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과제현황 목록

과제기본정보

제로에너지빌딩 구현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태양광 블라인드와 능동형 환기시스템을 통합한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 개발3년차

사업개요
사업개요에 대한 사업명, 분류코드(기술분류),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총괄연구 책임자(성명, 소속, 전화번호), 총 연구기간, 당해연도 연구기간 정보제공
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과제번호 18CTAP-C117226-03
국가과학표준분류 1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건설시공 재료 적용분야 건설업
2순위 건설 교통 | 건설시공 재료 | 생애주기가치평가 실용화대상여부 실용화
3순위 None | None | None 과제유형 개발
과제명 제로에너지빌딩 구현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태양광 블라인드와 능동형 환기시스템을 통합한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 개발
주관연구기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 책임자 성명 홍태훈
소속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직위 교수
전화번호 2123-2444 FAX 365-4354
총 연구기간 2016-10-24 ~ 2019-04-27
당해연도 연구기간 2018-04-28 ~ 2019-04-27

(단위:원)

년도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계 정보제공
년도 정부출연금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소계
3차년도 331,000,000 12,934,000 98,066,000 111,000,000 442,000,000
과제기본정보의 연구개발개요, 최종목표, 연구내용 및 범위 정보제공
연구개발개요 1. 융합기술을 통한 신제품 개발의 필요성
○ 국내 건물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국가 전체 소비량의 약 22%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가구당 평균 전력 소비량은 연간 평균 2.95%(약 0.1MWh)씩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5년 12월, 신기후체제 출범에 따른, 우리나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2030년 BAU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37% 감축)를 달성하기 위하여, 건물부문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 절감은 필수적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2025년 제로에너지 건물 의무화’ 정책을 수립하고, ‘2017년 패시브 건물 단열 기준 강화’ 및 ‘분산형 전력 공급방식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였다. 또한, 국토부는 올해 초 7대 신산업 중 하나로 제로에너지빌딩을 선정하는 등 국가차원에서 제로에너지빌딩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 하지만, 건물부문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 절감을 위해서, 에너지 소비량을 억제하고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궁극적으로 제로에너지빌딩을 구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건물에서도 깨끗하고 무한정한 에너지원을 사용한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전기 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체에너지 사용이 필수적이다. 태양광 에너지는 우수한 발전 잠재량(전체 재생에너지원의 기술적 잠재량 중 33.4%)을 가진 에너지원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건물에 도입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존의 태양광 시스템은 ① 무겁고 유연성이 없는 실리콘 계 태양광 모듈의 사용, ② 고가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 ③ 크고 복잡한 구조의 추적 제어장치의 사용 등의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태양광 시스템의 한계 극복 및 상용화를 위해서, 신·기축 건물 창호에 모두 적용가능한 태양광 블라인드 개발이 필요하다.

○ 제로에너지빌딩 구현을 위한, 고단열·고기밀 설계는 실내 열성능을 향상시킨 반면, 실내 공기질의 악화를 초래하였다. 이를 개선을 위한, 실내 기계 환기 시스템(신규 학교에 대한 기계 환기 시설 의무화 및 학교보건법 시행규칙)은 추가적인 에너지 사용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즉, 에너지 소비량 절감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절감과 실내 공기질 개선을 통한, 재실자의 쾌적성·생산성·건강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① 제로에너지빌딩 구현을 위한, 태양광 블라인드 발전 기술(에너지·환경 및 신소재 기술), ② 재실자 맞춤형 최적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IoT 기반의 능동형 제어 기술(정보·통신 및 전자 기술), ③ 신·기축 건물에 모두 적용 가능한, 창호형 환기 기술(건축공학 기술)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에너지 자립도 및 실내 공기질 향상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첨단 융합형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최종목표 및 최종성과물
○ 본 연구는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절감 및 실내 공기질 개선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제로에너지빌딩 구현을 위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 기반의 태양광 블라인드와 능동형 환기시스템을 통합한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를 달성하기 위해, ① IoT 기반의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의 ‘최적 설계 및 생산 기술’을 개발한다. 또한, 운영단계에서의 센서 네트워크 기술 및 기계학습 기술을 이용한, ② IoT 기반의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평가 기술’을 개발한다. 더불어, 본 제품의 최대 태양광 발전량 및 최적 실내 공기질을 제공하기 위해, ③ IoT기반의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의 ‘자동 제어 기술’을 개발한다.
○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최종성과물은 기술성숙도 8단계(실용화)를 목표한다.

