 및 지표 정의서 고도화 진행
? 고도화된 핵심별 대표 KPI의 정의서에 따른 측정치 도출 지원 및 취합
2) 실증 사업 관리를 위한 KPI 운영 체계 고도화
? KPI 위원회 운영으로 각 세부 핵심별 대표 KPI 측정 지원을 통한 운영체계 고도화
? 전반적인 실증 사업 관리를 위한 KPI 운영체계 정립

- 공동연구개발기관(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실증도시(2/3핵심) 데이터 허브 인터페이스 및 서비스 데이터 모델 시험검증 수행 및 검증체계 고도화
-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 사업관리 운영 결과 종합 및 사업 성과 확산
? 사업관리 운영 보고서(’22년) 발간을 통해 3단계, 5차년도에 걸쳐 수행된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의 사업관리 운영 내역을 종합
? 웹기반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운영, 세부과제별 연구 현황을 웹기반 사업관리 시스템에 반영하도록 하여 사업단이 실용적으로 성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 사업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홈페이지에 국문/영문 컨텐츠를 보완하고, 성과공유회 개최 또는 전시회 참가

- Stage-Gate 설계 내역 검토 및 운영 결과 종합
?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의 성과 관리를 위한 Stage-Gate 프로세스 도입 및 3차년도 관문심사 운영 결과를 검토함

- 공동연구개발기관(연세대학교) : 사업단과 세부 핵심의 KPI 측정 과정을 지원하고, 측정된 결과물을 바탕으로 지표 정의서 및 보고서 작성
? KPI 위원회 운영을 통해 본사업 실증 현황과 이후 서비스 확산시 실증 도시 상황을 고려하여 핵심별로 작성된 3P 관점의 Hourglass 모델 KPI 검토 및 조정(목표값 등)
? top-down(국가, 부처 정챙목표를 참고하여, 실증 도시와 협의), bottom-up(3P를 고려한 연구진들의 의견) 관점의 KPI가 적절히 도출되었는지 검토
? 대표 서비스 KPI를 중심으로 수행과제 KPI(과제 단위) 레벨과의 연계도를 작성하여 제시
? 22‘년 KPI 위원회 운영으로 KPI 거버넌스 측면에서 핵심별 Hourglass모델 기반의 KPI를 본 사업 이후 각 도시에서 follow-up 될 수 있도록 각 도시에 인계
? 22‘년 KPI 위원회 운영방안을 모니터링 중심으로 설정하여 목표치 달성 및 실패 유형(법/제도 측면, 기술적 측면 등)을 분석하여 이슈 및 해결 방안을 제시

- 공동연구개발기관(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실증도시(2핵심/3핵심) 데이터 허브를 시험대상으로 시험검증 수행
? 시험검증을 통한 개선사항을 적용한 데이터 허브 검증체계 고도화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o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의 구축 기대효과
o 스마트 시티 관련 전 프로젝트의 정보 통합 관리
o 프로젝트 관리 지표 기반의 성과 관리 및 모니터링
- KPI 달성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제공·활용하는 구성원들(공공기관, 민간, 학계, 시민들 등)에게 서비스 수준 향상 및 개선을 위한 동기부여 기회를 주고, 사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함
o 유관 프로젝트 사이의 리스크/이슈 해결 정보 공유
o 프로젝트 중복 방지 및 유사 프로젝트간 시너지
o 각 프로젝트의 산출물 활용 효율화
o (스마트시티기술 특수화 및 평가지표 개발) 범용적인 스마트시티 Index 개발 및 아키텍처, 서비스 데이터셋의 표준과 평가 지표 개발을 통해 성공적인 스마트시티사업의 기반 마련
o 스마트시티 국가 R&D 사업의 표준화된 평가 체계 및 지료를 개발하여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핵심기술 및 서비스 성과 창출
o (스마트시티 인덱스의 글로벌 표준화) 대한민국의 스마트시티 조성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증진함으로써 학문적 종주성과 기술의 시장 선점에 기여
o (KPI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서비스 수준 평가) 검증이 가능한 KPI 개발을 통하여 스마트시티사업 성공 여부의 평가를 위한 기술적 수준 및 사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수준의 체계적인 성과를 측정 ? 평가 체계 마련
o 시맨틱웹 기술을 통한 성과공유체계 구현
o 성과공유체계를 통한 효율적 업무지원 및 협력체계 구성
o 웹기반 홈페이지 구축을 통한 접근성 향상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o경제적 파급효과
- 양적·질적 서비스 성과의 종합적 평가
- 서비스 (Use Case/Living Lab)의 KPI 평가 기술의 개발을 통해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평가하는데 적합한 성과지표를 수립하고, 목표성과의 달성과정 및 결과의 경제성, 능률성, 효과성 등을 점수화, 정량화함으로써 국가 및 지자체의 서비스 달성도를 종합적으로 검증 및 모니터링 할 수 있음
- 핵심서비스 및 특성지표를 활용하여 스마트시티 성숙도를 고려한 시기별 KPI 목표 로드맵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표준적인 서비스 운영방안을 제시할 수 있음
- 스마트시티 인덱스를 통한 대한민국 스마트시티 실현은 소개 및 소비재 산업에서 첨단산업에 이르는 다양한 관련 산업을 견인하여 국가 경제에 기여하며, 전자 ? 통신 등 첨단 기술과 산업의 수요처로서 고부가가치 창출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
- (스마트시티 구축 시 비용절감 효과) 스마트시티 인덱스를 통한 시뮬레이션으로 스마트시티의 도입 및 적용을 위한 정치?사회?정책 분석을 수행하여 스마트시티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절감 효과 마련

o 사회적 파급효과
- (스마트시티 Index 개발) 제4차 산업혁명, 지능정보사회 등의 미래사회변화를 반영한 도시 관점의 스마트시티 지표를 개발하여 미래 사회도시 대응력 강화
- (스마트시티 Index 개발) 다양한 이해관계자(지자체, 기업, 시민 등)들의 역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지표를 개발하여 지속가능성 상승
- (스마트시티 Index 개발) 스마트 인프라 및 도시 데이터에 대한 지표뿐만 아니라 무형적 가치 또한 고려하여 타 핵심 사업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 가능
- (스마트시티 Index 개발) 스마트시티 지표 체계를 바탕으로 측정 항목 및 지표별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하여 지표체계를 통해 식별한 정책적 대응과제를 식별하고 맞춤 정책 처방을 통해 정책 추진효과 제고
- (서비스 디자인 레퍼런스 모델 및 서비스 검증 방법론 개발)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실사용자인 시민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서비스의 체감도와 지속가능성을 확보, 수요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따른 시민의 편의 제공 및 시민 삶의 질 향상
- (서비스 디자인 레퍼런스 모델 및 서비스 검증 방법론 개발) 스마트시티 쇼케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홍보하고 관련 의견을 수렴하고 신규, 파생, 연계 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시민 체감도를 높이고 피드백 관리 프로세스를 고도화시킴
- (서비스 디자인 레퍼런스 모델 및 서비스 검증 방법론 개발) 연세대 교육부속기관인 ‘Design Factory Korea’의 글로벌 네트워크 디자인 팩토리인 바르셀로나, 뉴욕, 헬싱키 등의 전문가들과의 협력 연구, 공동 프로젝트 추진을 통한 교차 서비스 구현을 진행 및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
- (광범위한 스마트시티 인덱스의 활용성) 스마트시티 인덱스를 바탕으로 개별적이고 특화된 연구와 각 과제의 통합화가 가능하여 부처 간, 산업 간의 효율적인 의사 결정과 시너지 효과 증진
- 도시 진단 및 도시문제의 적정한 대응을 위하여 수많은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활용
- 신생활에서 체감 가능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통해 세계적 문제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회복 가능
- (스마트시티구축을 위한 정책 및 재정마련의 근거 제시) 관련 기술 및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육성 방안 마련 및 장 ? 단기적 지원의 근거 제시
- 스마트시티를 구체화하는 취지의 법 ? 제도 통합과 유관부처들 간의 중복 ? 혼재된 기능 통합으로 효과적인 조직체계 구축에 기여
- 국내외 각 도시의 스마트시티의 현 수준(성숙도)을 평가하는 Index 개발을 통해 중앙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효율적이고 일관성 있는 스마트시티 정책 수립의 기반 제시
- 스마트시티 성과 홍보 및 공유체계 마련을 통한 스마트시티 인식 고취
- 시맨틱웹 기술을 통한 일반사용자 사용성 향상 및 응용 활용 활동 지원 가능
활용방안 o 스마트시티 인덱스 개발 및 평가체계 구축
- 성공적인 ‘한국형 스마트시티 도입’을 위해 기존 기술적 관점에서 개방형 혁신이 반영된 시민참여·혁신생태계 등을 포함한 목표 가능한 인덱스 지표들을 지속적으로 성숙도모델로 활용하며, 각 도시별 스마트시티의 발전 및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방위적 지표로 활용
- 글로벌 시장에 통용이 가능한 범용적 인덱스 개발을 통해 개발도상 국가의 스마트시티 조성을 지원하는 현황분석 도구로써 활용하는 동시에 해외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표준프로토콜 제시 하며,한국형 스마트시티의 국제적 위상을 정립하는데 기여
-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정성적, 정량적 서비스 수준 관리지표 및 성과 측정기준 결과는 국가 및 지자체 스마트시티 서비스(Use Case/ Living Lab)에서 목표로 하는 핵심성과들의 달성도를 단계별로 측정하고 모니터링 하는데 적용 가능함
- 효과적 운영이 어려웠던 도시 기반시설에 정보통신기술을 도입하는 기술 중심적 관점의 스마트시티 도입을 평가 및 검증 가능한 포괄적 지표 수립을 통해 민간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스마트시티 생태계 조성
- 목표달성이 가능한 지표 개발을 통해 지속적으로 각 도시별 스마트도시의 발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범위적 지표로 활용, 해외시장에 통용이 가능한 인텍스 개발을 통해 개발도상국가에 스마티시티 조성을 지원하고, 선진국과 경쟁할 수 있는 해외진출 발판으로 활용