3. 최종성과물의 혁신성, 차별성, 수요자 연계 가능성
○ 기존 태양광 발전 및 환기 제품과 비교하여, 본 연구의 최종성과물은, ① 태양광 블라인드를 통한 자체전력 생산, ② IoT 기술을 이용한 능동형 제어, ③ 신·기축 건물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창호형 환기가 가능한 첨단융합 제품이다. 이는, 기존에 에너지 손실을 발생시키는 창호를, 자체전력을 생산하고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키는 공간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혁신성을 갖춘 제품이다.

○ 또한, 저비용(유닛 당 약 35만원)·고효율(태양광 발전효율 14.5% 및 최적 실내 공기질 제공)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① 박막형 태양광 패널, 양방향(2축) 태양광 추적 기술, 및 저가형 실시간 모니터링 및 평가 기술 이용하고, ② 자체생산 전력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유지관리비를 절감 시킬 수 있는 환기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춘 제품이다.
최종목표 본 연구에서는 「제로에너지빌딩 구현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다기능 스마트 창호」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최종결과물은 창호형 태양광 블라인드와 능동형 환기 시스템의 융합을 통해, 태양광 발전과 실내 공기질 개선을 모두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혁신성과 차별성을 갖춘 융합형 스마트 제품이다. 본 연구의 최종성과물은 기술성숙도 8단계(실용화)를 목표로 하며, ○○대학교에서 실제 적용 평가를 진행 할 계획이다.
연구내용 및 범위 1. 연구개발 내용
○ 본 연구는 2016년 국토부 7대 신(新)산업)인 제로에너지빌딩을 구현하고, 쾌적한 실내 공기환경 구현하기 위한 제품 개발 · 실용화 연구임. 이를 위해, 본 연구과제는 크게 3개의 부문(PART)으로 구성되었다.

○ 첫째, IoT 기반의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의 ‘최적 설계 및 생산 기술’ 개발 (박막 태양광 블라인드와 능동형 환기 시스템의 ‘최적 설계 및 생산 기술’)
- 결정질 실리콘계(mono-Si) 및 비결정질 실리콘계(a-Si) 태양광 패널의 ‘최적 설계 및 생산 기술’ 개발
- 환기 시스템 크기, 유량, 필터를 고려한, ‘최적 설계 및 생산 기술’ 개발
- ‘최적설계 및 생산기술별’ 성능/경제성 평가 및 실제 현장 적용 평가

○ 둘째, IoT 기반의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평가 기술’ 개발 (센서 네트워크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한, 태양광 블라인드의 발전량 및 실내 공기질 및 온·습도 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평가)
- 실시간 태양광 발전량 ‘모니터링 및 평가 기술’ 개발
- 실시간 실내 공기질 및 온·습도 ‘모니터링 및 평가 기술’ 개발
- 웹/스마트기기 기반 ‘모니터링 장치’의 개발 · 성능/경제성 평가 및 실제 현장 적용 평가

○ 셋째, IoT 기반의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의 ‘자동 제어 기술’ 개발 (기계학습을 이용한, 태양광 블라인드의 발전량 극대화 및 실내 공기질 최적화)
- 전력생산 최대화를 위한, ‘태양광 추적 기술’ 개발
-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환기 자동 제어 기술’ 개발
- 웹/스마트기기 기반 ‘자동제어 장치’의 개발 · 성능/경제성 평가 및 실제 현장 적용 평가

2. 연구내용의 범위 및 창의성 및 혁신성
○ 첫째, 태양광 블라인드를 통한 자체전력 생산을 위해, 온도에 의한 효율 저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박막형 태양광 패널을 사용하여 태양광 블라인드를 구성하고, 운영단계에서 실시간 모니터링과 하이브리드 기반의 양방향 태양광 패널 제어를 통해 발전량의 극대화 함.

○ 둘째, 창호형 환기시스템을 통한 쾌적환 실내 공기 환경을 위해, CO2, 미세먼지, 라돈(Rn),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등에 대한 실내·외 오염물질의 종합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실시간 실내 공기질을 평가함. 또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DB와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재실자에 최적화된 실내 공기질 환경을 제공하고자 함.