o 서비스 (Use Case/Living Lab)의 KPI 달성 여부의 검증
-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정성적, 정량적 서비스 수준 관리지표 및 성과 측정기준 결과는 국가 및 지자체 스마트시티 서비스(Use Case/ Living Lab)에서 목표로 하는 핵심성과들의 달성도를 단계별로 측정하고 모니터링 하는데 적용 가능함

o 시맨틱웹 기반 성과공유 홈페이지
- 시맨틱웹 기술 및 국가연구과제 성과 공유체계를 구축하여 다수의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관리를 지원
- 구성된 홈페이지는 연구개발 이후 국가기관에 이관처리되어 지속적 운영을 통해 스마트시티 개발 및 사업을 추진하는 기관의 효율적 업무관리를 도모함

o 스마트시티 협력프로그램(Alliance Program)기획운영
- (스마트시티 법/제도 Compliance 연구) 한국형 스마트 시티 모델의 정립에 필요한 법과 제도적 요소를 정립하여 가칭 ‘스마트 시티 기본법’의 기본 골격을 수립
- (스마트시티 법/제도 Compliance 연구) 스마트 시티의 기본요소인 자유와 혁신의 가치가 번영할 수 있도록 과도한 규제를 완화하거나 철폐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서비스 디자인 레퍼런스모델 및 서비스 검증 방법론 개발) 시민이 직접 체험하면서 (Citizen Experience) 서비스를 기획하는 사업추진 시스템과 사업관리 모니터링 관점을 반영하여 실증·시범도시에 전 주기적 서비스 검증관리 체계 구축 시 활용
- (서비스 디자인 레퍼런스 모델 및 서비스 검증 방법론 개발) 다양한 이해관계자 (시민참여, 민간기업, 지자체 등) 참여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데 활용되는 효과적인 커뮤케이션 도구로써 활용 기대
- (서비스 디자인 레퍼런스모델 및 서비스 검증 방법론 개발) 창의적 도시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혁신생태계 및 비즈니스 모델의 효율적 사업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 (스마트시티 국제협력프로그램 추진) 스마트시티 국제공동연구 대상과 내용에 대한 DB는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 정책, 연구를 심화하고 국제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활용
- (스마트시티 국제협력프로그램 추진) 국제협력 대상 기관에 대한 DB구축과 공유를 통해 스마트시티 사업단 주체별로 협력의 대상자 발견 및 협력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활용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스마트시티 사업관리 스마트시티인덱스 평가모델 협력프로그램
영문 Smart City Project Management Smart city Index Evaluation Model Cooperation Program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조직도 담당업무 참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