○ 셋째, 본 연구 성과물은 신·기축 건물에 모두 적용 가능한 창호형 제품으로서, 기존 제품과 비교하여, 시공성·경제성이 우수함. 또한, 환기 시스템의 소요 전력은 태양광 블라인드의 자체 생산 전력을 이용하기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주요내용의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정보제공
구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3차년도 1. 핵심성과 1: IoT 기반의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의 ‘최적 설계 및 생산 기술’ 개발
○ 연구목표: 환기 시스템 크기, 유량, 필터를 고려한, ‘최적설계 및 생산 기술’ 개발
○ 연구기관: 주관(연세대), 공동(핸즈온)

2. 핵심성과 2: IoT 기반의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평가 기술’ 개발
○ 연구목표: 실시간 실내 공기질 및 온·습도 ‘모니터링 및 평가’ 기술 개발
○ 연구기관: 주관(연세대), 공동(홍콩폴리텍)

3. 핵심성과 3: IoT 기반의 다기능 스마트 창호 제품의 ‘자동 제어 기술’ 개발
○ 연구목표: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환기 자동 제어’ 기술 개발
○ 연구기관: 주관(연세대)
1. 환기 시스템 크기, 유량, 필터를 고려한, ‘최적설계 및 생산 기술’ 개발
1-1 환기 시스템 크기, 유량, 필터를 고려한, ‘최적설계 및 생산 기술’ 개발
○ 환기구 크기 및 유량별 최종성과물 개발을 위한 타당성 분석 (실내외 공기순환율, 실내 공기질 향상도, 경제적 측면 분석)
○ 환기구 크기 및 유량별 프로토타입 모델 제작

1-2 공기청정 필터의 구성을 고려한, ‘최적 설계 및 생산 기술’ 개발
○ 공기청정 필터의 구성별 최종성과물 개발을 위한 타당성 분석 (실내외 공기순환율, 실내 공기질 향상도, 경제적 측면 분석)
○ 공기청정 필터의 구성별 프로토타입 모델 제작

2. 실시간 실내 공기질 및 온·습도 ‘모니터링 및 평가’ 기술 개발
2-1.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실내 공기질 및 온·습도 모니터링’ 기술 개발
○ 실내 공기질 및 온·습도 모니터링 지표 (CO2, PM10, VOC, 온·습도 등) 수립
○ 실시간 실내 공기질 및 온/습도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알고리즘 수립

2-2.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실내 공기질 및 온/습도 평가’ 기술 개발
○ 건물유형별/사용자 특성별 실내 공기질 및 온·습도 평가 지표 수립
○ 실내 공기질 및 온·습도 평가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3. 실내 공기질 최적화를 위한, ‘환기 자동 제어’ 기술 개발
3-1. 기계학습을 이용한, 환기량/실내 공기질 기반의 ‘환기 자동제어 기술’ 개발
○ 건물유형별/사용자 특성별 환기 특성/환기량/실내 온·습도 분석
○ 기계학습을 이용한, 환기량/실내 공기질 기반의 환기 자동제어 알고리즘 개발

3-2. 기계학습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환기량 & 실내 공기질) 기반의 ‘환기 자동제어 기술’ 개발
○ 환기 방식에 따른, 실내 공기질 및 온·습도 특성 분석
○ 기계학습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기반의 환기 자동제어 알고리즘 개발
연구성과 기술적 기대성과 1. 기술의 시장성
1-1 미래 BIPV 시장 확대 전망
○ 국제 BIPV 시장의 경우, 2016년 시장 규모는 약 12조 2,813억원으로, 연평균 성장률 52.68%을 적용하였을 때, 2019년(과제 종료시) 43조 7,109억원(2016년 대비 3.56배), 2022년(과제 종료 3년 후) 155조 5,738억원(2016년 대비 12.67배)으로 예상됨.

○ 국내 BIPV 시장의 경우, 2016년 시장 규모는 약 5,096억원으로, 세계시장 성장률과 동일하게 예측했을 때, 2019년(과제 종료시) 1조 8,138억원(2016년 대비 3.56배), 2022년(과제 종료 3년 후) 6조 4,556억원(2016년 대비 12.67배)으로 예상됨.
* 출처: 1)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Market 2012 (Nano market), 2) 신재생에너지 보도자료(에너지관리공단)

1-2. 미래 실내 공기질 시장 확대 전망
○ 국제 실내 공기질 시장(모니터링+환기시스템 시장)의 경우, 2016년 시장 규모는 약 7조4천억원으로, 연평균 성장률 8.3%을 적용하였을 때, 2019년(과제 종료시) 9조 4천억원(2016년 대비 1.27배), 2022년(과제 종료 3년 후) 12조원(2016년 대비 1.61배)으로 예상됨.

○ 국내 실내 공기질 시장의 경우, 2016년도 시장 규모는 약 6,351억원으로, 세계시장 성장률과 동일하게 예측했을 때, 2019년(과제 종료시) 8,068억 원(2016년 대비 1.27배), 2022년(과제 종료 3년 후) 1조 247억원(2016년 대비 1.61배)으로 예상됨.
* 출처: 1) Global Indoor Air Quality Market 2016-2020 (Research and Markets), 2) 실내 공기질 관리 기본계획 2009~2013 (국토해양부 등 관계부처 합동).

1-3. BIPV 시장 및 실내 공기질 시장 확대 전망에 따른 수입대체·산업유발 효과
○ 원유수입대체효과는 2019년 45억 7천만 원, 2022년 173억 5천만원이 예상됨. 2022년 대체량은 일반 승용차(연비 11km/L)가 서울-부산을 374,398회 왕복할 수 있는 양임.

○ 탄소저감효과는 20년생 잣나무 기준(산림청 발표자료 CO2 흡수량: 0.00453tCO2)으로 2019년 253만 그루, 2022년 959만 그루를 대체하는 효과가 예상됨. 2022년 추정치는 여의도 면적(840만m2)의 8.38배에 나무를 심어 얻은 탄소저감 효과와 동일함.

○ 생산유발효과는 특정 제품 생산에 따른, 타 산업에 직·간접적으로 유발된 생산 효과를 의미함. 국내 실내 공기질 및 BIPV 시장 확대에 의한 생산유발효과는 2019년 9조 7,000억 원, 2022년 25조 9,894억 원으로 예상됨. 이는, 2015년 GDP(2015년 국제 통화기금 발표) 대비 1.55%에 해당하는 수준임.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1. 사회적 파급효과
1-1. 분석목표
○ 전국에 위치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최종성과물을 각 학급의 외측 창호에 적용했을 경우, 생산되는 경제적 효과를 생애주기비용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1-2. 분석대상
○ 전국 5,418개 초등학교 대상 (총 109,574 학급(교실), 2,070,948.6 m2 의 창 면적)

1-3. 분석조건
가) 최종성과물의 유닛 정보
○ 사이즈=0.5m(가로)*2.1m(세로), 패널 용량(CIGS: 117.08W/m2), 패널 효율(CIGS: 13.0%), 손실률(3%), 추적방식=2축 추적방식, 환기 효율(임펠러 38mm Fan: 46.2CMH/Unit), 환기 요구 전력(0.84W/Unit).

나) 최종성과물의 유닛 가격: 약 35만원
○ 패널 비용 (CIGS: 202,841원/Unit), 프레임 비용 (100,000원/Unit), 센서(11,111원/Unit), IoT기반 모니터링 시스템(2,778원/Unit), 환기 시스템(환기 팬 및 필터, 28,960원/Unit).

다) 설치규모
○ 한 학급(창 면적: 9m(가로)*2.1m(세로)) 당, 총 18개 Unit 설치.

라) 생애주기 비용 분석기간
○ 25년

마) 수익요소
○ (태양광 패널을 통한 총 전력 생산량) - (하루 6시간 환기 시스템 운영 및 제어에 소요되는 전력)을 최종성과물을 통한 최종 전력 생산량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통한 에너지 절감 비용을 수익요소로 반영하였다.

1-4. 분석지표
○ 각 학교별, 생애주기관점에서의 현가(Net-Present-Value; NPV), 투자비용 회수기간(Break-Even-Point; BEP), 비용편익비(Saving-to-Investment Ratio; SIR)를 분석지표로 설정하였다.

1-5. 분석결과
○ NPV: 전국 5,418개 초등학교 대상, 평균 NPV=84,623,970원, 최대 NPV=320,090,000원
○ BEP: 전국 5,418개 초등학교 대상, 평균 BEP=12년, 최소 BEP=10년
○ SIR: 전국 5,418개 초등학교 대상, 평균 SIR=1.499, 최대 SIR=1.593
○ 전국 5,418 개 모든 초등학교에서, 최종성과물의 경제적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결과적으로, NPV(25년) 측면에서, 총 458,492,670,000원의 경제적 순이익(=에너지절감비-유지관리비-초기투자비)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된다.

2. 사회적 측면
2-1. 지역별 에너지 자립도 (사례분석: 전국 초등학교 5,418개교)
○ 전국 5,418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최종성과물을 설치하였을 때, 생산되는 최종 전력 생산량(하루 6시간 환기 시스템 운영 및 제어에 소요되는 전력은 제외)을 기반으로, 지역별 에너지 자립도를 분석하였다.
- 남부지방(전라도, 경상도 등 2,580개교) 에너지 자립도: 평균 23%, 최대 80%.
- 북부지방(서울, 경기도 등 2,838개교) 에너지 자립도: 평균 17%, 최대 49%.

○ 결과적으로, 최종성과물을 적용할 경우, 최대 80% 이상 에너지 자립형 건물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초등학교의 전력소비량 구성비: 플러그부하(39.5%), 조명(36.0%), 난방(15.0%), 냉방(9.4%), 온수(0.1%)
* 출처: 1) Energy Policy, 2014, 73, 356-367. 2) Progress in Photovoltaics: Research and Applications, 2014, 22(4), 462-478.

2-2. 실내 공기질 개선 효과 (사례분석: 초등학교 1개 학급 기준)
○ 전 세계적으로, 공기오염에 따른 사망자 수는 연간 700만 명에 달하며, 이 중 61.4%(430만 명, 전체 사망인구 중 13.3%)는 실내 공기질 오염에 주 원인으로 보고된다.

○ 초등학교의 한 학급에 최종성과물을 설치할 경우(18개의 Unit 설치), 에너지 자립도 향상(평균 20%, 최대 80%)과 동시에, 환기기준(488CMH=21.6CMH/인(학교보건법 시행규칙)*22.6인(평균 초등학교 학급 인원))의 170%(832CMH)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출처: 1)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 Immunity
활용방안 1. 기술수요처
○ 본 연구의 최종성과물(IoT 기반의 다목적 스마트 창호 제품)은, ① 제로에너지빌딩 구현을 위한, 자체전력 생산 효과, ② 재실자의 편의성·쾌적성·건강성 향상을 위한 최적의 실내 공기질 개선 효과를 모두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창호를 통해 위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신·기축 건물(주택, 교육시설물 등)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기술수요처를 고려해 볼 수 있다.
- 지자체: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공공건물(관공서, 교육시설물 등)에 대한 에너지 자립도 및 실내 공기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 수요처.
- 자가사용자: 개인 소유 건물(주택, 빌딩 등)의 에너지 자립도 및 실내 공기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 수요처.
- 사업자: 태양광 발전 및 공기질 개선 사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 수요처.

2. 현장 적용 방안
○ 본 연구의 최종성과물(IoT 기반의 다목적 스마트 창호 제품)은, 국내 실제 현장 적용을 통해, 생애주기비용과 환경비용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며, 최종적으로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세부적인 수행 계획은 다음과 같다.
- 1단계: 실제 현장 적용을 위한, ○○대학교(주관 연구기관) 및 ○○건설(참여기관)과의 MOU 체결.
- 2단계: 최종성과물의 실제 현장 (① ○○대학교(주관 연구기관), ② ○○건설(참여기관)) 적용.
- 3단계: 실제 현장에 적용된 최종 성과물의 생애주기 및 환경 비용 분석을 통해, 상용화 기반 마련.

3. 신산업 창출
○ 신(新)기후체제(POST-2020)의 출범과 함께, 우리나라는 2030년 온실가스 BAU 대비 37% 감축목표를 수립하였으며,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2030년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이라는 중장기 정책대안을 수립하였다. 본 전략에서는, 에너지 프로슈머, 분산형 청정에너지, ICT 융합, 온실가스 감축을 핵심 유도기술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최종성과물(IoT 기반의 다목적 스마트 창호 제품)은, ① 창호를 통한 분산형 태양광 발전이 가능, ② IoT 기술의 융합을 통한, 최적의 실내 공기질 제공, ③ 에너지 프로슈머 및 온실가스 절감을 통한, 제로에너지빌딩 구현 등 다양한 신산업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 그린리모델링 및 에너지절약전문기업(Energy Saving Company) 사업: 최종성과물을 요소기술(태양광 발전, 실내 공기질 개선 등)로 활용 가능.
- 대여 사업: 태양광 발전 및 공기질 개선 관련 대여 사업을 통한 신사업 창출 가능.
- 컨설팅 사업: 태양광 발전 및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컨설팅을 수행하는 신사업 창출 가능.
핵심어
핵심어의 구분, 핵심어, 핵심어1~핵심어5 정보제공
핵심어 핵심어1 핵심어2 핵심어3 핵심어4 핵심어5
국문 제로에너지빌딩 태양광 블라인드 환기시스템 실시간 모니터링 자동 제어
영문 Zero Energy Building Photovoltaic Blind Ventilation System Real Time Monitoring Automatic Control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 파일 다운로드 제공
최종보고서 최종보고서_홍태훈(연세대학교).pdf   다운로드
  • 담당부서해당 사업실
  • 담당자과제 담당자
  • 연락처 사업별 담당부서 보기